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597

Cited 0 times in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 간호사의 전문직 사회화 구조모형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양유리-
dc.date.accessioned2018-06-28T07:16:53Z-
dc.date.available2018-06-28T07:16:53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59997-
dc.description간호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중환자실은 중증도가 높은 환자의 질병 회복과 안위 도모를 위해 전문적인 간호 숙련성을 갖춘 간호사가 요구된다. 특히, 최근 욕창, 감염 등 환자안전에 대한 요구로 중환자실 간호사의 역할부담이 더욱 증가하여 이직이나 결근, 동기부족 등 부정적인 전문직 사회화를 경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전문직 사회화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여 성공적인 전문직 사회화 촉진 전략 방안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탐색적 구조모형 연구로서, Benner 외(1992)가 제시한 중환자 간호의 기술 획득 모델 및 문헌고찰을 토대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잠재변수로는 전문직 사회화, 간호역량, 직무만족, 간호근무환경, 그리고 간호사에 대한 사회적 인정을 포함한 총 5개로 잠재변수 간 9개 가설과 모형에 대한 임상경력의 조절효과 검증을 위한 1개 가설을 포함, 총 10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전국 15개 시·도 지역의 상급종합병원 22개 기관의 성인 중환자실 간호사로서, 할당편의표출법으로 모집하였다. 연구도구로 Professional Socialization Scale, 장금성(2000)의 간호역량 측정도구, The Index of Work Satisfaction,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그리고 Maslach Burnout Inventory의 하부요인을 사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5월 19일부터 2017년 9월 15일까지이었으며, 총 232명이 자료 분석에 포함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3.0 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신뢰도, 확인적 요인분석, 공변량 구조분석, 다중집단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전문직 사회화 수준은 7점 만점에 4.87점으로 중 수준이었으며, 하부요인으로는 ‘독립성’과 ‘성숙’ 수준이 높은 수준이었다. 전문직 사회화 관련요인으로는 연령, 결혼여부, 교육수준, 월 급여, 임상경력, 신규 오리엔테이션 기간, 부서 이동 경험, 프리셉터 경험, 중환자실 교육 충분성, 병동 연구 참여, 이직의도, 전문직 경력 개발 계획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5). 2. 중환자실 간호사의 전문직 사회화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χ2(p)=236.96 (<.001), χ2/df=2.443, RMR=.025, GFI=.901, RMSEA=.079, NFI=.894, TLI=.918, CFI=.934로 적합한 수준이었고, 총 10개의 가설 중 6개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전문직 사회화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간호역량 (β=.584, p=.003), 간호사에 대한 사회적 인정(β=.270, p=.003) 순으로 나타났고, 이는 전문직 사회화의 49.8%를 설명하였다. 그 외에 간호근무환경은 간호역량을 매개로 하여 전문직 사회화에 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152, p=.005). 3. 전문직 사회화 모형에 대한 임상경력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 초보자 집단에서는 전문직 사회화 직접 영향요인이 간호역량(β=.550, p<.001)과 간호사에 대한 사회적 인정(β=.373, p=.015) 순으로 나타났다. 숙련가 집단에서도 직접 영향요인으로는 간호역량(β=.622, p=.008), 간호사에 대한 사회적 인정(β=.386, p=.003)으로 나타났다. 반면,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역량을 매개로 하여 전문직 사회화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숙련가 집단(β=.285, p=.002)이 초보자 집단(β=.138, p=.037)보다 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환자실 간호사의 전문직 사회화에 가장 직접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역량과 간호사에 대한 사회적 인정 수준이었다. 반면, 임상경력에 따라 숙련가 집단의 경우 초보자 집단보다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역량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전문직 사회화에 미치는 간접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환자실 간호사의 성공적인 전문직 사회화를 위해서는 경력별 간호역량을 증진시키고, 간호사 스스로 자신의 직업에 대해 인정하고 자긍심 및 자존감을 고취할 수 있는 중재 전략이 요구된다. 또한, 어느 정도 숙련성이 갖춰진 경력간호사에게는 자신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간호근무환경을 조성해주어 성공적인 전문직 사회화에 도달함으로써 이직이나 결근율을 감소시키고 전문직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 간호사의 전문직 사회화 구조모형-
dc.title.alternativeStructural equation model of professional socialization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in tertiary hospitals-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박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ang, You Lee-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