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0 655

Cited 0 times in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간접화행 이해능력 및 오류유형

Authors
 차린이 
Issue Date
2017
Description
언어병리학협동과정/석사
Abstract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이하 MCI)는 정상적인 노화와 초기 치매 사이에 속해있는 과도기적인 상태이다. 정상 대조군이 매년 1~2%의 비율로 치매로 전환되는 데에 반해 MCI는 매년 10~15%의 비율로 전환되며 6년 이내에는 80%가 치매로 전환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MCI 단계는 조기선별 및 조기중재의 측면에 있어 중요한 시점이 되지만 피상적으로는 이를 감별해내기가 어렵다.
한편, 치매의 초기단계에서는 의사소통적인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특히 상황적인 맥락(situational context)을 모두 고려해야 하는 간접화행(Indirect speech acts)은 간접적인 요소를 추론해내는 능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의사소통 과정에서 많은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처럼 MCI 집단은 간접화행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CI 집단의 간접화행 이해능력을 알아보고자 MCI 집단 15명과 정상 집단 15명을 대상으로 하여 간접화행 과제를 실시하였다.
간접화행 문항은 6가지의 각각 다른 문장유형-언표내적 행위유형(평서문-진술형, 평서문-청유형, 평서문-명령형, 의문문-진술형, 의문문-청유형, 의문문-명령형)과 2가지의 오류유형(글자 그대로 해석, 관련성 약한 해석)으로 구성하여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첫째, 간접화행 이해능력을 비교한 결과, MCI 집단은 정상 집단보다 이해능력이 유의한 수준으로 저하되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보인 데에는 MCI 집단의 인지기능 및 집행기능의 결함이 간접화행의 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한편, 문장유형에서 두 집단 모두 평서문보다 의문문에서의 이해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언표내적 행위유형에서도 진술형, 명령형, 청유형 순서로 이해능력이 높았다.
둘째, 간접화행의 오류유형을 비교한 결과, MCI 집단은 정상 집단보다 글자 그대로 해석하는 오답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화행은 글자 그대로 해석하는 것을 넘어 언표내적으로 해석하는 단계를 거쳐야 한다. 하지만 MCI 집단은 억제기능의 결함으로 표면적인 글자내용을 억제하지 못하기 때문에 언표내적인 해석단계로 나아가지 못하여 글자 그대로 해석하는 오류를 크게 보였다.
본 연구는 MCI 집단의 일상적인 의사소통 능력, 특히 간접화행 이해능력에서의 특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MCI 집단의 조기선별 및 조기중재 접근법을 마련하는 데에 밑바탕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향후에는 MCI 집단을 하위 유형으로 세밀하게 구분하고, 보다 질적인 분석방법을 통한 연구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Mild cognitive impairment(MCI) is a transitional state between normal aging and early dementia. While normal control groups are converted into patients of dementia at an annual rate of 1~2%, those with MCI are converted at an annual rate of 10~15% and into dementia at an annual rate of 80% within 6 years. As such, MCI is regarded as an important stage in terms of early screening/intervention, but there is difficulty with superficial screening. On the other hand, in the early dementia stage, patients face difficulty with communication. In particular, indirect speech acts considering every situational context need an ability to infer indirect elements so it may cause a lot of difficulties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Hence, it is expected that MCI groups will exhibit numerous problems, but related research is sparse.
Accordingly, in this study, a task for indirect speech acts was conducted for 15 MCI and 15 normal group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comprehension of indirect speech acts in the MCI group. Indirect speech act questions were composed of 6 different sentence types-illocutionary act types (declarative sentence-statement type, declarative sentence-requesting type, declarative sentence-imperative type, interrogative sentence-statement type, interrogative sentence-requesting type and interrogative sentence-imperative type). Aside from that, it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error type (literal interpretation, low-correlation interpretatio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omprehension of indirect speech acts, the comprehension of the MCI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Such a result may interpret that MCI group’s defect in cognitive and executive functions had an effect on the comprehension of indirect speech acts. The reason why that is a proper performance of planning, sequencing and monitoring needed for indirect speech acts should be built on normal cognitive and executive function. Meanwhile, as for sentence types, both groups showed higher comprehension in an interrogative sentence rather than in a declarative sentence. It may have originated from a characteristic of the interrogative sentence type. Furthermore, as for illocutionary act types, both groups showed higher comprehension for statement, imperative and requesting types in order. It is regarded that the statement type is not quite different from a declarative sentence, requiring less efforts for reasoning than other types, therefore, showing higher comprehension.
Secondly, as a result of comparing error types of indirect speech acts, MCI g...
Files in This Item:
T01441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5495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