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317

Cited 0 times in

Factors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among women with children in Kore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Other Titles
 한국 유자녀 여성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COVID-19) 대유행 시기 삶의 질 관련 요인 
Authors
 신가영 
College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Department
 Others (기타) 
Degree
박사
Issue Date
2021-08
Abstract
본 연구는 COVID-19 유행 상황에서, 부정적 영향력이 더 크게 보고되는 집단인 한국의 기혼 유자녀 여성의 삶의 질을 확인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탐색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상관성 연구이다. 건강관련 삶의 질 모형을 바탕으로, 기능 상태, 증상, 환경적 요인, 개인적 요인으로 관련 요인을 탐색하였다. 더욱이 자녀의 연령에 따라 유자녀 여성의 삶의 질과 관련 요인들의 특성이 다른 것으로 확인되어, 영유아를 둔 유자녀 여성, 초등학교 저학년 유자녀 여성, 초등학교 고학년 유자녀 여성의 세 집단으로 나누어 삶의 질의 특성과 관련 요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5~49세 영유아, 초등학생 자녀를 둔 유자녀 기혼 여성이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21년 3월 4일부터 18일이었다. 총 참여 대상자는 1,007명으로, 0-6세의 영유아 유자녀 여성 338명, 초등학교 저학년 유자녀 여성 333명, 초등학교 고학년 유자녀 여성 336명을 포함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은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질문지를 이용하여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9.4 통계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량과 t-test, 분산분석 (Scheffe's test), Pearson 상관성 분석, 선형 회귀 분석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대상자의 삶의 질 수준은 평균 3.03 점 (가능 점수: 1-5점)이었다. 0-6세의 영유아 유자녀 여성의 삶의 질 수준이 2.90 점으로 초등학교 저학년 및 고학년 유자녀 여성의 삶의 질 수준 3.09 점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1). 2. 기능 상태인 양육 보호 요인은 매우 강력한 관련성을 보이며, 보호 요인 수준이 올라가면, 총 대상자 뿐 아니라 각 집단에서도 유의하게 삶의 질이 높았다(p<.001). 양육 보호 요인은 교육 수준이 올라갈수록 높았으며 (p=0.003), 초등학교 고학년 유자녀 여성의 경우, 돌봄 서비스의 변화가 있으면, 양육 보호 요인의 수준이 유의하게 낮았다 (p=0.002). 또 다른 기능 상태인 COVID-19와 관련된 양육의 어려움도 대상자 전체(p<.001) 뿐 아니라 각 집단의 여성 (영유아 유자녀 여성: p<.001, 초등학교 저학년 유자녀 여성:p<.001, 초등학교 고학년 유자녀 여성:p<.001)에게서 삶의 질 수준을 낮추었다. 영유아 유자녀 여성의 경우 자녀의 연령이 어릴수록 (p<.001), 돌봄 서비스의 변화가 있을 때 (p=0.046) 양육의 어려움이 높았다. 초등학교 저학년 유자녀 여성의 경우, 주부보다 직장에 나가 일을 하는 경우 (p=0.011) 양육의 어려움이 높았다. 3. 심리적 증상인 불안과 우울은 각각 전체 대상자의 삶의 질 수준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p=0.010, p=0.004). 특히, 불안이 높아지면, 영유아 유자녀 여성의 삶의 질 수준은 유의하게 낮았으며 (p=0.016), 우울이 높아지면, 초등학교 저학년 및 고학년 유자녀 여성의 삶의 질 수준이 유의하게 낮았다 (p=0.006, 0.026). 불안과 우울은 재택근무 등 집에서 일을 하는 여성의 불안 호소 정도가, 주부나 직장에 나가 일을 하는 여성의 경우보다 높았으며, 가계소득이 낮아지면 불안과 우울은 증가하였다. 불안은 초등학교 고학년 유자녀 여성의 경우, 돌봄 서비스의 변화가 있을 때 높았다. 우울은 대상자의 교육 수준이 고등학교 이하일 경우 불안 수준이 높았다. 4. 환경적 요인 중 배우자 지지는 대상자 전체 (p<.001)와 영유아 유자녀 여성 (p<.001)의 삶의 질과 관련성이 있어, 배우자 지지가 상승하면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아졌다. 가정 환경 혼돈 정도는 상관성 분석에서 삶의 질과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나, 회귀분석에서는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5. 개인적 요인 중 기질적 희망은 그 수준이 올라가면 대상자 전체의 삶의 질을 유의하게 높였다 (p<.001). 그러나 다른 개인적 요인인 COVID-19 위험성 인식은 상관성 분석에서 삶의 질과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나, 회귀분석에서는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삶의 질을 살피면, 주부보다 집이나 직장에 나가 일을 하는 유자녀 여성일 경우, 가계소득이 500만원 이상일 경우 삶의 질은 높았다. 초등학교 고학년 유자녀 여성의 경우 특히, COVID-19 발생 위험률 (인구 10만명당)이 높은 경우, 삶의 질이 낮았으며, 대상자의 교육 수준이 대학원 이상일 경우에는, 삶의 질이 높았다. 7. 대상자의 COVID-19 관련 경험들 중, COVID-19와 관련한 정신건강서비스를 알고, 이용했는지 등은 삶의 질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실제 정신건강서비스를 알고 있는 경우는 전체 여성의 25.92%였으며, 이용자는 6.75%였다. 결과의 종합적 고찰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살피면 다음과 같이 결론 내릴 수 있었다. 유자녀 여성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자녀의 돌봄 역할 기능을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더욱이 유자녀 여성 중, 취약한 집단을 확인하여 이들에 대한 우선적인 중재가 이루어 져야 한다. 특히, 유자녀 여성의 직업 상태에 따라, 삶의 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가 마련되어야 한다. 자녀의 연령별로 유자녀 여성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전략이 다를 필요가 있으며, 현재의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등의 기능을 확대하여 활용하여야 한다. 또한 현재 정부에서 실시하는 정신건강서비스의 기능을 확대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COVID-19 유행 속에서 기혼 유자녀 여성의 삶의 질을 파악하고, 이들의 관련 요인을 탐색한 국내 첫 연구이다. 통합적 고찰을 통해, 간호 연구와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근거와 함께, 구체적인 정책적 제안과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cross-sectional survey aimed to identify the quality of life (QOL) and its associated factors of Korean women with children, reported as a vulnerabl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Based on the health-related QOL model of Ferrans et al. (2005), this study explored the influence of functional status, psychological symptom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intrapersonal characteristics. Since the factors related to the QOL of women with children were expected to vary depending on the children’s age, participants were analyzed in three groups: women with preschoolers (aged 0–6 years), women with lower-elementary school (grades 1–3) children, and women with upper-elementary school (grades 4–6) childre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married women aged 25–49 years with children aged 0–12,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4 to 18, 2021.