268 595

Cited 0 times in

공군 조종사의 직업 피로 관련 요인

Other Titles
 Factors associated with occupational fatigue of air force pilots 
Authors
 김유경 
College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Department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Degree
석사
Issue Date
2022-02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ccupational fatigue, and mental health level (sleep quality, depression, anxiety, and occupational stress) of air force pilots and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occupational fatigue based on th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The study was cross-sectional and descriptive, and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by eight air force units through allocation sampling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September 6, 2021, to October 12, 2021. Among 175 collected data, 142 data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excluding 33 screening dropouts. The data were conduct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6 version by the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actors associated with occupational fatigue of air force pilots were daytime dysfunction (β=.246, p=.012) which is a situational factor of them, and occupational stress in term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β=.210, p=.024) which is a psychological factor of them, and 18.7% of their occupational fatigue was explained. Based on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mental health level of air force pilots and investigate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occupational fatigue and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a policy for occupational fatigue management. Finally, our study findings confirmed that the more severe daytime dysfunction and the higher occupational stress in term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higher the level of occupational fatigue of air force pilots. Thus, it is necessary to steadily monitor the level of occupational fatigue of air force pilots and it is needed that an integrated approach considering psychological and situational factors when it comes to designing intervention programs and preparing institutional policies for their occupational fatigue management.

본 연구는 Lenz 등(1995)의 불쾌 증상이론을 토대로 공군 조종사의 일반적 특성, 직업적 특성, 직업 피로 및 정신건강(수면의 질, 우울, 불안,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조사하고, 공군 조종사의 직업 피로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8개의 공군부대에서 할당 표본추출 방법으로 모집한 공군 조종사로, 자료수집은 2021년 9월 6일부터 2021년 10월 12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로 진행하였다. 회수된 175명의 자료 중 스크리닝 탈락 33명(선정기준미달 32명, 중복응답 1명)의 자료를 제외하고 총 14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6 version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를 시행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별은 남성이 138명(97.2%)으로 다수를 차지하였고 평균 연령은 30.92±4.20세였으며, 30대 이상이 79명(55.6%)이었다. 결혼상태는 기혼이 81명(57.0%)이었고 동거하는 경우가 73명(51.4%)이었으며, 주관적인 건강 상태는 좋음이라 응답한 경우가 86명(60.6%)이었다. 건강 상태 관련 진료나 상담 경험이 없는 경우가 123명(86.6%)이었고 현재 흡연자는 31명(21.8%), 현재 음주자는 115명(81.0%)이었으며, 104명(73.2%)이 주 2회 이상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있었다. 2. 대상자의 계급은 대위 이하가 95명(66.9%)으로 나타났고 비행 기종은 전투기 70명(49.3%), 수송기 36명(25.4%), 헬기 36명(25.4%)이었으며, 비행 자격은 교관(Instructor) 51명(35.9%), 요기(Wingman) 36명(25.4%), 4기 리더(4-Wing Leader) 33명(23.2%), 2기 리더(2-Wing Leader) 22명(15.5%) 순이었다. 평균 비행경력은 7.95±4.04년, 평균 총 비행시간은 1012.96±683.43시간, 월평균 비행 횟수는 11.37±4.29회, 월평균 당직 횟수는 3.79±2.78회, 일평균 지상 업무시간은 4.53±2.83시간, 일평균 비행시간은 1.40±0.54시간이었다. 조직에 피로를 보고하는 절차가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121명(85.2%), 주관적인 조종사 직업 만족도는 만족하는 경우가 100명(70.4%)이었다. 3. 대상자의 직업 피로는 133점 만점에 평균 96.06±14.62점이었고 직업 피로 하위영역인 전반적 피로도는 56점 만점에 평균 36.35±7.83점, 일상생활 기능장애는 42점 만점에 평균 33.39±4.96점, 상황적 피로는 35점 만점에 평균 26.32±4.34점이었다. 4. 대상자의 수면의 질은 21점 만점에 평균 6.06±2.14점이었고 절단 점수 5점을 초과하는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은 군이 81명(57.0%)이었다. 수면의 질 하위영역인 주관적인 수면의 질은 평균 1.23±0.50점, 수면 잠복기는 중위수(사분위수범위) 13.75±20.00분, 총 수면시간은 평균 6.45±0.79시간, 평소의 수면 효율은 평균 91.34±8.08%, 수면 방해는 평균 4.99±3.56점, 지난 한 달 동안 수면제를 복용하지 않았던 경우가 139명(97.9%), 주간 기능장애는 평균 2.07±1.35점이었다. 5. 대상자의 우울은 27점 만점에 평균 2.37±2.91점이었고 절단 점수 5점 이상인 우울한 군이 28명(19.7%)이었으며, 대상자의 불안은 21점 만점에 평균 1.54±2.66점이었고 절단 점수 5점 이상인 불안한 군이 17명(12.0%)이었다. 6.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100점 만점에 평균 39.77±11.30점이었고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인 물리환경은 평균 52.60±28.82점, 직무요구는 평균 45.74±19.66점, 직무자율성 결여는 평균 48.88±18.96점, 관계갈등은 평균 35.54±22.82점, 직무불안정은 평균 20.21±19.80점, 조직체계는 평균 42.91±19.11점, 보상부적절은 평균 42.55±19.20점, 직장문화는 평균 29.73±20.42점이었다. 7. 대상자의 직업 피로는 일반적 특성인 연령(t=2.342, p=.021), 주관적인 건강 상태(t=-2.029, p=.044), 직업적 특성인 비행경력(F=4.172, p=.020)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즉, 30대 미만보다 30대 이상이, 주관적인 건강 상태를 보통이나 나쁘다고 인식하는 경우, 비행경력이 많을수록 직업 피로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면의 질 하위영역 중 주관적인 수면의 질(r=.195, p=.021), 수면 잠복기(r=.247, p=.003), 수면 방해(r=.274, p=.001), 수면제 복용(r=.174, p=.040), 주간 기능장애(r=.328, p<.001), 우울(r=.289, p=.001), 불안(r=.271, p=.001),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 중 물리환경(r=.345, p<.001), 직무요구(r=.220, p=.009), 조직체계(r=.219, p=.009), 직장문화(r=.172, p=.042)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대상자의 상황적 요인인 주간 기능장애(β=.246, p=.012)와 심리적 요인인 물리환경 측면의 직무스트레스(β=.210, p=.024)가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공군 조종사의 직업 피로를 18.6% 설명하였다. 이중에서도 상황적 요인인 주간 기능장애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공군 조종사의 직업 피로, 정신건강 수준을 파악하고 직업 피로 관련 요인을 규명할 수 있었으며, 공군 조종사의 직업 피로 관리 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 점에 의의가 있다. 최종적으로 주간 기능장애가 심할수록, 물리환경 측면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공군 조종사의 직업 피로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공군 조종사의 직업 피로 수준에 관심을 두고 꾸준한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들의 직업 피로 관리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 구상과 제도적 정책 마련 시 상황적, 심리적 요인을 고려한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T01515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980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