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68 768

Cited 0 times in

여대생의 정신건강 관련 요인 : 아동기 심리적 외상 경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대처 방식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Factors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among Korean college women : childhood psychological trauma,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coping 
Authors
 이상은 
Degree
석사
Issue Date
2018
Description
간호학과
Abstract
대학생 시기는 청년후기에서 성인기로 진입하는 전환기이며, 정신질환의 발병이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에 호발하는 것을 고려하면 이 시기의 정신건강 관리는 성인기 전반의 정신건강 유지를 위해 필수적이다. 선행연구에서는 아동기 심리적 외상 경험이 여대생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규명하고 있고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대처 방식에 따라 심리적 외상과 같은 스트레스 상황을 해결하는 정도가 달라진다는 결과도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여대생의 아동기 심리적 외상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대처 방식을 파악하고, 여대생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통합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은 Lazarus와 Folkman(1984)의 ‘스트레스-대처 모형(Stress-coping model)’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심리적 외상(Life Event Checklist; LEC)과 아동기 심리적 외상(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Short Form; CTQ-SF),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Impact Event Scale-Revised; IES-R), 대처 방식(The Ways of Coping Checklist; WCC) 그리고 정신건강 수준(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만 19세 이상의 여대생으로, 자료 수집은 2017년 11월 27일부터 12월 1일까지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총 515개였고, 종속변수인 정신건강의 정규분포 만족을 위하여 9개의 자료를 제거한 506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pearman rho correlation, hierarchical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아동기 심리적 외상 경험 중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성적 학대는 절반 이하의 응답자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신체적 방임(40.5%)과 정서적 방임(56.1%) 항목에서는 절반 내외의 응답자가 방임을 경험하였다. 정신건강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전체심도지수는 50.35(±9.34)였고, 임상적 증상군은 강박(20.2%)이 가장 높은 비율로 보고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대인예민성(18.8%), 우울(16.8%), 적대감(15.4%), 편집증(15.0%), 불안(14.6%), 정신증(13.4%), 공포(12.3%) 그리고 신체화(11.5%)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서는 대상자의 연령(t=-2.895, p=.004), 학년(F=3.179, p=.024), 지각된 건강상태(F=39.015, p<.001), 정신과 치료 경험 유무(t=-4.382, p<.001)에 따라 정신건강 수준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정신건강의 모든 하부 요인은 아동기 심리적 외상 경험의 모든 하부 요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보고되었고(.247
Files in This Item:
T01476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6631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