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93 1566

Cited 0 times in

위 절제술 전 후 위암환자의 불확실성과 간호 요구도의 변화

Other Titles
 Differences of uncertainty and supportive care needs between pre and post gastrectomy in gastric cancer patients 
Authors
 이지예 
Degree
석사
Issue Date
2018
Description
간호학과
Abstract
확인하여 이를 바탕으로 시기별 위암 환자들의 불확실성을 낮추고 간호 요구도를

만족시키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도구로는 Mishel(1988)이 개발한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 척도(Mishel’s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 MUIS)를 정재원(2004)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Bonevski, et al(2000)이 개발한 Supportive Care Needs

Survey(SCNS)의 축약형인 SCNS-SF34(Boyes, Girgis, & Lecathelinais, 2009) 도구를

함윤희(2009)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Y대학 S

종합병원에서 위 절제술을 받는 위암 환자 86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날 병동과, 수술

후 외래에서 자료를 수집했고,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dependent t-test, independen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사후검정을

시행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 86명 중 58.1%가 남성이었고, 평균 연령은 58.5세였으며, 배우자가

있는 대상자가 83.7%, 고등학교 졸업 이상인 경우가 74.4%, 직업이 있는 경우가

67.5%, 월 평균 수입이 400만원 이상인 집단이 40.7%로 나타났다.

2. 진단일부터 수술일까지 평균 소요 기간은 35.8±13.5일, 퇴원부터 첫 외래일까지

기간은 평균 13.0±4.0일이었으며, 입원 전에 암 관련 정보를 획득한 비율은

81.4%였고, 이 중 인터넷 경로를 이용한 비율이 77.5%였다.

3. 위 절제술 전 불확실성 총 합의 평균은 86.9±14.7점, 애매모호성 34.3±9.2점,

복잡성 14.9±3.1점, 불일치성 15.0±4.1점, 불예측성 16.2±3.4점이었다. 수술 후 전체

불확실성은 80.4±16.8점이었고, 애매모호성 30.9±9.4점, 복잡성 14.3±4.3점, 불일치성

- vii -

14.0±4.2점, 불예측성 14.3±3.7점이었다. 불확실성의 총합(t=4.351, p=.000)과

애매모호성(t=3.214, p=.002), 불일치성(t=2.274, p=.025), 불예측성(t=4.558, p=.000)

영역은 수술 후에 비해 수술 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복잡성 영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1.393, p=.167).

4. 위 절제술 전 위암 환자의 간호 요구도는 의료체계와 정보 요구도 71.2±23.2점,

환자 지지 요구도 51.6±28.1점, 심리적 요구도 41.0±25.0점, 신체 및 일상생활 요구도

15.6±20.0점, 성적 요구는 14.8±19.3 순이었고, 수술 후 간호 요구도는 의료체계와 정보

요구도 59.8±27.6점, 신체 및 일상생활 요구도 41.2±25.7점, 환자 지지 요구도

38.1±27.5점, 심리적 요구도 29.9±25.7점, 성적 요구도 15.0±20.0점 순이었다. 의료

체계와 정보요구(t=4.193, p=.000), 환자 지지 요구(t=4.215, p=.000), 심리적

요구(t=4.491, p=.000), 신체 및 일상생활 요구(t=-10.436, p=.000)는 수술 전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성적 요구(t=-.038, p=.970)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수술 전과 수술 후 모두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 직업 유무, 월 평균 수입

정도, 동반 질환 유무에 따라 불확실성 총 합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수술 전과 수술 후 모두 연령과 암 관련 증상 유무에 따른 신체 및 일상생활

요구도, 암 관련 증상 유무에 따른 심리적 요구도, 성별에 따른 성적 요구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에 따라 각 시기의 불확실성 및 간호 요구도를 파악하여 불확실성을 낮출 수

있는 간호 중재 및 교육이 요구도에 맞게 개발 및 제공 되어야 한다. 교육

프로그램은 각 시기의 요구도가 높았던 항목뿐만 아니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지속적으로 요구도가 나타났던 영역까지 포함하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진단 후 수술 전 단계의 대상자들은 정보 요구가 높으나 의료진에게 정보를

얻지 못하고 있다고 느끼므로 이 시기 환자들을 위한 교육을 개발할 것을 제언한다.
Files in This Item:
T01465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6005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