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5 540

Cited 0 times in

구강 편평세포암종에서 경부림프절 전이양상에 대한 고찰

Authors
 이성화 
Issue Date
2017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구강 편평세포암종은 경부림프절로 빈번히 전이되기 때문에 경부림프절 절제술을 함께 시행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부림프절 절제술에 기인한 대표적인 합병증으로는 견갑증후군 등이 있으며, 이런 합병증들을 줄이기 위해 임상적 전이가 없는 환자들에서 다양한 방법의 선택적 경부림프절 절제술이 시행되고 있다. 특히, 수술적 접근의 어려움 및 부신경 손상의 가능성 때문에 level IIb 구역에 대한 경부림프절 제거가 꼭 필요한지에 대한 논의는 현재에도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강 편평세포암종으로 경부림프절 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경부림프절의 전이양상에 대한 분석 및 level IIb 전이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 및 고찰을 시행하였다. 총 14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원발병소의 위치, 나이, 성별, T 병기, 임상적 N 병기, 조직학적 분화도, 림프혈관 침투, 신경주위 침습 등의 요인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원발병소의 위치에 따른 경부림프절 전이는 상악에서 가장 호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54.5%),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 병기 및 림프혈관 침투 유무는 경부림프절 전이율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나이, 성별, 조직학적 분화도, 신경주위 침습에 따른 경부림프절의 전이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evel IIb는 상악에서 타 원발병소 부위와 비교 시 전이율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한 차이가 있었다. 그 외 림프혈관 침투 유무는 level IIb 전이와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한 상관 관계를 보였으나, 나머지 요인들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상악의 경부림프절 전이율이 높게 관찰되었다는 사실은 실제 상악의 경부림프절 전이율이 흔히 생각되는 것보다 높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다른 해석으로는, 수술받은 환자들의 병소가 좀 더 진행된 상태였거나(Advanced stage) 경부림프절 전이가 의심되는 환자에서 시행하였던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므로 수술 시행한 환자에서는 상대적으로 비율이 높게 나타났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하려면 좀 더 많은 표본 수에서 분석이 필요하며, 수술을 진행하지 않고 경과관찰만 시행한 환자에서의 잠재전이까지 함께 고려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상악에서 level IIb의 전이가 유의성 있게 나타난 것은 림프의 배출경로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상악을 제외한 다른 원발 부위 간 level IIb의 전이 유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해부학적으로 level IIa와 IIb는 림프의 배출 경로를 기준으로 구역이 구분지어진 것이 아니며, 림프 배출의 경로들 등을 고려했을 때 임상적으로 경부림프절 전이가 없는 환자에서도 경부림프절 절제술 시에는 level IIb의 경부림프절도 함께 포함하여 절제를 하는 것이 권장된다.


Neck dissection is necessary when treating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because of its metastatic behavior to cervical lymph node. However, there are some complications including shoulder syndrome, and several efforts like selective neck dissection was made to overcome such issues. So, the debate whether to remove IIb lymph node or not have been continued until now, especially because of the anatomical difficulty and the possibility of accessory nerve injury.
In this research, cervical lymph node and level IIb metastasis was analyzed in patients who had neck dissection due to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Total 147 patients were selected and primary site, age, sex, T stage, clinical N stage, pathologic differentiation, lymphovascular infiltration, and perineural invasion was analyzed as contributing factor.
Maxilla showed the highest cervical metastatic rate(54.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ing with other sites. T stage and lymphovascular infiltration were meaningful contributing factor of cervical metastasis, while the others were not.
Maxilla also showed the highest IIb metastatic rate(18.2%)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ing with other primary sites. And lymphovascular infiltration was another significant factor of IIb metastasis.
Since the lesion were mostly advanced in staging or suspicious for cervical metastasis in our cases, cervical metastatic rate is quite higher than our common thoughts. For the reliable evaluation, additional research for analysis of the more patients and the occult metastasis of follow-up patients without neck node surgery is needed.
We should consider the maxilla’s high IIb metastatic rate regarding lymphatic drainage system. There are no definite lymphatic separation between IIa and IIb anatomically. Considering this fact, neck dissection including IIb in clinical N negative patients is suggested.
Files in This Item:
T01434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5488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