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4 682

Cited 0 times in

중증도에 따른 의사소통 상황별 어휘 : 실어증 입원 환자의 보호자 보고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Severity-dependent situational vocabulary : reported by caregivers of inpatients with aphasia 
Authors
 지혜 
Degree
석사
Issue Date
2018
Description
언어병리학협동과정
Abstract
실어증은 언어적 결함을 동반하므로, 실어증 환자들은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에서 참여 제약을 겪게 된다. 언어치료사는 이들의 의사소통 중재를 위해 환자들이 처한 환경과 관련된 어휘를 파악하여 이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어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병원 중심의 의사소통 상황과 관련 어휘를 수집한 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입원중인 실어증 환자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환자가 병원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과 관련 어휘를 수집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환자의 실어증 중증도에 따라 경도, 중등도, 심도로 나누어 각 군 당 20명씩 총 60명을 모집하였다. 설문지는 문헌조사와 소규모 적용을 거쳐 최종 개발하였으며, 총 11가지 의사소통 상황과 780개의 어휘로 구성하였다. 보호자에게 각 의사소통 상황에 대한 참여 필요성과 참여 제약을 느끼는 정도를 0점(필요 없음/제약 없음)부터 3점(매우 제한됨/매우 필요함)까지 4점 척도로 표시하도록 하였고, 각 상황에 포함되는 하위 어휘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역시 4점 척도로 표시하게 하였다. 의사소통 상황은 ‘우선적 의사소통 상황’과 ‘제약적 의사소통 상황’을 선정하여, 이것이 실어증 중증도 군 간에 순위 상 상관성을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상황별 기능적 어휘’와 ‘상황 간 공통 어휘’를 선정하여 목록화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도, 중등도 군 환자의 보호자는 참여 요구가 높으면서 많은 제약을 받는다고 보고한 상황에 ‘사회적 친밀감 형성하기’를 포함하였다. 반면, 심도 군 환자의 보호자는 ‘사회적 친밀감 형성하기’보다 ‘개인위생: 몸 씻기, 목욕’이 더 필요한 동시에 제약도 많이 받는다고 보고하였다. 즉, 의사소통기능 수준이 낮을수록 더 기본적인 생활 영위와 관련된 상황에 대한 요구가 더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긴급한 상황 알리기’의 경우 중등도, 심도 군에서는 ‘우선적 의사소통 상황’과 ‘제약적 의사소통 상황’으로 모두 1∼2순위의 높은 순위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경도 군에서는 ‘우선적 의사소통 상황’으로 1순위를 기록한데 반해 ‘제약적 의사소통 상황’으로는 5순위를 기록하였는데, 이는 환자가 의료진이 항시 대기 중인 병원이라는 특수한 환경에 놓여있기 때문이었다. 셋째, ‘상황별 기능적 어휘’는 의사소통기능 수준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즉, 의사소통 상황에 참여하기 위한 어휘는 환자의 실어증 중증도에 관계없이 유사하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부사 어휘는 ‘상황 간 공통 어휘’로 선정되며 그 중요성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병원이라는 특수한 환경을 반영하여 보호자 보고를 통해 실어증 환자의 의사소통기능에 따른 수준별 어휘 수집을 시도한 점, 이해 및 표현 어휘를 모두 고려함으로써 선행연구보다 광범위한 어휘를 수집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Due to the fact that aphasia is accompanied by language deficits, aphasic patients experience participation restrictions in a variety of communication situations. Speech-language therapists can expect the greatest effect when using the vocabulary related to the environment of the patients for their intervention. But there is no research that collects the vocabulary referring to the hospital-centered communication situations of the patients with aphasia.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mmunication situations and the situational vocabulary that aphasic patients experience in the hospital, through caregiver surveys. Participants were screened based on their severity of aphasia. Sixty patients(20 with mild, 20 with moderate, and 20 with severe aphasi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mall-scale application, and consists of 11 communication situations and 780 vocabularies. Caregivers were asked to indicate on a 4-point scale from 0, meaning unnecessary/unrestricted, to 3, meaning very necessary/extremely restricted’, to assess participation demand and restriction in each situation. Then they also evaluated the necessity of each vocabulary using a 4-point scale. The communication situations were ranked by its demand and restriction score and categorized into the ‘priority communication situation’ and the ‘restricted communication situation’. Then it was investigated by Spearman’s rank-order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severity groups. In addition, the vocabulary were sorted into ‘functional vocabulary in each situation’ and ‘common vocabulary among situations’ according to its necessity scor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aregivers responded that ‘social interaction’ has a high level of participation demand and restriction in both the mild and moderate group. On the other hand, the severe group valued ‘personal hygiene; washing and bathing’ more than ‘social interaction’. Second, ‘emergency announcement’ was ranked either 1st or 2nd in the ‘priority communication situation’ and the ‘restricted communication situation’ in both moderate and severe groups. However, in the mild group, ‘emergency announcement’ was ranked 1st in the ‘priority communication situation’, but 5th in the ‘restricted communication situation’. This was because the patients were in a special situation where the medical staff was on standby. Third, ‘functional vocabulary in each situation’ did not differ much based on aphasia severity. In addition, adverbs were selected as ‘common vocabulary among situations’ and their importance was prove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ed to collect the hospital-centered vocabulary of the patients with aphasia through their caregivers' report. It also has value that it took consideration of comprehensive vocabulary in both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based on the severity of aphasia.
Files in This Item:
T01484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6637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