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4 340

Cited 0 times in

Induction of oligodendrogenesis with OCT4 to alleviate dysmyelination in a transgenic mouse model of Huntington's disease

Other Titles
 헌팅턴 병의 유전자 변형 마우스 모델에서 수초 감소를 완화하기 위해 OCT4로 희소 돌기 아교 세포의 수초 재생 유도 
Authors
 김민지 
Degree
석사
Issue Date
2018
Description
의과학
Abstract
Huntington’s disease (HD) is an incurable neurodegenerative disease which is caused by a genetic mutation. Recent studies have elucidated that white matter atrophy is an early symptom of HD. Therefore, this study used in vivo overexpression of OCT4, a reprogramming factor, as a treatment for dysmyelination in HD. Adeno-associated virus serotype 9 (AAV9) was used as a vector for the overexpression of OCT4. Each group of R6/2 mice was injected with PBS, AAV9-Null, or AAV9-OCT4 on both sides of the lateral ventricl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behavioral tests such as rotarod and grip strength tests, AAV9-OCT4 groups display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control groups—PBS and AAV9-Null. Levels of RNA express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PDGFRa, WNT3, MYFR and GDNF. In addition, both Nestin+BrdU+ and NG2+BrdU+ cells were increased in the AAV9-OCT4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in the subventricular zone. Moreover, the level of MBP protein i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AV9-OCT4 in the frontal cortex. Cumula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oligodendrogenesis was induced by in vivo overexpression of a reprogramming factor OCT4 in the subventricular zone, so dysmyelination was alleviated. Furthermore, a growth factor such as GDNF secretion from oligodendrocyte improves the environment in the brain in HD; therefore, behavioral improvement occurred in the R6/2 mouse. Thus, this study proposes OCT4 as a candidate of a therapeutic factor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including HD.

헌팅턴 병 (HD)은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오늘날에도 치료 방법이 없는 난치병으로 알려진 신경 퇴행성 질환이다. 최근 연구에서는 뇌백질 위축이 HD에서 초기 증상으로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HD의 치료제로써 OCT4의 생체 내 과발현을 이용하여 헌팅턴에서의 수초 수축 치료에 이용하였다. 아데노 수반 바이러스 혈청 형 9 (AAV9)을 OCT4의 과잉 발현을 위한 벡터로 사용했다. R6/2 마우스의 양쪽 측면 뇌실에 PBS, AAV9-Null 또는 AAV9-OCT4를 주사했다. 그 결과, 대조군—PBS 및 AAV9-Null—및 AAV9-OCT4 군 사이에서 로터로드 및 악력 시험 등의 행동 시험에서 유의 한 개선을 보였다. RNA 발현 수준은 PDGFRα, WNT3, MYFR 및 GDNF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Nestin+BrdU+와 NG2+BrdU+ 세포는 뇌실 하 영역의 대조군과 비교하여 AAV9-OCT4 군에서 증가하였다. 또한 MBP 단백질의 수준은 전두엽 피질에서 AAV9-OCT4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뇌실 하부 영역에서의 재 프로그램 화 인자인 OCT4의 생체 내 과발현에 의해 희돌기교세포 전구체가 희돌기교세포로 형성이 유발된 것을 시사하고 있으며, 따라서 수초형성부진이 완화되었다. 또한 희돌기 신경 교세포에서 GDNF 분비와 같은 성장 인자는 HD의 뇌의 환경을 개선여, R6/2 마우스에서 행동 개선이 일어났다. 따라서 이 연구는 OCT4을 HD를 포함한 신경 퇴행성 질환의 치료 인자의 후보로 시사하는 바이다.
Files in This Item:
T01485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6638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