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9 756

Cited 0 times in

말초동맥질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peripheral arterial disease 
Authors
 장다엘 
Degree
석사
Issue Date
2017
Description
간호학과
Abstract
본 논문은 말초동맥질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말초동맥질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도구로는 Treat-Jacobson 등 (2012)이 개발한 PAD-specifi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을 한국어로 번역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였고, Yoo et al. (2016)가 개발한 말초동맥질환의 질병관련지식 측정도구와 김옥수(1993)가 개발한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Y대학병원 심장내과 외래와 입원환자 11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Welch test, Scheffe 사후검정,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 104명 중 92.3%가 남성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66.4(±13.3)세였다. 결혼한 대상자가 80.8%, 고졸인 경우가 40.4%, 무직인 경우가 58.7%로 높았으며 현재 음주하는 경우는 33.7% 흡연하는 경우는 24%로 나타났다. 2. 고지혈증(73.1%), 고혈압(72.1%), 당뇨(57.7%)를 동반한 경우가 절반 이상이었고, 67.3%가 시술이나 수술의 경험이 있었으며 Rutherford's classification grade 4에 해당하는 대상자가 26%로 가장 많았다. 안정 시 통증은 평균 1.11(±2.1)점 보행 시 통증은 평균 4.03(±3.2)점으로 나타났다. 3. 질병관련 지식은 15점 만점에서 평균 12.1(±2.5)점으로 최소 2점에서 최고 15점까지 분포 하였다. 질병관련 지식은 질병관련 삶의 질 하위 영역 중 긍정적 적응과 순 상관관계(r=.300, p<.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상자의 질병관련 지식이 높을수록 긍정적 적응 영역의 점수가 높았다. 4. 사회적 지지에서 가족지지는 60점 만점에서 50.9(±9.8)점 의료인 지지는 48.8(±7.3)점으로 가족지지가 의료인 지지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가족지지(r=.287, p<.01)와 의료인지지(r=.209, p<.05) 모두 건강관련 삶의 질 전체 점수와 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상자의 의료인 지지가 높을수록,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았다. 5.말초동맥질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중졸에 비해 대졸인 경우(F=3.877, p=.011), 관상동맥질환이 동반된 경우(t=-2.147, p=.034), 이환기간(r=.227, p=0.02) Rutherford's classification(r=-.519, p<.0.001), 안정 시 통증(r=-.355, p<.0.001), 보행 시 통증(r=-.551, p<.0.001), 의료진지지(r=.209, p<.05), 가족지지(r=.287, p<.01)가 건강관련 삶의 질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다중회귀분석 결과 보행 시 통증(β=-.471, p<.001), 이환기간(β=.165, p=.040), 의료진지지(β=.204, p=.011), 안정 시 통증(β=-.192, p=.025)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모형은 말초동맥질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38.4% 설명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말초동맥질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의 증진을 위해서 질병관련지식과 사회적 지지를 높이고 통증을 적극 중재할 수 있는 교육·운동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후속 연구를 통해 확인되지 않은 영향요인을 파악할 것을 제언한다.
Files in This Item:
T01466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6006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