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6 522

Cited 0 times in

약물 관련 악골 괴사증 치료에서 teriparatide 적용에 따른 치료기간과 골 표지자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reatment period and bone turnover markers according to application of teriparatide in the treatment of medication-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Authors
 이정수 
College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Department
 Others (기타) 
Degree
석사
Issue Date
2021-08
Abstract
The administration of teriparatide(TPTD) shows good clinical outcomes in previously refractory medication-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s(MRONJ). Bone turnover markers, factors involved in bone formation and resorption, is used to measure the activity of bone metabolism and is an important factor that assess the onset of MRONJ and the prognosis for treatment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difference in treatment duration, the34 number of surgical procedures and the change in the bone turnover marker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eriparatide in MRONJ patients. Seventy-six patients who diagnosed with MRONJ and resolved after treatment were classified as conservative treatment and surgical treatment, the application of teriparatide. Patients ’ MRONJ related characteristics, duration of treatment, number of surgical procedures and changes in bone turnover marker - serum C-terminal telopeptide cross link of type 1 collagen(CTX), osteocalcin(OC), procollagen type 1 N terminal propeptide(P1NP), parathyroid hormone(PTH), 25-OH-Vitamin D(25(OH)D), calcium and inorganic P - at the first visit and completion of treatment were measured. In the result, the rate of recovery by conservative treatment without surgical operation was higher in the maxilla than mandible,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06). In all groups, the total treatment period was shorter in the group that applied TPTD than that did not apply TPTD.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In surgical group, the groups that applied TPTD has a shorter surgical treatment period than that did not apply TPTD,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3). Both TPTD group and Non-TPTD group, CTX, OC and 25(OH)D level before and after treatment was significantly elevated, and higher in TPTD group(p<0.01). P1NP level increased in both groups, but only in Non-TPTD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12). PTH level decreased in both group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a and P levels 35 increased in both groups, but only Ca level in TPTD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p=0.000). In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TPTD in MRONJ treatment can shorten the treatment period during surgical treatment and is expected to act as an important factor in predicting the effect of MRONJ treatment by promoting the activity of bone metabolism

약물 관련 악골 괴사증(Medication-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s, MRONJ) 치료방법에 대한 연구는 구강악안면외과의에게 중요한 영역 중 하나이며, 보존적 치료로 자연 치유를 도모하거나 외과적 술식을 통하여 괴사된 골의 제거가 필요하다. 부가적인 치료방법 중 하나로 재조합 parathyroid hormone인 teriparatide(TPTD)약물 치료가 MRONJ치료에서 좋은 결과를 보이고 있지만 아직 TPTD 적용 유무에 따른 치료효과의 차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또한 골의 생성과 흡수에 관여하는 인자들인 골 표지자(bone turnover marker) 검사로 골 대사의 활성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는 MRONJ발병과 치료에 대한 예후를 평가 할 수 있는 중요한 인자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MRONJ로 진단되어 치료 후 완치된 환자 총 76명 중 1)보존적 치료만으로 완치되었으며, TPTD치료를 하지 않은 그룹 (Conservative : Non-TPTD) (n=8) 2)보존적 치료만으로 완치되었으며 TPTD치료를 한 그룹 (Conservative : TPTD) (n=8) 3)외과적 술식을 진행하였으며 TPTD치료를 하지 않은 그룹 (Surgical : Non-TPTD) (n=33) 4)외과적 술식을 진행하였으며 TPTD치료를 시행한 그룹 (Surgical : TPTD) (n=27) 으로 나누었으며, 각 그룹에서의 MRONJ관련 환자의 특성, 치료기간, 외과적 술식 횟수, 골 표지자 검사의 변화양상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하악 보다 상악에서 외과적 수술 없이 보존적 치료만으로 회복 되는 비율이 높았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6). 2. 보존적 치료만 진행한 그룹과 외과적 치료를 진행한 그룹 각각 TPTD 그룹에서 상대적으로 더 짧은 치료기간을 보였다 하지만 두 그룹 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Conservative group : p=0.591, Surgical group : p=0.507). 3. 외과적 치료를 진행한 그룹에서 수술 시행 후부터 완치까지의 기간 (Surgical treatment period)은 TPTD 그룹이 더 짧은 기간을 가졌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0). 수술 횟수도 TPTD 그룹이 더 적은 수술 횟수를 보였다. 하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9). 4. TPTD치료를 시행한 그룹과 시행하지 않은 그룹에서 치료 전후 골 표지자 변화양상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가. CTX, osteocalcin, 25-OH-Vitamin D는 두 그룹 다 유의미한 상승을 보였으며, TPTD 시행한 그룹에서 더 높은 상승 값을 보였다(p<0.01) 나. P1NP는 두 그룹 다 상승하였지만, TPTD를 시행하지 않은 그룹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가졌다(p=0.012). 다. Parathyroid hormone 수치는 두 그룹 다 비슷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TPTD : p=0.090, Non-TPTD : p=0.091). 라. 두 그룹 다 Calcium, Inorganic P 수치가 상승하였다. 하지만 TPTD치료를 시행한 그룹에서 calcium만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상승을 보였다(p=0.001).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MRONJ 치료에 있어서 teriparatide의 적용은 치료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부가적인 치료 방법이며 골 대사의 활성도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A0307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559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