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 262

Cited 0 times in

End-of-Life care for women with ovarian cancer in Korea

Other Titles
 난소암 생애말진료의 경향성 
Authors
 윤정원 
Colleg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epartment
 Dept. of Medicine 
Degree
석사
Issue Date
202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atterns of cancer care near the end of life (EOL) of patients with ovarian cancer in South Korea. It includes the evaluation of 213 patients who died of ovarian cancer in Severance hospital, over the previous 6 years, for the appropriateness of cancer care, including chemotherapy and hospice palliative care(HPC). Although HPC enrollment increased over time(p=0.006), there were no discernible changes over the study period regarding the rate of chemotherapy treatment within two weeks of death, emergency room (ER) visits, or intensive care unit (ICU) admissions. Patients with initial positive outcomes (platinum sensitivity, extended disease-free survival) tended to receive more near-term chemotherapy and rely less on HPC. In a multivariate analysis, late HPC enrollment correlated with more aggressive measures, including visits to the ER. Near-term chemotherapy correlated strongly with more ER visits, ICU admissions, and deaths at the tertiary referral hospital. For patients with advanced/recurrent ovarian cancer, the expansion of HPC services over recent years, has not been accompanied by a reduction in the intensity of EOL care. Earlier, more proactive near-term HPC discussions may help patients and families focus on values, and additional regional HPC facilities and home-based HPC may decrease the use of hospital-based EOL care. 지난 수십년간 난소암의 치료성적이 개선되었지만, 치료 중단 시점과 생애말진료에 대한 실태파악과 진료지침이 부족하다. 2011년 1월부터 6년간 본원에서 진행성 /재발성 난소암으로 사망한 환자 213명을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하였다. 관찰 기간 동안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율(p=0.006)과 표적치료 이용율 (p<0.001)이 증가한 반면 응급실/집중치료실 이용율, 본원사망 율, 사망2주내 항암치료 시행 등 타 적극성 지표들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호스피스-완화의료를 덜 받을 위험 인자를 로지 스틱 회귀분석한 결과 새로운 항암제를 사망 1달내 시작한 경 우(p=0.03), 백금계항암제 감수성이 있는 경우(p=0.001)가 유의 미했다.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더 일찍 의뢰될수록 적극적 치료 를 받게 될 위험도가 감소하였다(p<0.001). 마지막 항암제 투여 부터 사망일까지를 생존분석한 결과, 초치료 후 재발까지 무진 행생존기간이 길수록, 총 항암치료 차수가 많을수록 더 늦게까 지 항암치료를 받았다. 즉 초치료에 좋은 결과를 얻은 환자가 생애말까지 항암치료를 받는 경향을 보이고, 적극성의 증가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높은 응급실이용율과 상급종 합병원 사망률은 한국의 전국민건강보험제도와 암환자 본인부담 금 인하로 인한 접근성, 생애말진료를 감당할 수 있는 지역사회 호스피스 기관의 부재로 인한 쏠림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 향후 선행적인 호스피스-완화의료 논의와 가정/지역사회 인프라 확대가 난소암 생애말진료의 적극성과 병원의존성을 줄일 수 있겠다.
Files in This Item:
TA0265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097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