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7 615

Cited 0 times in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간 골절에서 골절 부위 정복 형태에 따른 생역학적 분석

Other Titles
 Biomechan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 reduction pattern (intramedullary vs. extramedullary) in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Authors
 박영창 
Department
 Dept. of Orthopedic Surgery (정형외과학교실) 
Degree
석사
Issue Date
2017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후내측 결손을 동반한 불안정성 전자간 골절에서 과도한 지연나사의 활강을 방지하기 위하여 근위 골편의 전내측 피질골과 원위 골편의 전내측 피질골을 겹치게 하는 골수강외 정복술이 보고되었다. 골수강외 정복술에 대한 임상적 결과는 몇 차례 보고되었으나 이것을 뒷받침해주는 생역학적 연구는 미흡한 상태다. 이에 본 연구는 소전자와 대전자를 포함한 후내측 피질골의 분쇄가 있는 불안정성 전자간 골절(AO/OTA classification 31-A2.2)에서 골절 부위 정복 형태에 따른 생역학적 특성을 신선 냉동 사체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총 8쌍의 신선 냉동 사체의 대퇴골을 이용하여 절골술로 불안정성 전자간 골절을 만든 후 생역학적 실험을 시행하였다. 각 쌍의 대퇴골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골수강내 정복과 골수강외 정복 형태를 유지하면서 금속정을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이 시편들을 이용하여 축성 압박 일회성 파괴 실험을 시행하였다. 초기 축성 강성(initial axial stiffness), 최대 실패 하중(maximum load to failure) 및 고정실패까지 총 흡수 에너지(energy absorbed to failure)를 비교하였으며, 고정실패 패턴을 확인하였다. 골수강외 정복은 골수강내 정복과 비교하여 평균 초기 축성 강성이 27.3% 높았으며(p = 0.017), 최대 실패 하중과 고정실패까지 총 흡수 에너지도 각각 44.9%, 89.6% 높았다(p = 0.012, p = 0.012, respectively). 고정실패 패턴은 골수강내 정복 8개 모두에서 근위 골편의 활강과 함께 내반 변형(sliding + varus deformity)이 관찰됐으며, 골수강외 정복에서는 외회전 후 활강 및 내반 변형(external rotation + sliding + varus deformity) 3개, 내회전 후 활강 및 내반 변형(internal rotation + sliding + varus deformity) 3개, 수직으로 미끄러지는 양상(medial slippage)이 2개가 있었다. 실험 중 전내측 피질골의 파절은 전례에서 발생하지 않았다 소전자와 대전자를 포함하여 후내측 피질골 결손을 동반된 불안정성 전자간 골절(AO/OTA classification 31-A2.2)에서 골수강외 정복은 골수강내 정복과 비교하여 생역학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전내측 피질골은 후내측 피질골 결손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지지대가 될 수 있으며 골절 고정의 안정성을 높이는데도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01454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rthopedic Surgery (정형외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Park, Young Chang(박영창)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3-3726-4707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5995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