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1 537

Cited 0 times in

Accuracy of direct versus indirect digital impression procedures

Other Titles
 직접 및 간접 디지털 인상채득 방식의 정확도 비교 
Authors
 이보라 
Degree
박사
Issue Date
2018
Description
Department of Dentistry
Abstract
CAD-CAM을 이용하여 수복물을 제작하고자 할 때 구강스캐너는 지대치로부터 직접 디지털 영상을 얻을 수 있어 효율적이다. 그러나 지대치가 타액이나 혈액으로부터 완전히 건조되기 어려운 경우나 치은 연하 계면을 가지는 경우 구강스캐너를 통한 디지털 인상의 정확도는 낮아진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직접 인상채득과 간접인상채득을 비교하기 위함으로, 두가지 실험이 수행되었다. 첫번째 실험에서는 CAD-CAM 과정의 결과물로서 지르코니아 코핑의 적합도를 비교하였고, 두번째 실험에서는 스캔 과정 자체의 정확도를 비교하기 위해서 삼차원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rueness와 precision을 비교하였다. 2장에서는 CAD-CAM 과정의 결과물로서 얻어진 코핑의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45개의 레진 다이를 제작하였고, 구강스캔군, 인상체스캔군, 왁스소환주조군의 3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구강스캔군에서는 구강스캐너로 레진다이를 스캔하였고, 인상체스캔군에서는 폴리이써로 인상채득 후에 모형스캐너로 인상체를 스캔하였다. 이어서 구강스캔군과 인상체스캔군에서 같은 디자인 및 제작 방식을 적용하여 지르코니아 코핑을 제작하였다. 왁스소환주조군에서는 인상체스캔군과 같은 방식으로 폴리이써로 인상을 채득한 다음 초경석고로 작업모형을 제작하고, 왁스소환주조 방식으로 Ni-Cr 합금의 코핑을 제작하였다. 각각의 제작된 코핑을 레진 다이에 합착하고, 투명한 아크릴릭 레진에 매몰한 다음 협설 방향으로 시편을 절단하여 얻어진 단면에서 합착재 간극을 측정하여 코핑의 계면 및 내면 간극을 측정하였다. 구강스캔군, 인상체스캔군, 왁스소환주조군에서의 계면간극 (평균 ± 표준편차)은 각각 18.1 ± 9.8, 23.2 ± 17.2, 32.3 ± 18.6 μm이었다. 또한 구강스캔군, 인상체스캔군, 왁스소환주조군에서의 내면간극 (평균 ± 표준편차)은 축면 부위에서 각각 38.0 ± 9.1, 47.0 ± 16.3, 36.5 ± 15.8 μm이었고, 교합면 부위에서 36.7 ± 16.9, 33.4 ± 21.6, 44.5 ± 31.9 μm이었다. 계면 및 내면간극 값은 각 군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P>.05). 이 연구의 제한점 내에서 구강스캔과 인상체스캔방식으로 스캔 후 CAD-CAM으로 제작된 지르코니아 코핑과 왁스소환주조 방식으로 제작한 Ni-Cr 코핑은 임상적으로 허용할 계면 및 내면 간극을 보였고, 각 군 간에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그리고 각 군 내에서 교합면과 축면에서의 내면 간극에는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P>.05/3). 3장에서는 스캔 과정 자체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상악 덴티폼 상에서 하나의 단일 치아관, 하나의 인레이, 하나의 3단위 계속가공의치를 위한 지대치를 형성하였다. 기준스캔은 산업용 광학스캐너를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구강스캔군 (n=10)에서는 덴티폼을 마네킹에 장착한 후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을 시행하였다. 인상체스캔군 (n=10)에서는 폴리이써를 이용하여 인상을 채득하고, 모형스캐너를 이용하여 인상체를 스캔하였다. 모형스캔군 (n=10)에서는 폴리이써를 이용하여 인상을 채득한다음 초경석고로 모형을 제작하고, 모형스캐너로 모형을 스캔하였다. 각 군에서 얻어진 스캔 데이터는 STL 형태로 변환되어 삼차원 분석 프로그램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Trueness 값은 각 스캔데이터를 기준스캔데이터와 정합하여 측정하였고, precision 값은 같은 군 내에서 두 개의 스캔데이터를 추출하고 서로를 정합하여 측정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스캔 데이터간 색상 지도와 편차 값이 구해졌다. 구강스캔군, 인상체스캔군, 모형스캔군의 precision 값은 각각 101.4 ± 16.5, 37.4 ± 4.2, 45.0 ± 10.7 m이었고, 군 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있었다 (P<.05). trueness 값은 구강스캔군,인상체스캔군, 모형스캔군에서 89.7 ± 17.0, 54.4 ± 3.6, 66.3 ± 4.9 m 으로 측정되었으며, 각 군 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있었다 (P<.05). 지대치 별 trueness 값이 군 간에 유의차가 있는지를 비교해 보았을 때도 통계적 유의차가 있었다 (P<.05). 군 내에서 지대치에 따라서 trueness 차이가 있는지를 평가해 보았을 때, 구강스캔군과 인상체스캔군에서는 지대치에 따른 차이가 있었고 (P<.05), 모형스캔군에서는 부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P>.05). 본 실험의 한계 내에서 인상체스캔군이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고, 모형스캔군, 구강스캔군 순으로 정확도가 낮았다. 구강스캔군과 인상체스캔군의 경우 지대치의 위치 및 형태에 의해 trueness 값이 영향을 받았다.
Files in This Item:
T01462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6002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