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532

Cited 0 times in

Development of Self-management Program Using Mobile Application for People Living with HIV: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심미소-
dc.date.accessioned2020-12-21T04:53:48Z-
dc.date.available2020-12-21T04:53:48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0873-
dc.description.abstractHIV 감염인의 자가관리는 건강 상태를 향상시키고 HIV 감염을 예방하는 데 필수적이다. 그러나 한국 HIV 감염인의 자가관리 수준은 낮은 편으로, 일반 대중보다 흡연, 음주, 스트레스, 우울, 자살시도 등의 건강 지표 수준이 열악하다. 또한, HIV 감염인은 낙인과 차별로 인해 자신의 상태를 노출하고 지역사회 자조모임에 참여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중재의 제공이 필요하다. 모바일 앱을 활용한 프로그램은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환자의 건강 개선을 도모할 수 있으며, 지역사회 자조모임에 참여하는 것이 어려운 HIV 감염인들을 서로 연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바일 앱을 활용하여 HIV 감염인을 위한 자가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자가관리행위와 건강 결과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는 프로그램 개발 단계와 프로그램 효과 평가 단계로 나누어 수행되었다.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서는 복잡한 건강 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영국 의료연구위원회의 프로그램 개발 틀과 정보-동기-행동기술 모델을 활용하였다. 비디오 교육 자료 및 모바일 앱의 개발을 위해 문헌고찰, 의료인과 HIV 감염인 대상 요구도 평가, 전문가 및 HIV 감염인 대상 검토 과정을 수행하였으며, 이러한 절차를 통해 최종 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평가 단계에서는 자가관리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무작위 대조군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개 병원의 감염내과 외래를 방문하는 33명의 HIV 감염인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중재군(17명)과 대조군(16명)에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중재군은 4주간 모바일 앱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에게는 PDF 파일로 만든 교육 자료를 제공하였다.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가관리에 대한 자기효능감, 자가관리행위, 약물 순응도, 주관적 건강 상태, 우울, 낙인에 대한 인식, 바이러스 농도와 CD4+ 면역세포 수 등을 조사하였다. 바이러스 농도와 CD4+ 면역세포 수는 전자 의료 기록을 통해 재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통계분석에는 일반화 추정 방정식(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GEE)을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서 13가지 메뉴(홈, 내 정보, 건강 목표, 알람, 건강 일기, 건강 교육 비디오, 건강 정보 게시판, 커뮤니티, 건강 상담, 건강 포인트, 설문조사, 설정, 도움말)의 모바일 앱과 9개의 비디오 교육 자료가 개발되었다. 효과 평가 단계에서의 분석 결과 Intention-to-treat 집단에서 자가관리에 대한 자기효능감(β=2.292, p=.008), 자가관리행위(β=2.660,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낙인에 대한 인식(β=-0.704, p=.019)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만족도 조사 결과 행동 기술 습득(7.09점) 측면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자가관리 정보 획득(6.64점)이 다음을 차지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한국의 HIV 감염인의 자가관리에 대한 자기효능감, 자가관리행위, 낙인의 인식의 개선에 효과가 있었다. 또한, HIV 감염인의 자가관리에 대한 행동기술과 정보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의료진은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HIV 감염인의 자가관리를 향상할 수 있으며, 연구진은 이 결과를 모바일 앱을 활용한 자가관리 향상 중재의 개발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Introduction: Self-management of people living with HIV is essential to promote health status and prevent HIV infection. However, self-management behaviors among people living with HIV in Korea are insufficient. People living with HIV have poorer levels of health indicators, such as smoking, drinking, stress, depression, and suicide attempts, than the general public. In addition, people living with HIV are reluctant to reveal their status and participate in community self-help groups because of stigma and discrimination. Therefore, a self-management intervention for people living with HIV that overcome these limitations is needed. A mobile app can be us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and to improve patients’ physical and mental health. Also, it can help connect people living with HIV who have trouble participating in community self-help group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elf-management program using a mobile app for people living with HIV and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on self-management behaviors and health outcomes. Methods: This study was divided into two phases. Phase 1 involved program development, and phase 2 focused on evaluating the program’s effectiveness. For phase 1, the Medical Research Council framework for developing complex health interventions and the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IMB) model was used. For the development of video education materials and the mobile app, a literature review, needs assessment for health care providers and people living with HIV, and expert and people living with HIV reviews were conducted. Through these procedures, the final program was derived. For phase 2,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self-management improvement program. Thirty-three participants in the infectious outpatient clinic of one hospital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intervention group (n=17) and the control group (n=16). The intervention group used the mobile app for four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with self-management education materials in PDF format. Self-report questionnaires assessed self-efficacy for self-management, self-management behaviors, medication adherence,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perceived stigma, viral load, and CD4+ T cell counts. The viral load and CD4+ T cell counts were reconfirmed through electronic medical records. Generalized equating estimation and independent t-tests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In phase 1, the “Health manager” mobile app was developed. The mobile app had 13 menus: Home, My Info, Health Goals, Alarms, Health Diary, Education Video, Health Information Bulletin Board, Community, Health Counselling, Health Points, Survey, Settings, and Help.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phase 2, self-efficacy for self-management (β=2.292, p=.008) and self-management behaviors (β=2.660, p<.001) increased and perceived stigma (β=-0.704, p=.019) decreased in the intention-to-treat population. The satisfaction score of acquiring behavioral skills was the highest with 7.09 (±2.587) points, and the score of acquisition of self-management information was next with 6.64 (±2.976) points. Conclusion: The program improved self-efficacy for self-management, self-management behaviors, and reduced perceived stigma of people living with HIV in Korea. Patients can benefit from this program by acquiring behavioral skills and self-management information. Health care providers can use this program to improve self-management of people living with HIV, and researchers can utilize these results as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self-management improvement interventions using mobile app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prohibition-
dc.publisher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c.rightsCC BY-NC-ND 2.0 KR-
dc.titleDevelopment of Self-management Program Using Mobile Application for People Living with HIV: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dc.title.alternative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HIV 감염인의 자가관리 프로그램 개발: 무작위 대조군 예비 연구-
dc.typeThesis-
dc.contributor.college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Nursing-
dc.description.degree박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Mi-So Shim-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