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 344

Cited 0 times in

Association of sedentary time and physical activity with insulin resistance among middle-aged Koreans: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Diseases Etiology Research Center (CMERC) study

Other Titles
 중년 한국인의 앉아있는 시간과 신체활동의 인슐린저항성과의 연관성: 심혈관 대사질환 원인 연구센터 연구 
Authors
 송모세 
College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Department
 Others (기타) 
Degree
석사
Issue Date
2022-02
Abstract
Background: The combined associations between sedentary time (SB) and physical activity (PA) with insulin resistance is poorly understoo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bined associations of sedentary time and physical activity with insulin resistance in middle-aged Korean adult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included 7,640 participants (2,575 men and 5,065 women) aged 30 to 64 years from the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Diseases Etiology Research Center study baseline enrollment (December 2013 to February 2018). Both sedentary time and physical activity measured by using a Korean version of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short form (IPAQ-SF) were categorized into tertiles; (<28, 28-<49, or ≥49 h/wk for sedentary time) and (<9.9, 9.9-<30.6, or ≥30.6 metabolic equivalents (METs)-h/wk for physical activity).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was calculated for the index of insulin resistance.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sedentary time/physical activity and HOMA-IR. And adjusted odds ratio (OR)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from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 were generated to estimate the associations between sedentary time and physical activity with insulin resistance (HOMA-IR >1.6). Result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sedentary time as continuous variable with HOMA-IR [β (standard error; SE), p-value; 0.002 (0.000), <.0001], and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s continuous variable with HOMA-IR [β (SE), p-value; -0.002 (0.000), <.0001] were observed after fully adjustment. The associations of categories combined with sedentary time and physical activity with HOMA-IR were positive [p for trend; <.0001]. In the categories with sedentary time ≥49 h/wk and physical activity <9.9 METs-h/wk, the odds ratio for insulin resistance was 2.20 [95% CI; 1.75-2.77] compared to the reference group (sedentary time <28 h/wk and physical activity ≥30.6 METs-h/wk). Conclusion: We could find that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sedentary time and HOMA-IR, and a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HOMA-IR in middle-aged Korean, independently. Compared to the participants with the highest physical activity and the lowest sedentary time, few exceptions, there were significant and positive associations of categories combined with sedentary time and physical activity with insulin resistance. Both sedentary time and physical activity are independently important factors related to insulin resistance.

배경 및 목적: 앉아있는 시간과 중등도이상의 신체활동 시간이 인슐린저항성에 미치는 결합효과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의 목적은 앉아있는 시간과 신체활동 시간이 인슐린저항성에 미치는 결합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본 단면연구는 심혈관대사질환원인 연구등록(2013 년 12 월부터 2018 년 2 월까지)때의 만 30 세부터 64 세까지의 총 7,640 명(남자 2,575, 여자 5,065 명)의 대상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국제 신체활동 설문지-한국형 단축형 한국판을 이용하여 측정된 앉아있는 시간과 신체활동 시간(<28, 28-<49, ≥49 시간/주)와 <9.9, 9.9-<30.6, ≥30.6 METs-시간/주, 여기서 METs-시간/주는 대사성 신진대사율)의 3 분위로 구분되었고 인슐린 저항성은 항상성모형평가 (HOMA-IR)으로 평가 되었다. 여러 공변량을 보정한 뒤 앉아있는 시간과 신체활동 시간 그리고 인슐린저항성 (HOMA-IR>1.6 로 평가함)의 관련성을 다중회귀모델과 다중로지스틱모델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HOMA-IR 과 연속변수로서의 앉아있는 시간은 [측정치 (표준편차), p-값; 0.002 (0.000), <.0001]의 양의 관련성을 보였다. 신체활동은 [측정치 (표준편차), p-값; -0.002 (0.000), <.0001)의 음의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앉아있는 시간과 신체활동의 조합된 그룹에서의 HOMA-IR 와의 관련성은 전반적으로 양의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경향성 p-값; <.0001]. 앉아있는 시간이 가장 많고 (≥49 시간/주) 가장 적은 신체활동 (<9.9 METs-시간/주)을 가진 그룹에서는 인슐린저항성에 대해 [오즈값 (95% 신뢰구간); 2.20 (1.75-2.77), 경향성 p-값; <.0001 ]의 높은 양의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결론 및 고찰: 우리의 연구결과는 한국의 중년층에서는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과 HOMA-IR 사이의 양의 연관성과 신체 활동 및 HOMA-IR 간의 음의 연관성이 독립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슐린저항성에 대해 신체활동이 가장 높고 앉아있는 시간이 가장 적은 사람들에 비해, 소수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앉아있는 시간과 신체활동의 조합을 통해 본 관련성은 유의한 양의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앉아서 하는 시간과 신체 활동 모두 인슐린 저항성과 관련된 독립적으로 중요한 요소들이다.
Files in This Item:
T01528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962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