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was 1,007: 338 women with preschoolers, 333 women with lower-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336 women with upper-elementary school children participated in online surveys using structur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AS 9.4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QOL for all participants was moderate level (3.03), out of a possible range: 1–5). Women with preschoole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total QOL (2.90) th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3.09) (p < .001). 2. Functional status: Firstly, parents' protective factors were strongly related with QOL, and as the level of protective factors increased, QO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l groups as well as in participants as a total (p < .001). The scores of parents’ protective factors were higher as education levels increased (p = 0.003). In women with upper-elementary school children, those who experienced changing care service due to the pandemic had a lower protective score (p = 0.002). Secondly, parenting difficulties due to COVID-19 lowered the level of QOL in participants as a total (p < .001), as well as in all groups (women with preschoolers: p < .001, women with lower-elementary school children: p = 0.001, and women with upper-elementary school children: p < .001). Women who had preschoolers and had changed care service reported greater difficulties (p = 0.046). For women with lower-elementary school children, those who worked at the workplace had a higher risk than housewives (p = 0.011) 3. Psychological symptoms: Both anxiety (p = 0.009) and depression (p = 0.004)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QOL in participants as a total. In women with preschoolers, the QOL level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the anxiety level increased (p = 0.016), but depression was not. In contrast, in women with lower-elementary (p = 0.006) and upper-elementary (p = 0.026) school children, the QOL level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the depression level increased, but not for anxiety. Women who worked from home had higher anxiety (p < .001) and depression (p = 0.001) levels than women who worked at the workplace. Participants with a household income of less than 3 million Korean won (KRW) were more anxious (p = 0.001) and depressed (p = 0.001). In women with upper-elementary school children, those who experienced changing care service after COVID-19 had higher anxiety levels (p = 0.004). Women who were high school graduates or undergraduates were more depressed than the college graduates or postgraduate in participants as a total (p = 0.002) or women with preschoolers (p = 0.009). 4.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s spousal support increased, the QOL level increased significantly in participants as a total (p = 0.001) and in women with preschoolers (p < .001 0.0002). Household chao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QOL (p < .001); but in the regression analysis i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QOL. 5. Intrapersonal characteristics: When the level of dispositional hope increased, the QOL level also improved in participants as a total but not in other groups (p = 0.001). COVID-19 risk perception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QOL (p < .001); but in the regression analysis, i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QOL. 6. The QOL level was higher in women who worked from home or worked at the workplace than housewives and also in women with a household income of more than 5 million KRW. In women with upper-elementary school children, those with a graduate degree had higher QOL levels (p = 0.020). Participants who lived in the area with a higher COVID-19 incidence rate, had lower QOL levels (p = 0.047). 7. COVID-19-related experiences: Women who knew and used psychological health services related to COVID-19 significantly reported higher QOL. In this study, 25.92% of the women were aware of psychological health services, and 6.75% of them had used the service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the first attempt to explore QOL and identify associated factors of women with childre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to improve QOL are as follows. In order to improve QOL of women with children during the ongoing COVID-19 pandemic, it is important to enhance and support parenting roles. Moreover, vulnerable groups such as women with preschoolers should b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age group and preferential intervention should be made. Depending on the employment status of women with children, effective interven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promote their QOL. Moreover, strategies to improve QOL of women with children should vary depending on the children’s age, a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urrent functions of daycare centers, kindergartens, and schools to assess and reinforce parenting roles. Expending scope of psychological health services currently provided by the government to better meet the needs of women with children is also neede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553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