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9 307

Cited 0 times in

Association of the abdominal adiposity indexe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triglyceride-glucose index on hypertension: The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Diseases Etiology Research Center (CMERC) cohort

Other Titles
 고혈압에 대한 복부 지방 혈증 지수와 중성지방-포도당 지수의 상호 작용 
Authors
 Anni Naharin Sultana 
College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Department
 Others (기타) 
Degree
석사
Issue Date
2021-08
Abstract
배경 및 목적: 비만은 고혈압의 대표적인 위험요인이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중성지방포도당(Triglyceride-glucose, TyG) 지수는 인슐린 저항성을 평가하는 지표임에도 불구하고 고혈압과 긍정적인 연관성을 보였다. 현재 고혈압과 비만의 연관성은 활발하게 연구 되고 있지만, 고혈압에 대한 복부 지방과 중성지방-포도당 지수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중년 인구의 고혈압에 대한 복부 지방 지수와 중성 지방-포도당 지수의 연관성과 상호 작용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심혈관 및 대사질환 원인연구센터(CMERC) 코호트의 기반 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단면 연구이다. 복부 지방 지수는 정량적골염량측정법(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 QCT)을 통하여 측정되었으며, 내장지방면적(Visceral Fat Area, VFA), 피하지방면적(Subcutaneous Fat Area, SFA), 내장지방면적 대 피하지방면적 비율(Visceralto-Subcutaneous fat Ratio, VSR)의 세 가지 지표로 구분하였다. 고혈압은 수축기혈압 ≥ 140mmHg 및 / 또는 이완기혈압 ≥ 90mmHg, 고혈압 진단력, 또는 고혈압 약물 복용력 으로 정의하였다. 중성지방-포도당 (Triglyceride-glucose, TyG) 지수는 방정식 (공복 중성지방(fasting triglycdride(mg/dl))×공복 포도당(fasting glucose(mg/dl)))/2 으로 정의하였다. 복부 지방 지수와 고혈압 사이의 연관성은 다중 로지스틱 회귀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가법 상호작용(additive interaction) 효과는 상호작용의 상대 초과 위험(RERI) 및 각 복부 지방 지수와 중성 지방-포도당 지수 사이의 승법 상호작용을 통해 측정되었다. 연구결과 : 내장지방면적이 높을수록 내장지방면적 대 피하지방면적 비율 수치는 남성 및 여성에서 상대적으로 고혈압 유병률이 더 높았다 (p for trend <0.01). 중성지방-포도당 지수는 고혈압과 긍정적인 연관성이 있으며, 중성지방-포도당 지수가 높아질수록 남녀 모두에서 고혈압의 높은 승산비(OR)를 보였다. 남성의 승법 척도에서 내장지방면적과 중성지방포도당 지수 사이에는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보였다. 높은 내장지방면적 및 중성지방포도당 지수의 결합 된 측정 값과 높은 내장지방면적 대 피하지방면적 비율 및 중성지방포도당은 남성에서 가법 상호 작용을 보였으나 (내장지방면적, RERI = 0.56, 95 % 신뢰 구간 [0.44 – 0.68]), p= <0.001; (내장지방면적 대 피하지방면적 비율, RERI= 1.51, 95% 신뢰구간 [0.60 – 2.44]), p= <0.001), 여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및 고찰: 복부 지방의 증가는 한국 중년 인구의 고혈압 유병률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또한 남성의 고혈압 유병률에 대한 중성지방-포도당 지수와 내장지방면적 및 내장지방면적 대 피하지방면적 비율 간의 가법적, 승법적 상호작용을 관찰한 결과는 생활습관 개선을 통한 고혈압의 조기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Background: Abdominal obesity is a risk factor for hypertension, but there is scarce evidence on the interaction of abdominal obesity and triglyceride-glucose (TyG) index on hypertensio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association of the abdominal adiposity indexe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triglyceride-glucose index on hypertension in the middle-aged Korean population. Methods: This study used the baseline data of the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Diseases Etiology Research Center (CMERC) cohort.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CT) scan results were used to quantify three adiposity indexes: visceral fat area (VFA), subcutaneous fat area (SFA), and the visceral-to-subcutaneous fat ratio (VSR). TyG index had calculated using the standard equation 𝐿𝑛 (𝑓𝑎𝑠𝑡𝑖𝑛𝑔 𝑡𝑟𝑖𝑔𝑙𝑦𝑐𝑒𝑟𝑖𝑑𝑒)×(𝑓𝑎𝑠𝑡𝑖𝑛𝑔 𝑔𝑙𝑢𝑐𝑜𝑠𝑒) 2 . Participants with a mean systolic blood pressure of ≥ 140 mmHg, diastolic blood pressure of ≥ 90 mmHg, or who used antihypertensive drugs had considered hypertensive.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adiposity indexes and hypertension, we us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s. The additive interaction effects were measure by the relative excess risk of interaction (RERI) as well as interactions on a multiplicative scale between each adiposity index and the TyG index. Results: Higher VFA, VSR levels had a relatively higher prevalence of hypertension in men and women (p for trend was <0.01). TyG index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and the presence of a higher TyG index increased the odds ratio (OR) of hypertension in both sexes. There were 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VFA and TyG index on the multiplicative scale in men (p = 0.030). In addition, the combined measures of the high VFA and TyG index, as well as the high VSR and TyG index showed an additive interaction in men (RERI= 0.56, 95% confidence interval (CI)= 0.44 – 0.68 for VFA), and (RERI= 1.51, 95% CI= 0.60 – 2.44 for VSR), but not in women. Conclusion: Increased abdominal adipos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higher prevalence of hypertension in the Korean middle-aged population. Furthermore, we observed additive and multiplicative interactions between the TyG index and VFA, and VSR on hypertension prevalence in me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early prevention of hypertension through lowering the visceral fat, serum triglyceride, and blood glucose level.
Files in This Item:
TA0305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557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