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0 2131

Cited 0 times in

입원환자 보호자의 손위생 관련 인식 및 수행

Other Titles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family caregivers' hand hygiene 
Authors
 송민정 
Degree
석사
Issue Date
2018
Description
간호대학원
Abstract
본 논문은 입원환자 보호자의 손위생 관련 인식 및 수행도를 파악하고, 손위생 인식과 수행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8년 4월 3일부터 5월 4일까지 서울 소재의 일 상급종합병원 입원환자 보호자 152명을 편의 표집하여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손위생 관련 인식은 세계보건기구(WHO)의 의료종사자의 손위생에 대한 인식 측정도구인 ‘Perception Survey for Health-Care Workers’를 국문으로 번역하여 표준화한 도구를 대상자에 맞게 수정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입원환자 보호자의 손위생 수행도는 관련 문헌 및 웹 사이트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개발하고 전문가 집단에게 타당도를 검증받은 도구로 측정하였다. 손위생 관련 특성 중 일상생활 중 손위생에 관한 문항은 ACI의 자료를 국문으로 번역한 도구를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통해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1. 본 연구의 대상자는 여성(62.5%), 대학교 졸업자 이상(57.2%)이 다수였으며, 평균 연령은 50.24±12.54세였다. 64.5%가 간병 경험이 있었고, 96.7%는 간병하는 환자의 진단명을 알고 있었다. 간병 중 일상적으로 손 소독제를 사용하는 자는 58.6%였고, 손위생의 의료관련감염 예방 효과를 ‘높다’와’매우 높다’로 인식하는 자는 92.1%였다. 환자안전 문제에서 손위생의 우선순위를 ‘높다’와 ‘매우 높다’로 생각하는 자는 88.1% 였다. 대상자의 일상생활 중 손위생 수행도는 5점 만점에 평균 평점 4.25 ± 0.60점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2. 대상자의 손위생 인식은 7점 만점에 평균 평점 4.97±1.03점으로 중상 정도의 수준이었다. 대상자의 특성 중 손위생 교육을 받은 집단, 손위생의 의료관련감염 예방 효과에 대해 높게 평가하는 집단, 환자안전 문제 중 손위생 우선순위에 대해 높게 평가하는 집단의 손위생 인식이 유의하게 높았다. 3. 대상자의 손위생 수행도는 5점 만점에 평균 평점 3.40±0.76점으로 중상 정도의 수준이었고,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가장 높은 영역은 체액에의 노출 후 3.95±0.94점이었고, 가장 낮은 영역은 환자 접촉 후 2.69±0.97점이었다. 대상자의 특성 중 손위생 교육을 받은 집단, 간병 중 손 소독제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집단, 손위생의 의료관련감염 예방 효과에 대해 높게 평가하는 집단, 환자안전 문제 중 손위생 우선순위에 대해 높게 평가하는 집단의 손위생 수행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일상생활 중 손위생 수행도는 손위생 관련 인식(r=.160, p=.049) 및 병원생활 중 손위생 수행도(r=.652,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손위생 관련 인식과 손위생 수행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다(r=.321, p<.001).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입원환자 보호자의 손위생 수행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입원환자 보호자의 손위생에 대한 인식 향상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손위생 시점, 손위생의 효과 등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 또한 병원생활 중 손위생은 일상생활 중 손위생 수행도와 양적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손위생 교육은 일상생활에서부터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입원환자 보호자의 손위생 관련 인식과 수행도를 파악하고 손위생 인식과 수행도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입원환자 보호자를 위한 손위생 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의료관련감염 관리 시 보호자 중재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resent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to identify the level of perception and performance related to hand hygiene family caregivers of inpatients, an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hand hygiene perception and performanc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convenience sample of 152 family caregivers of inpatients from a single tertiary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between April 3 and May 4, 2018.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hand hygiene perception, in-hospital hand hygiene performance. The SPSS 24.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data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with Scheffé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With respect to hand hygiene perception, participants showed a mean score of 4.97±1.03 out of 7 points, representing a mid-to-high level of perception. For in-hospital hand hygiene performance, participants showed a mean score of 3.40±0.76 out of 5 points, representing a mid-to-high level of performance. Among the sub-categories, the highest score was found in the category of after body fluid exposure(3.95±0.94 points), while the lowest score was found in the category of after contact with the patient(2.69±0.97). Participants who received hand hygiene education, held positive views on the preventive role of hand hygiene in relation to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and placed a high priority on hand hygiene among patient safety issu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hand hygiene perception scores. In addition, participants who received hand hygiene education, commonly used hand sanitizers during caregiving, held high views on the preventive effect of hand hygiene in relation to HAI, and placed high priority on hand hygiene among patient safety issu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hand hygiene performance scores. Daily hand hygiene performa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hand hygiene perception(r=.160, p=.049) and in-hospital hand hygiene performance(r=.652, p<.001). And hand hygiene perception and in-hospital hand hygiene performance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r=.321, p<.001).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level of perception about hand hygiene to improve the level of hand hygiene performance by the family caregivers of inpatients, that would require education and promotion about the appropriate moments for hand hygiene and the effects of hand hygiene. Moreover, as in-hospital hand hygiene and daily hand hygiene performa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t is necessary to precede education for hand hygiene for daily lives to enhance in-hospital hand hygiene performance.
Files in This Item:
T01475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6629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