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3 1198

Cited 0 times in

임신성 당뇨병을 경험한 여성을 위한 심리사회적 지지 중재: 체계적 문헌고찰

Other Titles
 Psychosocial Support Interventions for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 Systematic Review 
Authors
 정슬기 
College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Department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Degree
석사
Issue Date
2021-02
Abstract
Background: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can negatively affect the woman and fetus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DM) is also possible. Women with GDM experience various psychological changes and have difficulties in self-management due to lack of psychosocial support. For positive maternal-fetal outcomes, the needs of the pregnant woman should be confirmed and supportive interventions that consider the complex situation of pregnancy and diabetes management are required.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ntent and impact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women with GDM, and to evaluate their effectiveness.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systematic review (SR) design. The following databases were searched without limiting time periods: PubMed (Ovid-Medline), Cochrane Library, Ovid- EMBASE, CINAHL, PsycINFO, NDSL, Koreamed, RISS, and KISS. Keywords such as "diabetes, gestational", "psychosocial support systems", "psychosocial support", "psychological support", "social support", "stress", "anxiety", "depression" were used. Following search of the literature, processes of literature selection, literature quality evaluation, and data extraction were conducted. Two investigators selected and independently reviewed articles according to the predefined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he quality of the articles was evaluated using the ROB 1.0 and RoBANS 2.0 checklist. In this study, a total of 14 articles on psychosocial intervention programs for women with GDM were selected and reviewed. Results: Psychosocial support interventions wer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1) informational support, 2) self-management motivation, 3) relaxation, and 4) emotional support. For informational support, teaching sessions included GDM and DM information, how to manage diet, exercise, stress, blood sugar, and weight, as well as postpartum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type 2 DM. Psychosocial support interventions targeted self-management motivation by setting a goal for management while checking diet and exercise management, glucose monitoring, and enhancing positive health behaviours. Practicing breathing and/or meditation was used; and sharing opinions and support was done for emotional support. Half (n=7) of the selected studies reported behavioral change, mostly in the form of self-care changes. Psychosocial supportive interventions to women with GDM were found to reduce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and improve self-efficacy. Ten of the 14 selected studies identified physiological changes in parameters such as fasting blood sugar, glycated hemoglobin, and 2hr postprandial glucose. Conclusion: This SR identified that psychosocial supportive interventions can positively affect self-care behaviors and lifestyle changes in women with GDM, that can further influence physiological parameters during pregnancy and following childbirth. Psychosocial supportive interventions are essential for women with GDM to practice health behavior change and more emotional support and relaxation measures need to be actively incorporated. Nurses can play a pivotal role in integrative management and can streamline the care that GDM women receive during pregancy and following birth, especially by providing guidance through psychosocial support interventions.

