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89 883

Cited 0 times in

뇌졸중 환자의 삼킴장애지수(DHI)와 관련 변인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dysphagia handicap index(DHI) in stroke patients and associated factors 
Authors
 김한결 
Degree
석사
Issue Date
2018
Description
언어병리학협동과정
Abstract
삼킴장애는 뇌졸중 환자의 신체 건강뿐만 아니라 삶의 질에도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환자 중심의 주관적 평가는 객관적 평가 못지않게 중요하다. 현재까지 주관적 삼킴 평가 도구를 활용하여 삼킴 관련 삶의 질을 조사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었지만, 동질적(homogeneous) 질환의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드물었으며 삼킴 관련 변인을 세분화하여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연구는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삼킴장애지수(DHI)를 조사한 후, 삼킴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뇌졸중 환자군의 DHI 점수는 선행 연구에서 보고된 정상군 점수에 비해 현저히 높았으며, 하위 영역별로는 기능적 및 신체적, 정서적 영역 순으로 점수가 높았다. DHI는 일반적 특성인 유병기간, 뇌졸중 후 상태에 관한 지표인 인지 기능(K-MMSE), 뇌졸중 후 중증도(NIHSS), 우울 수준(GDS)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삼킴 기능 지표인 침습 및 흡인 정도(PAS), 기능적 삼킴장애 정도(FDS), 식이 단계(ASHA NOMS)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일반적 삼킴 기능 관련 변인 중 DHI에 가장 큰 상대적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은 FDS, PAS 순으로, 이들 두 변인은 결합적으로 DHI를 66.3% 설명하였다. 하지만 삼킴 기능을 세분화할 때 가장 영향력이 큰 변인은 침습 및 흡인, 입술 폐쇄, 삼킴 후 인두벽 코팅 순이었으며, 이들은 DHI를 61.8% 설명하였다. 구강 및 인두 단계의 기능적 삼킴장애정도(FDS)만 살펴보았을 때는 인두 이동 시간, 음식덩이 형성, 삼킴 후 인두벽 코팅 순으로 큰 영향력을 가졌으며, 이들 세 변인은 DHI에 대하여 60.2%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인두 단계의 삼킴 문제가 구강 단계의 문제보다 삼킴 관련 삶의 질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ince swallowing disorders affect not only physical health but also the quality of life,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self-perception of swallowing problem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which investigated the effect of swallowing functions on the swallowing-related quality of life in detail. Thu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key factors of the swallowing-related quality of life by Dysphagia Handicap Index(DHI) in 45 stroke patients. The average DHI of stroke patients was higher than that of normal group reported by previous studies. This suggested that patients were generally aware of their own swallowing problems. They experienced discomforts in order of functional, physical, and emotional aspects due to their swallowing disorder. The DHI of stroke patient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ost onset time(POT), K-MMSE, NIHSS, GDS, PAS, FDS, and ASHA NOMS scale. However, DHI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gender, age, diagnosis, stroke lesion, MBI, and FAC. At the total score level,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f DHI were FDS and PAS, accounting for 66.3% of DHI. However, in the further analysis with sub-items, ‘the level of penetration or aspiration’ showed the greatest effects. In the last model, ‘the level of penetration or aspiration’, ‘lip closure’, ‘coating of pharyngeal wall after swallow’ accounted for 61.8% of DHI. When dealing with only FDS sub-items, ‘pharyngeal transit time’, ‘bolus formation’, ‘coating of pharyngeal wall after swallow’ showed the most influence, accounting for 60.2% of DHI. In conclusion, the swallowing dysfunctions in pharyngeal phase had more impact on swallowing-related quality of life compared to those in oral phase.
Files in This Item:
T01484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6637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