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6 1224

Cited 0 times in

심장 수술 후 조기 운동 프로토콜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the early mobilization protocol after cardiac surgery 
Authors
 홍원태 
College
 연세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간호학과 
Degree
석사
Issue Date
2020
Abstract
본 연구는 심장 수술 후 중환자실에 입실한 환자의 조기 운동을 촉진하기 위한 조기 운동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심장 수술 후 조기 운동 프로토콜 개발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수행되었다. 먼저 심장 수술 후 조기 운동 관련 문헌고찰 및 중환자 조기 운동 가이드라인검색을 통해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핵심 구성요소를 선정하였고, 이에 대한 9명의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토콜 초안을 구성하였다. 이에 대해 동일한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내용 타당도 평가를 통해 최종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문헌 고찰 및 가이드라인 검색을 통해 4편의 가이드라인과 22편의 심장 수술 후 조기 운동 관련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 프로토콜 연구, 무작위 대조 연구 문헌을 선정하였으며 해당 문헌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핵심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핵심 구성 요소는 조기 운동 금기증, 운동 전 환자 사정, 운동 중재, 운동 중 모니터링, 운동 중단 기준 총 5개로, 각 항목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내용 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CVI)는 1으로 나타났다. 2. 도출된 5개 항목에 전문가 집단의 의견에 따라 ‘적용 기준’ 및 ‘권고 사항’을 추가하여, 7개 영역을 바탕으로 프로토콜 초안을 개발하였다. 프로토콜 초안의 CVI는 평균 0.92 였으나, 운동 중재 영역의 CVI가 0.56 으로 이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바탕으로 프로토콜을 수정 및 보완 하였다. 3. 수정된 프로토콜 초안은 적용 기준, 제외 기준, 환자 사정 및 운동 중재, 모니터링, 중단 기준 5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적용 기준은 프로토콜의 대상자 및 목적, 시작 시기로 구성되며, 제외 기준은 당일 프로토콜 적용을 제외해야 하는 환자 상태를 제시한다. 환자 사정 및 운동 중재 영역은 운동 전 준비사항, 운동 지침, 사정 및 중재 알고리즘으로 구성되며, 모니터링은 운동 시 모니터링 항목 및 간격을 포함한다. 중단기준은 운동 중 환자 상태 변화 시, 운동을 중단해야 하는 경우를 제시하고 있다. 수정된 심장 수술 후 조기 운동 프로토콜 초안의 내용 타당도 지수는 0.89 로 나타났다. 4. 수정된 프로토콜 초안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내용 타당도 평가를 바탕으로 최종 프로토콜을 완성하였다. 최종 프로토콜은 적용 기준, 제외 기준, 환자 사정 및 운동 중재, 모니터링, 중단기준 5 영역으로 구성된다. 여러 연구를 통해 심장 수술 후 조기 운동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나, 임상실무에서는 다양한 이유로 인해 조기 운동이 시행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 연구는 임상상황에 맞게 적용할 수 있는 조기 운동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조기 운동 시행을 촉진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심장 수술 후 여러 이유로 중환자실 재실 기간이 연장되는 환자의 기능 감소를 완화하고, 회복을 촉진하여 환자 결과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re common after cardiac surgery. Bed rest related to mechanical circulatory support devices, hemodynamic instability, or pain after cardiac surger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s for development of pulmonary complications. Early mobilization is recommended for patients undergoing cardiac surgery to prevent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improve patient outcomes. There is the lack of protocol related early mobilization in clinical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arly mobilization protocol for patients after cardiac surgery in intensive care unit. After literature review, five key components of early mobilization were extracted and a protocol was developed based on these components. The initial protocol was evaluated for content validity by a group of nine clinical experts. Finally, the early mobilization protocol after cardiac surgery was developed with five components: application criteria, exclusion criteria, patient assessment and mobilization intervention, monitoring, and discontinuation of mobiliz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provide clinical guidelines for early mobilization to prevent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t may help improve the perception of healthcare providers regarding early mobilization after cardiac surgery and improve nursing practice.
Files in This Item:
TA0256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102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