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6 566

Cited 0 times in

우리나라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에서의 소득에 따른 사망률 차이

Other Titles
 Income inequality and mortality among patients with 
Authors
 곽채운 
Issue Date
2017
Description
보건정책관리 전공/석사
Abstract
우리나라는 과도한 알코올 소비로 인한 알코올성 장애가 빈번하며, 음주에 대해 관대한 사회적 환경으로 인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저소득층 환자들의 의료서비스 접근 보장을 위해 의료급여 제도를 제공하고 있지만, 알코올성 장애를 비롯한 정신질환은 정액수가제로 인해 해당 환자들의 의료보장범위에 제한이 있고, 여전히 그들의 건강 결과에 대한 소득 불평등이 존재할 수 있다. 이에,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들의 사망률과 소득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03년에서 2013년 사이의 국민건강보험공단(NHIS) 표본 코호트BD 자료를 활용하여 10,593명의 새롭게 진단된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들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였다. 환자들의 소득과 사망률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콕스 비례 위험 모델을 사용하여 생존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연구기간 동안 대상 환자 중 12.79%의 환자가 사망하였다. 그 중 가장 낮은 소득 수준인 0-30백분위에 해당하는 환자들의 사망률은 14.13%로 다른 그룹의 환자들보다 높았고, 첫 진단부터 사망까지의 기간이 가장 짧았으며, 소득과 사망률과의 관계를 조사한 생존분석 결과 1.432의 위험비로 기준이 되는 소득 수준 91-100백분위 환자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소득 수준과 사망률과의 관계는 남성 환자, 동반질환이 없는 환자, 대도시에 거주하는 환자에게 더 높았다.
이 연구를 통해 알코올 사용장애로 진단된 환자들의 사망률이 소득 수준과 연관이 있음이 밝혀졌다. 소득 수준과 사망률과의 관계는 대도시에 거주하는 환자들이나 동반질환이 없는 환자들에게 더 컸다. 의료 전문가들은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에게 진단 초기부터 적극적인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고, 소득에 따른 건강 결과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저소득층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및 복지를 개선하는 정책을 고려해야 한다.


Background: The problems related to alcoholic consumption, in particular alcoholic disorders were frequent in South Korea and will be gradually increased regarding the drinking culture and social atmosphere. For improving management of psychiatric disorders including alcoholic disorders, per diem payment system for patients with low income was introduced after 1978, but there might be remained the income inequality. Thus,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rtality and income among patients with disorders due to use of alcohol.
Methods: We used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National Sample Cohort 2003–2013, which included medical claims filed for the 10,593 patients newly diagnosed with disorders due to use of alcohol. We performed survival analyses using a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mortality.
Results: There were 12.79% patients who died during study period. The lower income patients were mo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mortality (0-30 percentile=HR [hazard ratio]: 1.432, 95% CI [confidence interval]: 1.155-1.777; 31-60 percentile=HR: 1.318, 95% CI: 1.065-1.633; 61-90 percentile =HR: 1.352, 95% CI: 1.097-1.665; 91-100 percentile=ref). Such associations were significant in males, patients with mild conditions, or those who lived in the metropolitan.
Conclusions: There were income inequality related to mortality among patient who diagnosed disorders due to use of alcohol. These inequality were greater in patient with metropolitan region or mild clinical conditions. Healthcare professionals are needed to provide active intervention in early phase, and consider the policy which improve accessibility for healthcare of low income population to reduce income inequality.
Files in This Item:
T01421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5475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