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7 973

Cited 0 times in

상악골 전방견인에 의한 혀와 설골 및 기도공간의 변화

Authors
 황동민 
Issue Date
2017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혀는 구강내 중요 근육구조물로서 혀의 위치나 기능은 부정교합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설골은 주변 골조직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근육과 인대와 같은 연조직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구조물로 설골의 위치는 주변 경조직과 연조직의 영향을 받는다.

상악골 전방견인 치료는 짧은 기간 내에 큰 악정형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술식으로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을 개선하기 위하여 성장기 아동에서 사용되고 있다. 상악골 전방견인에 따른 상∙하악의 골격적 변화에 관하여서는 많은 보고가 있었으나 상∙하악골 이외에 주변조직의 변화는 최근에서야 보고되고 있으며 기도공간 평가 이외의 주변조직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정치료를 받지 않은 20명의 골격성 I급 부정교합 환자(남자 9명, 여자 11명; 평균나이 7.95세, 평균관찰기간 8.95개월)의 관찰기간 시작 전(C0)과 관찰기간 종료 시(C1)의 측모 두부규격방사선사진과 상악골 전방견인을 통하여 성장조절치료를 한 35명의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남자 17명, 여자 19명; 평균나이 7.75세, 평균치료기간 9.69개월)의 치료 전(T0), 상악골 전방견인 종료 직후(T1), 상악골 전방견인 종료 1년 후(T2)의 측모 두부규격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혀와 설골 그리고 기도공간의 변화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악골 전방견인치료를 시행한 치료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큰 상악의 전방성장(P<0.01), 하악의 후하방 회전(P<0.01), 상악전치의 순측경사를 보였다(P<0.05). 이러한 변화는 상악골 전방견인 종료 1년 후에도 치료 전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하였다(P<0.01).
2. 상악골 전방견인치료를 시행한 치료군은 대조군에 비해 혀의 위치가 유의하게 상방으로 변위되었으며(P <0.05) 이러한 변화는 상악골 전방견인 종료 1년 후에도 치료 전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하였다(P<0.001).
3. 상악골 전방견인치료 후 치료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였을 때 설골의 위치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P >0.05).
4. 상악골 전방견인치료를 시행한 치료군은 대조군에 비해 비인두공간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P<0.01) 이러한 변화는 상악골 전방견인 종료 1년 후에도 치료 전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하였으나(P<0.001) 구인두공간의 경우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0.05).

골격성 III급 성장기 환자의 상악골 전방견인을 통한 악정형 치료 시 상∙하악골의 변화와 함께 혀의 상방변위와 비인두공간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설골과 구인두공간은 치료 전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혀와 비인두공간의 변화는 치료 종료 1년후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혀의 상방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른 구강내∙외 균형의 회복은 상악골 전방견인후 상∙하악 치열궁 폭경 조화 및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ongue is a major muscle in oral cavity and its position and function have close relation to malocclusion. Also, position of hyoid bone is influenced by both hard tissue and surrounding soft tissue because hyoid bone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bone but to soft tissue such as muscles and ligaments.

Maxillary protraction by using facemask has great orthopedic effect in short period and has been used to treat Skeletal Class III patient in prepubertal stage. Many clinical researches describe the changes of maxilla and mandible after maxillary protraction but there are limited reports about the changes of surrounding tis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tongue posture hyoid bone position and airway space of untreated skeletal class I patients(9 males and 11 females, mean age 7.95 years, mean observation period 8.95 months) at beginning of control period(C0) and at end of control period(C2) with maxillary protraction treated patients(17 males and 19 females, mean age 7.75 years, mean treatment period 9.69 months) at before maxillary protraction(T0), immediate after maxillary protraction(T1), 1 year after maxillary protraction(T2) by using lateral cephalogram. The results were listed below.

1.Forward growth of maxilla(P<0.01), clockwise rotation of mandible(P<0.01) and labioversion of maxillary incisor(P<0.05) were observed after maxillary protraction(P<0.001) compared to untreated group. When comparing measurements of 1 year after maxillary protraction(T2) with pre-treatment(T0), these changes were statically significant(P<0.01).
2.Superior movement of tongue was observed after maxillary protraction(P<0.05) compared to untreated group. When comparing measurements of 1 year after maxillary protraction(T2) with pre-treatment(T0), these changes were statically significant(P<0.001).
3.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yoid bone position after maxillary protraction compared to untreated group(P>0.05).
4.Increase of nasopharyngeal airway space was observed after maxillary protraction(P<0.01) compared to untreated group. When comparing measurements of 1 year after maxillary protraction(T2) with pre-treatment(T0), these changes were statically significant(P<0.001). In oropharyngeal airway space measurem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maxillary protraction compared to untreated group.

Maxillary protraction for skeletal class III patients resulted in the changes of maxillary and mandibular position, superior movement of tongue and the increase of nasopharyngeal airway space. But there w...
Files in This Item:
T01443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5497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