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5 1204

Cited 0 times in

산전 자가유방마사지 교육이 초산모의 모유수유 자기효능감, 모유수유 적응과 실천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prenatal breast self-massage education on breastfeeding self-efficacy, adaptation, and practice in primiparous women 
Authors
 김성연 
Issue Date
2017
Description
아동간호 전공/석사
Abstract
본 연구는 초산모를 대상으로 산전 자가유방마사지 교육이 초산모의 모유수유 자기효능감, 모유수유 적응, 모유수유 실천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여 모유수유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로서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방법은 비동등성 대조군 유사실험 연구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선정기준에 적합한 초산모로서 서울지역에 소재한 일개 여성전문 병원에서 분만한 5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 26명, 대조군 25명이었다. 실험 중재는 산전 34-36주에 단태아를 임신하고 첫 출산 예정인 임신부에게 모유수유 상담실에서 자가유방마사지를 2주 간격으로 총 2회 개별 교육을 시행하였다.
연구도구는 모유수유 자기효능감 14문항, 모유수유 적응 27문항, 모유수유 실천 1문항,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6문항을 측정하며, 총 58문항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산후 4시간째, 산후 3일에 모유수유 자기효능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병동에서 직접 대면하여 조사하였고, 산후 2주와 4주에 모유수유 실천, 모유수유 적응, 모유수유 관련 특성에 대해 온라인 설문을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6년 7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4.0을 사용하였고, χ²-tes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전 자가유방마사지 교육을 받은 실험군의 모유수유 자기효능감은 산후 4시간째(t=.831, p=.410)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산후 3일째(t=2.865, p=.006)의 모유수유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산전 자가유방마사지 교육을 받은 실험군과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의 산후 2주(t=1.765, p=.084),산후 4주(t=.871, p=.388)의 모유수유 적응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산전 자가유방마사지 교육을 받은 실험군의 산후 2주(χ²=3.204, p=.099) 모유수유 실천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산후 4주(χ²=4.777, p=.036)에 실험군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모유수유 적응에 있어서는 두 군 간의 차이가 없었고 부분적이긴 하나 대상자의 모유수유 자기효능감과 실천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산전에 이뤄진 자가유방마사지 중심의 교육만으로 다면적 개념을 포함한 모유수유 적응에 영향을 주기에는 한계가 있었을 수 있다. 그러나 산후조리원 재원 시점인 2주후 측정시점 보다 4주후 집에서 수유와 육아를 하는 시점에서 유의한 결과가 확인되었다는 것은 출산 후 제공되는 일반적 모유수유 교육의 내용을 산전에 자가유방마사지 중심으로 제공되었던 것의 반복 강화 효과로 사료되어 산전 자가유방마사지 교육의 실효성에 대한 근거가 되며, 산후에도 모유수유와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해주기 위한 체계적인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recruited first-time mothers as participants to verify the effects of prenatal breast self-massage education on breastfeeding self-efficacy, breastfeeding adaptation, and breastfeeding practice to explore its effects as a nursing intervention to promote breastfeeding. The study employ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design. Pregnant women expecting their first child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during antenatal care at M hospital, Seoul, Korea. The experimental group (n=26) received the intervention, prenatal breast self-massage education, at 34-36 weeks gestation. The intervention focused on self-mamma control (SMC) and consisted of a face-to-face teaching and demonstration session followed by additional individual training 2-weeks later. The control group (n=25) was recruited immediately following birth and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ceived standard teaching on breast care offered by the hospital.
The study tools consisted of a total of 58 questions administered through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on the following: breastfeeding self-efficacy (14 items), breastfeeding adaptation (27 items), breastfeeding practice (1 item), and general characteristics (16 items). Breastfeeding self-efficacy was measured in the maternity ward 4 hours after childbirth and 3 days later, and breastfeeding practice, breastfeeding adaptation, and breastfeeding-related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2 weeks and 4 weeks after childbirth through online follow up survey.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1 to October 30, 2016,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χ²-test and t-test using SPSS WIN 24.0.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is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reastfeeding self-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at 4 hours after childbirth (t=0.831, p=0.410) whereas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at 3 days after childbirth (t=2.865, p=0.006).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reastfeeding adaptation between the two groups at both, 2 weeks (t=1.765, p=0.084) and 4 weeks after childbirth (t=0.871, p=0.388).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reastfeeding practice 2 weeks after childbirth (χ²=3.204, p=0.099); bu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t 4 weeks postpartum for the experimental group (χ²=4.777, p=0.036).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ith regards to breastfeeding adaptation; while partial...
Files in This Item:
T01423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5477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