본 연구는 임신성 당뇨병을 경험한 여성을 위한 심리사회적 지지 중재의 내용과 영향을 분석하고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연구 수행은 코크란 연합 (Cochrane collaboration)의 중재법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지침인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5.1.0에 따라 실시하였고,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SMA)의 체계적 문헌고찰 보고 지침에 따라 수행하고 연구를 기술하였다. 서울 소재 Y 상급종합병원의 연구윤리심의위원회 면제 승인을 받은 후(Y-2020-0130), 국내·외 총 9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문헌을 대상으로 문헌 검색, 문헌 선정, 문헌의 질 평가, 자료 추출 과정에 따라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임신성 당뇨병을 경험한 여성에 대한 심리사회적 지지 중재 프로그램의 평가에 선택된 문헌은 총 14편이었고,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임신성 당뇨병을 경험한 여성에 대한 심리사회적 지지 중재 프로그램의 평가에 선택된 총 14편 중 2015년 이후에 출판된 문헌은 11편 (78.6%), 2010년 이후부터 2015년 이전에 출판된 문헌은 3편(21.4%)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연구는 5편, 국외 연구는 9편으로 국가별로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한국에서 연구된 논문이 5편(35.7%)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이란에서 4편(28.6%), 터키, 네덜란드, 영국, 호주, 아일랜드에서 각각 1편(7.1%)씩 출판되었다. 연구대상자 수는 총 1,331명으로 연구대상자 수가 50명 이상 100명 미만인 논문이 9편(64.3%)으로 가장 많았으며, 100명 이상인 논문이 3편(21.4%), 50명 미만인 논문이 2편(13,3%)이었다. 연구 설계로는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가 7편(50.0%), 유사실험 연구 전후 설계가 7편(50.0%)이었다. 임신성 당뇨병을 진단 받은 임부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 구는 10편(71.4%)이었고, 임신성 당뇨병 과거력이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는 4편(28.6%)이었다. 2. 문헌의 질 평가 결과,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 7편은 선택 비뚤림과 탈락 비뚤림이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실행 비뚤림, 결과 확인 비뚤림, 보고 비뚤림 영역에서는 전반적으로 비뚤림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되었다. 비무작위 연구 7편은 선택 비뚤림, 실행 비뚤림, 탈락 비뚤림은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평가자의 눈가림이 부적절 하거나 평가자의 눈가림이 확인이 되지 않아 확인 비뚤림이 가능성이 있었고, 선택적 결과 보고 여부 확인이 어려운 6편의 연구에서 보고 비뚤림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되었다. 3. 심리사회적 지지 중재의 목적은 자가 관리를 위한 동기부여, 이완,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등 4개의 범주로 이 중 정보적 지지가 12편으로 가장 많았고, 자가관리를 위한 동기부여는 11편, 이완 4편, 정서적 지지 4편 순으로 확인되었다. 중재 내용을 세부적으로 분석해보면 정보적 지지를 목적으로 제공된 중재 12편 중 식이습관 관리가 8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임신성 당뇨병 관련 정보제공 6편, 제 2형 당뇨병 예방 6편, 스트레스 관리 5편, 산후관리 5편, 운동습관 관리 3편, 혈당관리 3편, 체중관리 3편, 당뇨병 관련 정보제공 3편, 인슐린 요법 2편, 교육용 앱 사용 방법 설명 2편, 수면관리 1편 순으로 나타났다. 자가 관리를 위한 동기 부여를 목적으로 제공된 중재 11편 중 건강행동 실천 강화가 10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임신성 당뇨병 자가관리를 위한 목표 설정 7편, 혈당 모니터링 5편, 식이습관 모니터링 4편, 운동습관 모니터링 4편, 체중관리 모니터링 1편, 임신성 당뇨병 여성의 산후관리 모니터링 1편, 스트레스 관리 모니터링 1편 순으로 나타났다. 이완을 목적으로 제공된 중재 4편은 호흡 운동이 3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밖에 지압 요법 1편, 요가 운동 1편, 태교 1편 등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지지를 목적으로 실시된 4편의 중재는 소그룹 모임에서 의견 교환 및 지지를 이용한 3편 외에 긍정적인 감정 증진, 자가관리 실천 의지를 표현하도록 격려, 감정 표현을 하도록 격려를 적용한 것이 각각 1편으로 나타났다. 4. 임신성 당뇨병 여성의 심리사회적 지지 중재의 유효성을 행위적 변수, 심리사회적 변수, 생리적 변수로 나누어서 평가하였다. 행위적 변수의 변화는 14편 중 7편의 문헌에서 보고하고 있었고, 자가관리 행동 변화가 주요 변수로 보고되었다. 심리사회적 변수의 변화는 모든 문헌에서 보고하고 있었고, 우울, 불안, 자기 효능감, 스트레스 등을 주요 변수로 보고되었다. 생리적 변수의 변화는 10편의 문헌에서 보고하고 있었고, 공복혈당, 당화혈색소, 식후 2시간 혈당 등이 주요 변수로 보고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임신성 당뇨병 여성을 위한 중재 설계 시 정보적 지지 및 자가관리를 위한 동기부여를 강화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고, 건강행동 변화 실천 과정에서 발생하는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의 정서적 변화를 극복할 수 있도록 이완 및 정서적 지지를 포함하는 심리사회적 지지 중재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임신성 당뇨병 중재 프로그램 내용으로 1) 정보적 지지(식이습관 관리, 임신성 당뇨병 관련 정보제공, 제 2형 당뇨병 예방, 스트레스 관리, 산후관리, 운동습관 관리, 혈당관리, 체중관리, 당뇨병 관련 정보제공), 2) 자가관리를 위한 동기부여 (건강행동 실천 강화, 임신성 당뇨병 자가관리를 위한 목표 설정, 혈당 모니터링, 식이습관 모니터링, 운동습관 모니터링), 3) 이완(호흡 운동), 4) 정서적 지지(소그룹 모임에서 의견 교환 및 지지) 등을 고려하고 최종적으로는 건강행동 변화를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다면 임신성 당뇨병 여성의 공복혈당, 당화혈색소, 식후 혈당 등의 결과변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임신성 당뇨병 임산부가 산과와 내분비과 진료를 받는 상황에서 통합적 관리와 교량 역할을 하는 전문간호사를 통해 심리사회적 지지 중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궁극적으로 국민의 건강 및 복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A0275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533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