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257

Cited 0 times in

The association of employment status and blood pressure dipping patterns in a Korean cohort: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diseases etiology research center – high risk study

Other Titles
 CMERC-HI 코호트를 이용한 취업이 24시간 주기 혈압 패턴에 미치는 영향 분석 
Authors
 이슬아 
College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Department
 Others (기타) 
Degree
석사
Issue Date
2021-02
Abstract
심혈관 질환은 일반 인구 내에 상대적으로 흔한 질환으로, 특히 60 대 이상의 노인층에서 흔히 진단된다. 심혈관 질환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소들을 잘 관리하는 것은 그로 인한 추가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있어 굉장히 중요하다. 최근 개인의 사회심리 상태가 심혈관 질환의 발달과 진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주목을 받고 있다. 취업 유무는 개인의 사회 심리 상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최근 연구들에 따르면 무직 상태가 심혈관 질환 및 그 합병증 발생 여부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취업 상태가 어떤 기전을 통해 심혈관 질환의 발생 및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연구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는 뇌심혈관 질환 고위험군 대상자에 특화된 코호트를 이용하여 (CMERC-HI) 취업 여부가 진료실 측정 혈압, 24 시간 혈압, 중심동맥혈압, 맥파 속도 등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된 심혈관계 생체 표시자와 어떤 상관 관계를 갖는지 분석하였다. 총 1,915 명의 코호트 대상 중 449 명 (23.5%)의 환자가 무직인 상태였으며 1,466 명 (76.5%)은 취업 상태였다. 무직 군은 취업군에 비해 야간 혈압이 주간 혈압보다 올라간 환자군 (reverse dipper)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81 (18.0%) vs. 167 (11.4%), P < 0.001]. 다항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 따르면 다양한 교란 변수를 보정한 이후에도 무직 여부와 reverse dipper의 빈도는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Odds ratio, 1.577; 95% CI, 1.124 – 2.202; P = 0.008). 따라서, 본 연구는 무직 상태가 혈역학적 생체주기에 지장을 미침으로써 심혈관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Cardiovascular disease (CVD) is prevalent in the general population, affecting majority of people over 60 years old. There are several well-established risk factors for CVD, and better control of these modifiable risk factors are very important to prevent further complications from CVD. Psychosocial status is one of the important modifiable risk factors and are getting more attention regarding its potential role in the early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CVD. Employment status can significantly affect the psychosocial status of each individual, and recent findings show that unemployment can adversely affect the incidence of CVD and its complication. However, the underlying mechanism of how employment status can affect cardiovascular outcome in patients with CVD are largely unknown. Using a cohort study called,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Diseases Etiology Research Center – High Risk (CMERC–HI, NCT02003781),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of employment status with surrogate cardiovascular markers collected by various ways of blood pressure measurement and pulse wave velocity. Among the total of 1,915 participants, 449 (23.5%) were unemployed and 1,466 (76.5%) were employed. Unemployment group had higher frequency of reverse-dipping pattern compared to employment group [81 (18.0 %) vs. 167 (11.4 %), P < 0.001].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unemployment status and reverse BP dipping pattern even after adjustment of multiple confounding factors (Odds ratio, 1.577; 95% CI, 1.124 – 2.202; P = 0.008). Our study suggests that unemployment can adversely affect cardiovascular outcome by disrupting normal hemodynamic circadian rhythm.
Files in This Item:
TA0288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528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