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7 1103

Cited 0 times in

비대성 심근병증 환자의 질병지각,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

Other Titles
 Illness percepti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uthors
 오이레 
College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Department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Degree
석사
Issue Date
2021-02
Abstract
본 연구는 비대성 심근병증 환자를 대상으로 질병지각,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삶의 질 관련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일 상급종합병원 심혈관병원 심장내과 외래를 내원하는 비대성 심근병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7월 1일부터 12월 7일까지 진행되었다. 연구 도구로는 일반적 ․ 임상적 특성, 질병지각(Korean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 K-IPQ), 건강증진행위(Health Promoting Lifestyle II, HPLP II), 건강관련 삶의 질(Medical Outcomes Study 12-Item Short Form Health Survey, SF-12)로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피어슨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검정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 평균 연령은 58.97(±12.37)세 이며, 101명의 대상자 중 남성이 74.3%이었다. 교육수준은 대졸 이상이 50.5%이며, 59.4%가 직업이 있었다. 주관적 경제상태는 상중하에서 중이 51.5%로 가장 많았다. 신체적 기능수행능력 저하(≥Class II)는 36.6%이었으며, 경증 이상의 우울은 19.8%였다. 임상적 특성은 폐색성 비대성 심근병증이 43.6%이며, 진단기간은 5년 미만이 41.6%로 가장 많았다. 삽입형 제세동기를 삽입 한 경우는 11.9%, 심장사망 가족력이 있는 경우는 23.8% 이었다. 심박출량 계수가 50% 미만으로 감소한 경우는 4%, 좌심실충만압이 15이상으로 증가된 경우는 45.4%이었다. 2. 연구 대상자의 질병지각 점수는 증상확인척도 7.63±5.05점, 시간특성(급성/만성) 23.09±4.07점, 영향 10.18±3.21점, 개인조절 20.31±4.69점, 치료조절 11.38±2.16점, 질병이해 16.96±3.70점, 시간특성(순환성) 9.65±2.75점, 정서표상 13.16±5.01점이었다. 건강증진행위 총점은 4점 만점에 2.56±.44점이며 하부 요인으로 건강책임 2.27±.58점, 신체활동 2.44±.77점, 영양 2.63±.48점, 영적성장 2.69±.60점, 대인관계 2.80±.53점, 스트레스관리 2.56±.54점이었다. 신체적 건강관련 삶의 질은 47.15±7.66점, 정신적 건강관련 삶의 질은 51.41±8.61점이었다. 3. 신체적 건강관련 삶의 질은 연령이 낮고(p=.041), 교육수준이 높고(p=.012), 직업이 있는 경우(p=.003)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신체적 기능수행능력이 낮은 경우(p<.001), 경증 이상의 우울(p=.003)이 있는 경우 신체적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았다. 정신적 건강관련 삶의 질도 교육수준이 높고(p=.001) 직업이 있는 경우(p=.002), 주관적 경제상태가 높은 경우(p=.002) 정신적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았다. 여성의 경우(p=.002), 신체적 기능수행능력이 낮은 경우(p<.001), 경증 이상의 우울(p<.001)이 있는 경우 정신적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았다. 4. 신체적 건강관련 삶의 질은 신체적 기능수행능력(r=.670, p<001), 개인조절(r=.263, p=.008), 질병이해(r=.214, p=.031), 신체활동(r=.281, p=.005), 스트레스관리(r=.210, p=.035), 건강증진행위 총점(r=.291, p=.003)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우울(r=.-287, p=.004), 증상확인척도(r=-.338, p=001), 영향(r=-.247, p=.013), 시간특성(순환성)(r=-.332, p=.001)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정신적 건강관련 삶의 질은 신체적 기능수행능력(r=.414, p<.001), 스트레스 관리(r=.382, p<.001), 건강증진행위 총점(r=.321, p=001)과 모두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우울(r=-.631, p<.001), 증상확인척도(r=-.354, p<.001), 영향(r=-.245, p=.014), 시간특성(순환성)(r=-.211, p=.034), 정서표상(r=-.328, p=.001)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신체적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요인으로 낮은 신체적 기능수행능력(β=-.398, p<001)과 질병지각의 시간특성(순환성)(β=-.230, p=.039)이 예측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35.9% 설명력을 나타냈다. 정신적 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경증 이상의 우울(β=-.307, p=004), 스트레스 관리(β=.240 p=.042)로 분석되었으며 39.7%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비대성 심근병증 환자의 삶의 질은 질병지각과 건강증진행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낮은 신체적 기능수행능력과 시간특성(순환성)은 신체적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련 요인이었고, 여성, 경증 이상의 우울, 스트레스 관리는 정신적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련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비대성 심근병증 환자의 신체적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신체적 기능수행능력 향상과 시간특성(순환성) 완화를 위한 간호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그리고 정신적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우울 완화와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간호중재를 적용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llness percepti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quality of life and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 (HCMP).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descriptive survey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CMP. The sample of 101 patients with HCMP was recruited from outpatient patients visiting the Y Medical Cardiovascular Center in Seoul, Korea, from July 11 to December 7, 2020. Thre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ssess patients, including illness percepti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Results: The factors affecting Physical Component Score (PCS) were physical functional capacity and timeline cyclical, which showed 35.9% explanatory power. Depression and stress management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Mental Component Score (MCS), and showed 39.5% explanatory power.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need for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physical functional capacity and development of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considers illness perception in patients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MCS, it is necessary to apply nursing intervention to relieve depression and stress management.
Files in This Item:
TA0275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526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