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2 402

Cited 0 times in

인지기능저하 환자의 유형 별 대면 이름대기 단서 촉진 효과 비교 및 관련 요인

Other Titles
 Comparison of cueing effects in confrontation naming test by type in patients with cognitive function decline 
Authors
 신형탁 
College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Department
 Others (기타) 
Degree
석사
Issue Date
2021-08
Abstract
서론: 이름대기 수행력 저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에서 흔히 볼 수 있지만, 원인 병리에 따라 다른 인지적, 언어적 특성을 나타낸다. 이를 살펴보기 위한 대표적인 언어 검사는 대면 이름대기 검사(Confrontation naming test)로, 인지기능저하 환자들의 유형 별 수행력과 단서 제공에 따른 촉진 효과에 대한 비교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유형 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단서 촉진 효과는 그들이 갖는 제한적인 인지 기능과 관련이 깊은데, 어떠한 인지 기능 저하가 환자들의 단서 촉진 효과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알츠하이머 병리(Alzheimer’s disease, 이하 AD) 환자군 4명, 루이소체 병리(Lewy body disease, 이하 LBD) 환자군 20명, AD/LBD 혼합형 환자군(Mixed Alzheimer’s disease & Lewy body disease, 이하 Mixed AD/LBD) 12명, 의미변이 원발진행성실어증(semantic variant PPA, svPPA) 환자군 6명, 비유창 원발진행성실어증(nonfluent variant PPA, nfvPPA) 환자군 8명을 포함한 총 50명의 다섯 유형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들에게 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15문항 단축형(Korean-version of Boston Naming Test-15, K-BNT-15)을 포함하여, 신경심리학 검사를 실시하였다. KBNT-15 실시 중 환자가 정확한 단어를 떠올리지 못할 경우, 의미 단서와 음절 단서를 차례로 제공하였다. 이 후, 연령, 성별, 교육수준 및 한국판 간이정신상태 검사(Korean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이하 K-MMSE) 점수를 통제한 뒤, 의미 단서를 제공하였을 때의 총점(K-BNT-sem), 연이어 음절 단서를 제공하였을 때 총점(K-BNT-syll), 그리고 음절 단서를 제공하여 호전된 점수를 각 치매 유형별로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음절 단서를 제공하여 호전된 점수와 신경심리학적 검사 점수의 상관관계는 동일한 공변량을 설정하여 푸아송 분포를 나타내는 일반화 선형 모델을 바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svPPA 집단은 다른 네 집단보다 K-BNT-15, K-BNT-sem, K-BNTsyll 점수가 현저하게 낮았다. LBD 집단과 Mixed AD/LBD 집단은 nfvPPA 집단과 비교하여, K-BNT-15 및 K-BNT-sem 점수가 낮았지만, K-BNT-syll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svPPA 집단은 LBD 및 Mixed AD/LBD 집단보다 음절 단서의 촉진 효과가 더 적게 나타났던 반면, Mixed AD/LBD 집단은 nfvPPA 집단보다 더욱 큰 점수 향상을 나타냈다. 이는 대면 이름대기에서 LBD가 음절 단서를 제공받은 후, 점수가 크게 향상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결과는 주의력, 시공간력 및 시각적 기억력이 주로 필요한 검사에서 더 낮은 점수를 받은 환자들이 음절 단서를 제공받은 후, 더 큰 이름대기 점수 향상을 나타낸 것과 관련이 있다. 결론: LBD의 주의력 결핍은 단어 인출의 결손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음절 단서에 의해 개선될 수 있는 반면, svPPA에서 의미적 개념 손실은 단서에 의해 극복될 수 없는 것을 보여준다.

Introduction: Naming difficulty is common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but their underlying mechanism could be different. A representative language test, the confrontation naming test allows to compare performance and cueing effects by types in patients with cognitive function decline. differences of performance and cueing effects by types are closely related to their limited cognitive function, and we want to examine which cognitive function decline is closely related to cueing effects in patients. Methods: We recruited 50 patients: 4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D), 20 with pure Lewy body disease (LBD), 12 with mixed AD/LBD, 6 with semantic variant of primary progressive aphasia(svPPA), and 8 with non-fluent agrammatic variant of PPA(nfvPPA), who underwent detailed neuropsychological tests including the Korean-version of the Boston Naming Test-15(K-BNT-15). During performing the K-BNT-15, semantic cues, and then syllabic cues were given if patients could not retrieve the appropriate words. Total K-BNT-15 scores after semantic cues(K-BNT-sem), subsequent syllabic cues(K-BNT-syll), and the improved scores after syllabic cues were compared between disease groups using analyses of covariance after controlling for age, sex, education, and Korea-version of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K-MMSE). The predictors and neuropsychological correlates of the improved scores after syllabic cues were evaluated using generalized linear models with Poisson distribution using same covariates. Results: The svPPA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K-BNT-15, K-BNT-sem, and K-BNT-syll scores than the other four groups. Compared to the nfvPPA group, the pure LBD group and mixed AD/LBD group had lower K-BNT-15 and K-BNT-sem scores, but comparable K-BNT-syll scores. The svPPA group had a smaller improvement after syllabic cues than the pure LBD and mixed AD/LBD groups, while the mixed AD/LBD group had a greater improvement than the nfvPPA group. The presence of LBD was associated with a greater improvement after syllabic cues. Lower scores in attention, visuospatial, and visual-memory recognition tests were associated with a greater improvement after syllabic cues. Discussion: Attentional deficit in LBD could be related with word retrieval deficit and improved by syllabic cues, while semantic loss in svPPA could not be overcome by cues.
Files in This Item:
TA0306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558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