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5 609

Cited 0 times in

중장년층의 전치부 교정치료 후 치주적 변화

Other Titles
 Periodontal changes after orthodontic treatment in middle-aged adults 
Authors
 한지희 
Degree
석사
Issue Date
2018
Description
치의학과
Abstract
교정치료의 대중화와 더불어 성인 교정 환자의 비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고령화와 더불어 중장년층 환자 비율도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중장년층의 교정치료의 경우 치주질환에 이환된 환자가 많고 치근흡수에 대한 감수성이 높을 수 있으므로 성장기 또는 젊은 성인층의 교정치료보다는 어렵고 제한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장년층과 젊은 성인 사이의 전치부 교정치료의 효과 및 치주적인 변화 양상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비교하고자 2011-2016년 사이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 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하여 상하악 전치부의 부분 교정치료를 받은 성인 환자(N=39)의 의무기록, 방사선 사진 및 진단 모형을 이용하여 치료 전후의 부정교합 심도와 치료 후 교합 및 치주 상태의 변화, 전치부 치근흡수 여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정치료 전 부정교합의 심도를 나타내는 Discrepancy Index(DI)는 젊은 성인 대조군에서 4.8±2.42, 중장년군에서 8.5±6.22로 젊은 성인군에 비해 중장년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하지만, 교정치료의 완성도를 나타내는 Cast Radiograph Evaluation (CRE)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치료기간은 젊은 성인군의 경우 5.6±2.53개월, 중장년군의 경우 8.4±5.57개월로 중장년군에서 유의하게 길었다(p<0.05). 2. 중절치에서의 변연골 상실량은 젊은 성인 대조군에서 치료 전 1.3±0.48mm, 치료 후 1.5±0.47mm이었으며, 중장년군에서 치료 전 3.1±1.58mm, 치료 후 3.4±1.43mm로 치료 전, 후 모두 중장년군이 젊은 성인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3. 교정치료에 따른 전후 변연골 변화량은 젊은 성인 대조군에서 -0.2±0.10mm, 중장년군에서 -0.3±0.38mm로 두 군 모두 경미한 변연골 상실을 나타내었으나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p>0.05), 변연골 상실량을1mm 단위의 범주로 나누어 빈도를 분석한 결과, 연령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4. 치료 후 중절치의 평균 치근흡수량은 젊은 성인군에서 -0.6±0.44mm, 중장년군에서 -1.0±0.61mm로 중장년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치료기간과 부정교합의 심도에 따른 영향을 제외시킨 후 비교한 결과 치근흡수 정도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치근흡수량을 1mm 단위의 범주로 나누어 빈도를 분석한 결과,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Files in This Item:
T01473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6013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