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8 606

Cited 0 times in

임금근로자의 근로시간·가사노동시간·여가시간과 신체활동 실천

Other Titles
 A study on wage workers' working/housework/leisure time and their practice of physical activities 
Authors
 김진숙 
Issue Date
2017
Description
역학건강증진학과 건강증진교육전공/석사
Abstract
연구 배경 및 목적 : 근로자의 건강은 개인의 삶의 질 뿐만 아니라 기업 생산성에 영향을 미쳐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 되며, 적절한 신체활동은 근로자의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시켜 건강한 삶을 영위하도록 돕고 나아가서는 국가 질병 부담을 경감시키는 중요한 건강행위이다. 우리나라 임금근로자의 신체활동 실천은 근로자의 시간 배분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고되었으며, 근로시간, 가사노동시간, 여가시간은 근로자 시간 배분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하나가 증가하면 다른 쪽이 감소하는 상호 대체재 관계로 작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세 가지 시간 구분을 모두 포함하여 신체활동과의 관련성을 파악한 기존 연구는 찾기 어려웠으며, 이에 본 연구는 근로·가사노동·여가시간과 신체활동 실천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임금근로자의 신체활동 실천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연구 대상은 17차(2014) 한국 노동패널조사 대상자인 15-65세 임금근로자 4,264명 중 남성 2,500명, 여성 1,764명이다. 독립변수인 근로·가사노동·여가시간은 각 변수의 정의에 따라 항목을 구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분석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범주형 변수는 Chi-square test, 연속형 변수는 ANOVA로 분석하였다. 독립변수와 신체활동 실천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시행하였으며,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인 신체활동 실천의 관련성은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신체활동 실천은 독립변수인 근로시간, 가사노동시간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며, 여가시간과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구사회학적특성, 가족특성, 노동환경특성, 건강행태 특성 영향을 보정한 다변수 분석에서 근로시간은, 주 41시간 이상일 경우 신체활동 실천이 남성은 0.63배(OR=0.63, 95%CI 0.51-0.79), 여성은 0.64배(OR=0.64, 95%CI 0.47-0.88)로 낮았고, 일일 가사노동시간 중 가족 돌봄 시간이 평균보다 많으면 신체활동 실천은 낮았다. 일일 여가시간 중 여가활동시간이 평균보다 많으면 신체활동 실천이 남성은 1.36배(OR=1.36, 95% 1.12-1.65), 여성은 1.31배(OR=1.31, 95% 1.01-1.71)로 높았으며, 교제 및 종교 활동시간이 평균보다 많으면 신체활동 실천은 여성이 1.94배(OR=1.94, 95%CI 1.06-3.56)로 높았다. 남·녀 모두 공통적으로 연령이 낮고,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신체활동 실천은 높았으며, 5세 미만 자녀는 임금근로자의 시간 배분에 있어서 중요변수로서, 그 수와 관계없이 5세 미만 자녀가 있는 경우 신체활동 실천이 남성은 0.64배(OR=0.64, 95%CI 0.47-0.87), 여성은 0.54배(OR=0.54, 95%CI 0.31-0.96)로 낮았다.

결론 : 임금근로자의 시간 배분은 신체활동 실천과 관련되어 있었으며, 긴 근로시간과 미취학 자녀는 신체활동 실천을 방해하는 요인이었다. 따라서 본 단면연구를 토대로 향후 임금근로자의 신체활동 실천을 증진시키기 위해 근로자의 근로환경과 조건을 개선하고 미취학 자녀가 있는 임금근로자에 대한 사업주와 국가적 차원의 해결방안도 함께 모색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 Workers' health affects not only their individual life quality but also their corporate productivity - both must be the engine power for the national development - and their proper physical activities are the important healthy behavior that help to maintain and improve their health, conducing to their healthy life and further, reducing nation's disease burden. It has been reported that in Korea, wage workers' distribution of tim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ir practice of physical activities. Their working/housework/leisure time accounts for most of their ordinary life; they are in a trade-off relation with each other. Nevertheless, few preceding studies researched into the association between wage-workers' working/housework/leisure time and physical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wage-workers' working/housework/leisure time and their practice of physical activities and thereby, provide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promotion of their practice of physical activities.

Subjects and Methods of the Study : This study sampled 4,264 wage-workers (2,500 males and 1,764 females) aged between 15 and 65 who had been surveyed by the 17th Korea Labor & Income Panel Study in 2014. The independent variables or working/housework/leisure time was itemized each to estimate their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while subjects' demographic variables were analyzed for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ir categorical variables were analyzed for Chi-square test. Furthermore, their continuous variables were analyzed for ANOVA. In order to analyze the correlation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practice of physical activitie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whil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dependent one or practice of physical activities was analyzed with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 Wage-workers' practice of physical activiti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working and housework time,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leisure time. As a result of an multi-variable analysis with the effects of demographic/family/working environment/health behavior ones compensated, it was found that if the weekly working time is 41 hours, th...
Files in This Item:
T01426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5479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