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 575

Cited 0 times in

Quality of Work Life among Nurses who had Patient Safety Incidents;Mixed Methods Design

Other Titles
 환자안전사건을 경험한 간호사의 직장 삶의 질 
Authors
 김순애 
Colleg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epartment
 일반대학원 
Degree
박사
Issue Date
2020
Abstract
The report of ‘To Er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by the American Institute of Medicine (IOM) in 1999 was followed by the growing interest and effort in patient safety. Patient safety issues have been reflected in major health and welfare policies. Nonetheless, the WHO (2016) reported 8-12% chance of adverse incidents happening among hospitalized patients in Europe, and Rafter et al. (2015) estimated that 4-17% of hospitalized patients are in some way involved in adverse incidents. Health care providers experience psychological trauma when involved in a patient harm due to an unexpected event or a medical error. Physical, emotional, and professional life of healthcare providers as well as their quality of work life are deeply associated with such incid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1) investigate in a quantitative study the quality of work life of nurses involved in patient safety incident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ulture-Work-Health Model developed by Peterson & Wilson (2002), (2) examine in a qualitative study the personal experiences of nurses and their quality of work life after being involved in patient safety incidents, and (3) integrate the findings of the two studies to formulat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quality of work life of nurses involved in patient safety incidents. The quantita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622 participants through an online survey from March 10 to 18, 2020. The quantitative study were examin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 SPSS 26.0. The qualitative study took place in the form of in-depth interviews with 8 participants from March 7 to April 30, 2020. For the qualitative study data, a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sed with emphasis on quality of work lif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higher scores for employee health and organizational health were associated with longer terms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professional stress caused by patient safety incidents. The quality of work life score for the nurses without stress symptoms was observed to be the highest, and lower quality of work life scores were associated with stress lasting longer than 6 months (F=8.496, p<.001). Second,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performe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work life of nurses involved in patient safety incidents was found to be at 46% (Adjusted R2 = .452). The significant influence factors of the quality of work life of nurses were in the order of high to low significance, resonant leadership (β=.352 t=8.271 p< .001), just culture (β=.203 t=4.601, p< .001), organizational support (β=.126 t=3.046, p < .01), organizational health (β =-.113 t=-2.975, p< .01), and the nurse’s total work experience (β=.119 t=2.187, p< .05). The qualitative study emerged 2 themes—a work culture in which blame and trust co-exist and the quality of work life after experiencing patient safety incidents—and 7 categories—‘closedness of work atmosphere,’ ‘closedness of work atmosphere,’ ‘Patient safety incidents report preparation depends on the degree of harm and the unit atmosphere,’ ‘constructive changes after the incidents,’ ‘physical, psychological, and professional distress due to patient safety incidents,’ ‘stress due to the patient safety incident sharing,’ ‘Be concerned about quitting the hospital,’ and ‘need for organizational support’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the study concluded that resonant leadership, just culture, and organizational support are important factors of not only employee health but also organizational health and quality of work lif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work life of its nurses, an institution must shift its focus away from blaming and punishment the individuals involved in patient safety