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738

Cited 0 times in

관상동맥우회술 환자의 전자의무기록(EMR) 기반 허약 평가와 수술 후 건강 성과

Other Titles
 Preoperative frailty using FI-LAB and postoperative health outcomes in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Authors
 임아름 
College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Department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Degree
석사
Issue Date
2021-02
Abstract
의료기술의 발달과 노인 인구의 증가로 수술 환자의 평균 연령이 높아지면서 환자의 허약을 고려한 수술 전후 간호의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특히 심혈관질환자는 허약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관상동맥우회술 환자의 수술 전 허약이 수술 후 건강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심도 있게 논의되어야 한다. 다양한 허약 평가 방법 중 EMR을 이용한 방법은 입원한 환자의 허약 수준을 확인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입원 시 일반적으로 수집하는 활력징후와 검체 검사 결과를 활용하여 수술 전 허약 수준을 평가하고, 허약이 관상동맥우회술 후 재원일수, 중환자실 재원일수, 30일 내 재입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2015년 8월 1일부터 2020년 7월 31일까지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 받은 A 병원의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분석하여 일반적 특성, 수술 전 건강상태, 수술 관련 요인, 수술 후 건강 성과를 확인하였다. 허약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Blodgett et al (2017)의 Frailty Index-Laboratory (FI-LAB) 도구를 사용하여 27개의 검체 검사 결과와 5개의 활력징후를 분석하고 허약 지수를 계산하였다. 기술 통계로 대상자의 특성을 확인하고 ANOVA, χ2 test로 허약 수준에 따른 특성을 비교한 후 다중 선형회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허약이 수술 후 건강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에 포함된 관상동맥우회술 환자 896명의 평균 연령은 66세였고 남성이 78%로 여성에 비해 3배 이상 많았다. 체질량지수의 평균은 24.7kg/m2였으며 과체중과 비만 환자가 전체의 71.8%였다. 2. 허약 지수의 평균은 0.3 이었으며 허약 수준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누었을 때 허약 수준이 낮은 그룹(FI-LAB<0.25)은 23.0%, 중간인 그룹(0.25≤FI-LAB≤0.40)은 54.9%, 높은 그룹(FI-LAB>0.4)은 22.1%를 차지하였다. 3. 허약 수준이 높을수록 대상자의 나이, 동반질환지수, 복용약물 개수, 수술 후 중증도 점수가 증가하였다. 허약 수준이 높을수록 수술 전 기능평가점수와 좌심실 박출률은 감소하였다. 4. 수술 전 건강상태와 수술 관련 요인의 영향을 보정했을 때 허약 수준이 높은 그룹은 허약 수준이 낮은 그룹에 비해 재원일수가 평균적으로 2.20일 증가하였고(p=.023), 중환자실 재원일수는 평균 0.89일 증가하였다(p=.009). 퇴원 후 30일 내 재입원을 할 오즈비는 허약 수준이 낮은 그룹에 비해 허약 수준이 높은 그룹이 2.58배 높았다(p=.022).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수술 전 허약이 수술 후 재원일수, 중환자실 재원일수와 30일 내 재입원에 대한 유의한 영향 인자임을 확인하였다. 높은 허약 수준은 관상동맥우회술 후 부정적인 건강 성과와 관련이 있었으며 이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평가한 허약과 건강 성과와의 관계와 유사하였다. 따라서 입원 시 일상적으로 수행하는 검체 검사와 활력징후를 이용한 전자의무기록 기반 허약 평가는 수술 전 허약한 환자를 식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The mean age of patients undergoing surgery has increased owing to improvements in medical technology and prolonged lifespan. As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s are more likely to be frail, preoperative discussion, including patients’ frailty level, is necessary to prevent negative health outcomes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CABG) surgery. Frailty is a state of decreased physiological capacity to cope with stressors, such as surgery; hence, it contributes to increased mortality after the surgery. The mechanisms of frailty are complex and are affected by many factors, and many methods to assess frailty are available. The frailty assessment tool for patients undergoing CABG surgery should be accurate and simple to apply while they await the surgery; hence,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based assessment can be useful. Purpose: This retrospective surve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frailty, which was assessed using laboratory data and vital signs, on postoperative health outcomes in patients undergoing CABG surgery. Method: We used the EMR data of patients who underwent CABG surgery between August 1st, 2015 and July 31st, 2020. The general characteristics, preoperative health status, surgery-related characteristics, and postoperative health outcomes of these patients were analyzed. The frailty index-laboratory (FI-LAB), which is composed of 32 routine laboratory data and vital signs, was used for frailty assessment. Results: The mean age of the 896 analyzed patients was 66 years, and 78% of patient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men. The mean body mass index was 24.7 kg/m2; the overweight and obese patients in this study were 71.8%. The mean FI-LAB score was 0.3 ± 0.1.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FI-LAB score: low (FI-LAB<0.25, 23.0%), moderate (0.25≤FI-LAB≤0.4, 54.9%), and high (FI-LAB>0.4, 22.1%). The weighted Charlson comorbidity index, the number of medications prescribed, and 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Ⅱ scor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 level of frailty group; however, the preoperative modified Barthel index and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same group. After adjusting the effect of age, sex, preoperative health status, and surgery-related factors, the high level of frailty group showed an increase of 2.20 days in the length of stay and 0.89 days in the length of intensive care unit stay compared to the low level of frailty group. The odds ratio of readmission within 30 days increased 2.58 times in the high level of frailty group compared to the low level of frailty group after covariance was adjusted. Conclusion: The frailty index using routine laboratory data and vital signs of EMRs was associated with negative health outcomes after CABG surgery, similar t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which used conventional methods to assess frailty, such as the Fried’s frailty phenotype or Rockwood’s frailty index. Therefore, this type of EMR-based frailty assessment could be helpful to identify frail patients without additional efforts in the clinical setting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531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