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 353

Cited 0 times in

다양한 영상 유도하 조직검사에서 진단된 비정형 관상피증식증 : 수술 병리소견과의 비교

Other Titles
 Atypical ductal hyperplasia diagnosed by various imaging guided biopsy; correlation with surgical pathology 
Authors
 문주희 
College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Degree
석사
Issue Date
2019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underestimation rate of atypical ductal hyperplasia(ADH) diagnosed by ultrasonography-guided core needle biopsy (US-CNB), ultrasonography-guided vacuum-assisted biopsy(US-VAB) and stereotactic-guided vacuum-assisted biopsy(S-VAB), and to evaluate the factors predicting malignancy.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surgical pathology outcomes of 226 lesions that were diagnosed with atypical ductal hyperplasia on USCNB, US-VAB, and S-VAB between January 2005 and November 2015. Clinical and radiological features including age, size on imaging, family history, imaging features, residual lesion, symptom, Bre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BIRADS) category, synchronous cancer were recorded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 biopsy methods. The underestimation rate of ADH was calculated and the factors were analyzed associated with underestimation of ADH. Results: Of 226 atypical ductal hyperplasia cases, 65cases proved to be ductal carcinoma in situ and 21cases proved to be invasive cancer on surgical excision. The underestimation rate of ADH on US-CNB, US-VAB and S-VAB were 48.25%(69/143), 21.62%(8/37), and 19.57%(9/46). Among 83 ADH cases on vacuum assisted biopsy, cases without residual lesion on imaging(n=35) is associated with the low underestimation rate (5.7% [2/35] vs 31.3% [15/48], p=0.004).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s for malignancy were size on imaging ≥1cm (p=0.003), mass or mass with calcification on imaging(p=0.029), nipple discharge or palpable lesion(p<0.001), and higher BI-RADS category (P<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family history and synchronous cancer. Conclusion: The underestimation rate of ADH on vacuum assisted biopsies was lower than that of US-CNB. Lesion size on imaging ≥1cm , mass forming lesion, nipple discharge or palpable lesion, higher BI-RADS category lesion, and residual lesion were likely to be malignant and predictive factor of malignancy.

다양한 영상 유도하 조직검사에서 진단된 비정형 관상피증식증; 수술 병리소견과의 비교 목적: 초음파 유도하 중심생검, 초음파 유도하 진공보조흡인생검 및 입체정위 진공보조흡인생검에서 진단된 비정형 관상피증식증의 과소평가율을 영상 유도하 진단 방법에 따라 비교하고, 악성을 예측할 수 있는 영향인자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조직검사에서 진단된 비정형 관상피증식증 226예의 수술 후 병리결과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나이, 영상에서의 크기, 가족력, 발현양상, 잔여병변, 증상, Brea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BI-RADS) 범주, 동시성 유방암과 같은 임상적, 영상적 특징을 조사하고 조직검사 방법에 따라 비교하였다. 또한 비정형 관상피증식증의 과소평가율을 계산하였고, 이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총 226예의 비정형 관상피증식증 중에 절제 수술 후 65예가 관상피내암으로, 21예가 침윤성 유방암으로 진단되었다. 초음파 유도하 중심생검, 초음파 유도하 진공보조흡인생검 및 입체정위 진공보조흡인생검에서 비정형 관상피증식증의 과소평가율은 각각 48.25% (69/143), 21.62% (8/37), 19.57% (9/46)이었다. 또한 진공보조흡인생검에서 비정형 관상피증식증으로 진단된 83예 중에서 잔여병변이 있었던 경우에 비해 잔여병변이 없었던 경우 낮은 과소평가율을 보였다 (5.7%[2/35] vs 31.3%[15/48], p=0.004). 악성병변일 가능성이 높은 예측인자로는 영상에서 병변의 크기가 1cm 이상인 경우 (p=0.003), 영상에서 종괴 또는 석회화를 포함한 종괴로 나타나는 경우 (p=0.029), 유두분비물이나 만져지는 병변의 증상이 있는 경우 (p<0.001) 및 BI-RADS 범주가 높은경우 (p<0.001)였다. 결론: 다양한 영상 유도하 조직검사 방법에서 진단된 비정형 관상피증식증의 과소평가율은 진공보조흡인생검이 초음파 유도하 중심생검에 비해 낮았다. 또한 영상에서 1cm 이상의 크기, 종괴를 형성하는 병변, 유두분비물이나 만져지는 병변, BI-RADS 범주가 높은 경우, 잔여병변이 있는 경우 악성일 가능성이 높았다. 핵심되는 말 : 비정형 관상피증식증, 과소평가율, 조직검사
Files in This Item:
TA0231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7825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