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3 1036

Cited 0 times in

미숙아 어머니의 불확실성, 사회적 지지 및 가족 중심 돌봄 인식이 산후우울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mpact of uncertainty, social support, and perception of family-centered care on postpartum depression in mothers of perterm infants 
Authors
 김사라 
Issue Date
2017
Description
아동간호 전공/석사
Abstract
본 연구는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 중인 미숙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산후우울을 조사하고, 어머니의 불확실성, 사회적 지지, 가족 중심 돌봄 인식이 산후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4주 이상 6개월 미만인 미숙아의 어머니 102명이었으며, 서울 시내에 소재한 상급종합병원 A병원의 신생아중환자실과 S병원의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2016년 4월 28일부터 11월 28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산후우울, 불확실성, 사회적 지지, 가족 중심 돌봄 인식으로 구성된 설문을 진행하였고, 환아의 중증도는 연구자가 환아의 의무기록으로부터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산후우울은 Edinburg Postnatal Depression Scale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12점을 절단점으로 하여 12점 이상인 경우 산후우울 위험군으로, 12점 미만인 경우는 산후우울 비위험군으로 분류하였다. 대상자의 산후우울 평균 점수는 11.96±5.77점이었으며, 산후우울 위험군인 대상자는 57.8%(59명)로 조사되었다.
2) 미숙아의 성별 분포는 산후우울 위험군에서는 비슷했지만 비위험군은 남아가 더 많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χ2=4.03, p =.045).
3) 미숙아의 재태연령(χ2=5.11, p =.024)이 낮을수록, 재원일수가(t= -3.27, p =.002) 높을수록 산후우울의 점수가 높았다.
4) 산후우울 위험군은 비위험군에 비해 불확실성 정도가 높았다(t=-3.33, p =.001).
5) 산후우울 위험군은 비위험군에 비해 사회적 지지가 낮았다(t=3.05, p =.003).
6) 미숙아 어머니의 산후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불확실성(OR=1.08, 95% 신뢰구간: 1.01-1.15)과 재원일(OR=1.28, 95% 신뢰구간: 1.03-1.59)이었다. 즉, 환아의 재원일이 길어질수록, 불확실성 점수가 높을수록 산후우울 위험도가 높았다.
본 연구결과 산후우울 점수가 12점 이상인 산후우울 위험군이 전체의 57.8%로 나타나 미숙아 어머니의 산후우울 정도가 상당히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산후우울 위험군의 불확실성은 비위험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산후우울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숙아의 어머니는 환아의 질병에 대해 예측하기 어렵고, 설명할 수 없는 상태인 불확실성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것이 산후우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재원일수가 4주 이상인 경우 재원일수가 증가할수록 산후우울의 위험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재원일이 4주 이상 되는 환아의 경우 어머니의 불확실성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간호 중재를 제공하여 산후우울을 예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uncertainty, social support, and perception of family-centered care on postpartum depression among mothers of preterm infant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NICU). This study recruited 102 postpartum mothers whose preterm infants have been hospitalized in the NICU for 4 weeks and less than 6 month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8 to November 28, 2016, from the NICU of two tertiary general hospitals in Seoul, Kore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postpartum depression, uncertainty, social support, and perception of family-centered care and severity of the infants was measured by the medical records of the infa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d statistics,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using SPSS 20.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Postpartum depression was assessed using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and a score of 12 or above was considered to indicate risk for postpartum depression. The mean EPDS score of the subjects was 11.96±5.77, and 57.8% of the mothers reported significant depressive symptoms.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partum depression according to the gender of preterm infants(χ2=4.03, p =.045), gestational age of preterm infants((χ2=5.11, p =.024), and the length of stay in the NICU(t= -3.27, p =.002).
3) The postpartum depression risk group had higher uncertainty than the non-risk group(t=-3.33, p =.001).
4) The postpartum depression risk group had lower social support than non-risk group(t=3.05, p =.003).
5) The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ostpartum depression of mothers with preterm infants are uncertainty(OR=1.08, 95% CI: 1.01-1.15) and length of stay(LOS) in the NICU(OR=1.28, 95% CI: 1.03-1.59). In other words, the longer LOS and the higher uncertainty score, the higher risk of postpartum depression.
The uncertainty of postpartum depression risk group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of non-risk group and also affected postpartum depression. Mothers of preterm infants seem to experience uncertainty that is difficult to predict and explain in the course of their infants’ disease. Especially, when the LOS in the NICU is more than 4 weeks, the risk of postpartum depression is higher as the LOS increased. In the case of infants with longer hospital days than 4 weeks, it may be necessary to prevent postpartum depression by providing intervention that can reduce the matern...
Files in This Item:
T01423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5477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