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4 799

Cited 0 times in

북한 결핵관리 장애요인 분석 : 탈북 결핵환자·간병자·의사 면담자료를 중심으로

Authors
 이신영 
Issue Date
2017
Description
보건정책학과 보건정책관리전공/석사
Abstract
본 연구는 북한 결핵관리 장애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탈북자 22명에 대한 면담자료를 분석한 질적 연구이다. 눈덩이 및 집충추출 방법으로 선정된 탈북 결핵환자(이하 결핵수진자) 9명, 탈북 결핵간병자 3명, 탈북 의사 10명의 면담 자료를 Cough to Cure Pathway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북한 결핵관리의 장애요소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환자 및 지역사회 장애로 인식장애와 접근장애가 확인되었다. 인식장애를 결핵수진·간병자 12명을 대상으로 확인한 결과, 결핵 지식 부족, 지역사회 태도 부족이 나타났다. 결핵 지식 중 결핵 위험성(응답자 7명 중 5명 양호)과 감염성(응답자 10명 중 9명 양호) 지식은 양호하였으나, 6개월 치료기간(응답자 7명 중 4명 미인식), 결핵의 치료 가능성(응답자 4명 중 3명 미인식), 직접 복약확인 치료(응답자 8명 전원 미인식)에 대한 지식은 다소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지역사회 태도 관련하여 결핵환자에 대한 지역사회의 낙인과 중요한 진단 및 치료 영향요인으로 가족의 지지(7명)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지식과 태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요소로 호담당의사의 결핵 교육은 실시되지 않는다(6명)는 의견이 다수로 확인되었다.
접근장애로 각 방문지연 사유와 낮은 접근성, 의료 이용 불평등이 확인되었다. 의료기관 방문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비용에 대한 부담감(5명), 사적시장 방문(4명), 공식의료에 대한 부정적 인식(3명), 민간의료 이용(2명)이 보고되었으며, 의료기관 방문 시 리/동 진료소(1명)보다 군급 병원(3명) 혹은 도급 병원(3명)에 방문 비중이 높았다. 이 밖에 이동거리 및 비용, 파송증이 북한 내 의료이용에 대한 접근성을 저하시키며, 사회 지위와 인맥에 따라 의료이용 불평등(7명)이 나타났다. 기타 취약집단 및 요인으로 군대 및 교화소와 같은 특수집단이 결핵관리에 취약하였으며 영양부족 영향이 크다고 보고되었다.
2. 보건의료체계 장애로 보건의료 서비스의 낮은 질 장애, 진단 장애, 치료 장애, 추구·종료 검사 장애가 각각 확인되었다.
북한 보건의료 서비스의 질적 장애로 의료 인적자원 및 서비스 제공 불충분, 대기시간 불편이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적자원 분야는 경제난 이후 생계 지속을 위한 의료인 유출 및 의료인의 개인적 이익 추구경향 증가, 환자-의료인 의사소통 부족, 의료인 결핵 관리에 활동에 대한 인센티브 부족이 확인되었다.
진단 장애로 환자발견은 경제난 이후 능동적 환자발견이 실질적으로 중단되었으며, 환자가 증상을 느끼고 방문하여 진단 받는 수동적 환자발견 위주로 확인된다. 폐결핵의 주요 진단검사인 X-선 및 객담검사 중, X-선 검사(투시방식)는 비교적 이상 없이 지속되어 왔으나 객담검사는 경제난 시기 제한되었다가 외부지원을 통해 상당히 회복되었다.
치료 장애로 치료비, 결핵약, 서비스 장애가 확인되었다. 의료기관에서 비공식 비용을 1차로 납부하고 장마당에서 약제를 구입을 2차로 시행하는 현재 북한식 의약분업 구조와 영양보충비로 치료비는 부담이 된다. 결핵약은 북한 자체 생산역량이 부족하나 지속적 외부지원을 통해 표준약제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입원치료 환경이 열악하고 식사지원이 제한되어 치료에 어려움이 있고, 외래치료는 의료인이 지속적인 복약관리에 동기부여가 적어 환자들의 적극적인 태도가 요구된다.
국제적 결핵관리 관점에서 북한 결핵지원 의견 및 제3국에서의 결핵관리경험을 확인 결과, 북한이탈주민들은 북한에 대해 현재의 약제지원을 지속하는 동시에 영양관리, 진단장비 강화, 의료인력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으며, 다수의 탈북 결핵수진·간병자(6명)가 탈북 시 제3국에서 결핵을 치료한 경험이 확인되었다.

결핵은 남북한 공통의 문제로 각종 중재 및 통일 전 협력이 필수적인 분야이며 동시에 통일 계기로 이끌 수 있어 지속적 관심과 협력이 필요한 분야이다. 북한의 결핵은 보건안보 관점에서 국제사회와 남한의 지속적 공조를 통해 취약계층에 중재가 필요하다. 북한 결핵관리 장애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양적연구와 남한에서도 본 연구와 같은 환자중심 관점의 결핵문제 파악을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analyze the barriers for the management of tuberculosis in North Korea by reviewing the interviews with 22 North Korean defectors. Specifically, 9 patients with history of tuberculosis, 3 caregivers and 10 physicians were selected among the North Korean defectors through snowball and intensive sampling methods followed by the analysis using the Cough to Cure Pathwa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Barriers for recognition of the disease and access to care for patients and community were confirme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9 patients and 3 caregivers, lack of knowledge and passive attitude for the disease were identified among patients and the community. Regarding the knowledge about tuberculosis, 5 subjects out of 12 were more or less aware of the dangers of the disease while 9 subjects out of 10 were acknowledging its infectious characteristics. In contrast, 4 subjects out of 7 were less aware of the amount of the time required for the treatment, 3 subjects out of 4 were little aware of the chance of being treated, and all subjects (8) knew that their diseases could be treated through medication. Moreover, the tuberculosis patients were found to be stigmatized in their community. Seven subjects reported that support from family was important. The majority (6 subjects) answered that the physicians in charge of their families had never educated them about the disease.
Regarding the barriers to access care, problems such as delay in visit to the health facility, difficulties in receiving treatment, and inequality for availability of medical services were reported.
Burden of the cost (5 subjects), utilization of the private clinic(4 subjects), negative perception for the public health service (3 subjects), utilization of the traditional folklore therapy (2 subjects), and etc were reported as The reasons for delay in visit to the health...
Files in This Item:
T01435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5488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