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 395

Cited 0 times in

The significance of body mass index and absolute lymphocyte count as a prognostic factor for disease-free survival in Korean breast cancer patients

Other Titles
 한국인 유방암 환자의 무병 생존 기간 예측 인자로서 체질량지수 및 절대 림프구 수의 중요성 
Authors
 고성민 
College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Department
 Others (기타) 
Degree
석사
Issue Date
2021-02
Abstract
서론 : 본 연구는 한국인 유방암 환자와 정상 여성간 체질량지수 및 절대 림프구 수 사이의 연관성을 평가했다. 또한 유방암 환자에 있어서 예후 예측 인자로서 체질량지수 및 절대 림프구 수의 활용 가치에 대해 평가했다. 연구 방법 : 강남세브란스병원 유방암센터에 등록된 1,225명의 한국인 여성 유방암 환자와 건강검진상 등록된 5,991명의 정상 여성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진단 당시의 체질량지수 및 전체 혈구 계산 결과를 반영하였다. 무병 생존 기간과 관련된 요인은 Cox 비례 위험 모델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 체질량지수와 절대 림프구 수는 유방암 환자 및 정상 여성 모두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변량분석에서 과체중 혹은 비만 그룹에 속하는 유방암 환자의 경우, 저체중 혹은 정상체중 그룹보다 무병 생존 기간이 더 짧았다. 절대 림프구 수가 높은 환자군의 경우, 절대 림프구 수가 낮은 환자군에 비해 무병 생존 기간이 더 길었다. 절대 림프구 수/체질량 지수에 대한 예후 판정시, 고위험 환자군 중 높은 체질량지수 및 낮은 절대 림프구 수를 가진 경우 다른 환자들에 비해 짧은 무병 생존 기간을 가졌다. 하위 집단 분석에서 사람 표피 증식 인자 수용체-2(HER-2) 및 초기 종양군은 다른 그룹에 비해 체질량지수/절대 림프구 수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결론 : 체질량지수와 절대 림프구 수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유방암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은 정반대였다. 높은 체질량지수와 동시에 낮은 절대 림프구 수를 가진 환자들은 다른 환자들에 비해 더 짧은 무병 생존 기간 결과를 보였다. 향후 체질량지수/절대 림프구 수가 유방암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 Our study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BMI) and absolute lymphocyte count (ALC) in healthy females and breast cancer patients. Additionally, we determined the prognostic value of these factors in breast cancer. Methods: We retrospectively identified 1,225 primary invasive breast cancer patients and 35,991 healthy females registered at Gangnam Severance Hospital. BMI and complete blood count at the time of diagnosis were collected. Factors associated with disease-free survival (DFS) were assessed using a multivariabl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Results: BMI and ALC were positively correlated in breast cancer patients and healthy females (both P<0.001). In multivariable analysis, overweight or obese participants had worse DFS (hazards ratio [HR], 1.98; 95% confidence interval [CI], 1.34–2.92; P=0.001) than underweight or normal weight individuals, but patients with high ALC had better DFS than those with low ALC (HR, 0.43; 95% CI, 0.29–0.65; P<0.001). After risk stratification according to BMI/ALC, high-risk patients with high BMI/low ALC had worse DFS than others (HR, 2.48; 95% CI, 1.70–3.62; P<0.001). In subgroup analysis,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positive and early stage tumors were more affected by BMI/ALC than other tumor types. Conclusions: BMI and ALC were positive correlated, but their effect on breast cancer prognosis was opposite. Patients with high BMI/low ALC had worse DFS than others. Underlying mechanisms for effect of BMI/ALC on breast cancer prognosis should be studied in the future.
Files in This Item:
TA0287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514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