incidents to understanding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 incidents happened, finding the root causes, act improvement, and creating a culture of learning from errors. In addition, institutions must develop a clear understanding of their just culture and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professional distress experienced by nurses involved in patient safety incidents and continue their efforts in developing strategies to harness the strengths and reinforce the weaknesses of their culture to improve patient safety and the quality and patient safety of healthcare services will be improved as well as the quality of work life for nurses. With little literature available on the use of the CWHM in investigating the work life of nurses involved in patient safety inci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context of the prior studies and the CWHM will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developing strategies to help nurses manage stress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work life after patient safety incidents.
1999년 미국의학원(Institute of Medicine, IOM)의 보고서‘To Er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발표 이후 전세계적으로 환자안전을 위한 관심과 노력이 증대되었고 관련 사안들은 중요한 보건 정책으로 반영되었다. 그러나 WHO(2016)는 유럽에서 입원환자의 8`~12%에서 위해사건이 발생한다고 보고 하였고, Rafter 등(2015)은 입원환자의 4~17%가 위해사건과 관련되어 있다고 추정하였다. 예상하지 못한 사건의 발생과 의료오류로 인한 환자의 위해나 사망을 경험하는 것은 의료인들에게도 심리적 외상을 경험하게 하고, 개인적, 정서적, 전문직 업무 수행의 문제를 야기하는 등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면서 이들의 직장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양적연구에서 Peterson과 Wilson(2002)의 문화-일-건강 모델(Culture-Work-Health Model, CWHM)을 적용하여 환자안전사건을 경험한 간호사의 직장 삶의 질의 관계를 규명하고, 질적 연구를 통해 환자안전사건 발생 후 경험하는 간호사의 주관적인 경험과 그로 인한 직장삶의질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이 두결과를 통합하여 환자안전사건을 경험한 간호사의 직장 삶의 질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양적연구는 2020년 3월 10일부터 18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로 이루어졌으며, 총 62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질적연구는 2020년 3월 7일부터 4월 30일까지 심층면접을 통해 총 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양적자료분석은 SPSS26.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고, 질적자료는 직장 삶의 질에 초점을 두고 질적 내용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자안전사건으로 정신적, 신체적, 전문적 스트레스를 경험한 경우 스트레스 지속 기간에 따른 개인 건강과 조직건강에서 스트레스 기간이 길어질수록 개인건강과 조직건강 점수도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 삶의 질에 있어서는 스트레스가 없을 경우 직장 삶의 점수가 가장 높았고, 스트레스가 6개월이상 지속될수록 직장 삶의 질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F=8.496, p<.001) 둘째, 환자안전사건을 경험한 간호사의 직장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시행한 결과 통계적으로 적합한 환자안전사건을 경험한 간호사의 직장 삶의 질 회귀 모형은 46.0% (Adjusted R2 = .452)설명되었다. 직장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공감리더십(β= .352, t=8.271, p< .001), 공정문화(β= .203, t=4.601, p< .001), 조직지지(β= .126, t=3.046, p < .01), 조직 건강(β = - .113, t= - 2.975, p< .01) 간호사 총 경력(β= .119, t=2.187, p< .05) 순이었다 셋째. 질적연구 결과 비난과 신뢰가 공존하는 문화와 환자안전사건 경험 후 직장 삶의 질의 2개의 주제로 도출되었으며, ‘ 개방적이지 않은 분위기 ’ , ‘환자안전사건 위해 정도와 부서분위기에 따라 보고 여부가 달라짐’,‘사건 후 건설적인 변화가 있음’, ‘ 환자안전사건 경험으로 인한 정신적, 신체적, 전문적 디스트레스’, 환자안전사건 공유방법으로 인한 스트레스’, ‘병원을 그만두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 ‘ 조직 지지가 필요함’ 등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정문화와 공감리더십, 조직지지는 간호사 개인의 건강 뿐만 아니라 조직건강 더 나아가 간호사의 직장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간호사의 직장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환자안전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조직과 구성원들이 개인을 비난하거나 처벌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게 아니라 사건이 일어난 환경을 고려하여 그 사건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여 대책을 마련하고 사건으로부터 무언가를 배우려는 문화가 우선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환자안전사건 발생후 경험하게 되는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전문적 디스트레스 정도와 조직의 공정문화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통하여 공정문화의 긍정적인 부분은 강화하고 취약한 부분은 보완할 수 있는 조직적 차원에서의 전략을 수립하는 지속적인 노력을 한다면 간호사의 직장 삶의 질 향상 뿐 만 아니라 의료기관의 의료서비스와 환자안전도 향상 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자안전사건을 경험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문화-일-건강 모델을 적용하여 환자안전사건을 경험한 간호사의 건강을 고려한 스트레스 관리와 직장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091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