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5 394

Cited 0 times in

Anatomical study of the venous structure for dermal filler injection to release cervical wrinkles

Other Titles
 목주름 치료를 위한 피부밑 필러 주입 시 고려할 해부학적 구조 
Authors
 류성용 
Issue Date
2017
Description
Dept. of Dentistry/박사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location of the AJV, EJV, and CV based on their surface anatomical landmark—the laryngeal prominence, in particular—and their communicating patterns to clearly identify dangerous areas for dermal filler injections into the neck.
Thirty sides of the neck from Korean adult cadavers (19 embalmed [14 males, 5 females; mean age, 78.7 y]) were used in this study.
The communicating pattern of the AJV, the CV, and the EJV were classified into 3 types according to morphology. Type I was subdivided into two types. in type Ia specimens (33%, 10/30), the CV, which is connected to the AJV and the EJV, ran along the anterior border of the SCM. Type Ib (23%, 7/30) was the same pattern as type Ia; however, another single vein was observed connecting the CV and the EJV at the level of the laryngeal prominence. In type II specimens (13%, 4/30), the CV connecting the AJV and the EJV proceeded apart from the medial side of the anterior border of the SCM. In this case, the CV was located 3.8±4.2mm medial to the anterior border of the SCM. The diameter of the EJV at the level of the LPH was 5.3±2mm, and the diameters of the CV and AJV were 3.3±1.6mm and 3.0±2.2mm, respectively. In type III specimens (30%, 9/30), the CV was absent, and only the EJV was located at the posterior margin of the SCM and while the AJV was located along the midline.
The dermal filler injection should be avoided approximately 10, 30, and 60 mm lateral to the midsagittal line since the AJV, CV, and EJV was located in the neck region.


나이가 들어가며 피부의 구조적 변화가 일어나고, 진피내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줄어들며 피부에는 여러 주름이 생긴다. 다양한 주름을 치료하기 위해 필러 및 보툴리눔 독소 치료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치료 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얼굴의 혈관 주행 및 근육의 형태해부학적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목부위의 목가로주름 완화를 위한 필러 시술 시 고려해야하는 해부학적 구조의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목가로주름 완화를 위한 필러 시술 시 주의해야하는 목의 해부학적 정맥 구조를 표면해부학적 표지점을 기준으로 위치 계측 및 형태를 관찰하여 효과적인 필러 주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국인 성인 시신 20쪽을 해부하였으며, 앞목정맥, 연결정맥, 바깥목정맥의 연결양상, 위치 및 두께를 관찰하기 위해 방패연골의 후두융기를 가로 및 세로로 지나는 선을 각각 LPH, LPV로 설정하였다. LPH의 위쪽으로 평행하게 0.5cm, 1cm 올린 선을 각각 LPH1, LPH2로 설정하였고, 아래쪽으로 평행하게 0.5cm, 1cm 내린 선을 각각 LPH3, LPH4로 설정하였다. 위 기준선을 통해 앞목정맥, 연결정맥, 바깥목정맥의 위치 및 두께를 계측하였으며 정맥들의 연결양상을 3가지 형태로 분류하였다.
바깥목정맥은 모든 시신에서 관찰되었으며, 연결정맥과 앞목정맥은 각각 75%와 95%에서 관찰되었다. 바깥목정맥, 연결정맥 및 앞목정맥의 연결양상은 3가지 형태로 분류되었으며 첫 번째 형태는 다시 두 개의 형태 (type Ia, and type Ib)로 나누었다. Type Ia는 연결정맥이 목빗근의 앞모서리에 접하여 앞목정맥과 바깥목정맥을 연결하는 형태로 40% (8/20)에서 관찰되었으며, type Ib는 type Ia와 동일한 형태였으나 LPH 높이에서 연결정맥과 바깥목정맥을 연결하는 또 다른 정맥이 위치한 형태로 15% (3/20)에서 관찰되었다. Type II는 연결정맥이 목빗근의 앞모서리에서 안쪽으로 떨어져 주행하며 바깥목정맥과 앞목정맥을 연결하는 형태로 20% (4/20)에서 관찰되었다. Type III는 연결정맥이 없이 목빗근의 뒤모서리에서 바깥목정맥이, 정중면을 따라 앞목정맥이 위치해있는 형태로 25% (5/20)에서 관찰되었다. LPH 높이에서 바깥목정맥, 연결정맥, 앞목정맥의 두께는 5.3±2mm, 3.3±1.6mm 그리고 3±2.2mm였다.
목가로주름 완화를 위한 필러 시술 시 일반적으로 주름을 따라서 주사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목의 정중선 부위와 목빗근의 앞모서리 및 그 안쪽부위에서 정맥이 위치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해당 부위의 주사 시 정맥 구조가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Files in This Item:
T01427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5481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