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3 459

Cited 0 times in

악안면 비대칭 평가시 CT 영상을 이용한 정중시상 평면의 3차원적 설정방법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of different midsagittal plane configurations in evaluating craniofacial asymmetry with CT images 
Authors
 안상인 
Issue Date
2016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3차원 두부계측 분석을 통한 비대칭 환자의 악교정 수술 계획 수립시 정중시상 평면은 매우 중요한 기준 평면이다. 하지만 사람을 비롯한 모든 생물체의 구조는 완전한 대칭성을 가지기 어려우며 대칭적인 구조물을 이용하여 정중시상 평면을 결정하는 것은 한계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악안면 비대칭의 평가시 사용되고 있는 중간 구조물을 이용한 8개의 정중시상 평면 설정방법을 비교하기 위하여, 악안면 비대칭 환자의 3차원 CT 영상을 이용하여 각각의 정중시상 평면에 의한 계측값과 전문가가 선호하는 정중시상 평면에 의한 계측값이 나타내는 차이를 분석하여, 3차원 두부계측 분석시 가장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정중시상 평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악안면 비대칭을 주소로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을 내원하여 CT를 촬영한 총 30명의 환자 (남성 18명, 여성 12명)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25.7 ± 6.03세 (19세~43세)였다. 정중시상 평면은 Frankfort-Horizontal plane (FH plane)에 수직하면서 중간 구조물 두 점을 지나는 평면 4개와 중간구조물 세 점을 지나는 평면 4개를 각각 설정하였다. FH plane 에 수직하며, 전방부 중간 구조물인 Nasion (Na) 또는 Crista galli (Cg) 중에서 한 점, 후방부 중간 구조물인 Basion (Ba) 혹은 Sella (S) 중에서 한 점을 선택하여 Midsagittal plane (MSP) 1, 2, 3, 4 를 설정하였고, 전방부 중간 구조물에 해당하는 Na 혹은 Cg 중에서 한 점, 후방부 중간 구조물로는 Ba을 고정하고, 나머지 한 점으로 S 혹은 Anterior Nasal Spine (ANS)을 선택하여 MSP 5, 6, 7, 8 을 설정하였다. 8개 평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① MSP 1 (FH-Na-Ba) – FH plane에 수직하고 Na, Ba 의 두 점을 지나는 평면
② MSP 2 (FH-Na-S) – FH plane에 수직하고 Na, S 의 두 점을 지나는 평면
③ MSP 3 (FH-Cg-Ba) – FH plane에 수직하고 Cg, Ba 의 두 점을 지나는 평면
④ MSP 4 (FH-Cg-S) – FH plane에 수직하고 Cg, S 의 두 점을 지나는 평면
⑤ MSP 5 (Ba-Na-S) – Ba, Na, S 의 세 점을 지나는 평면
⑥ MSP 6 (Ba-Cg-S) – Ba, Cg, S 의 세 점을 지나는 평면
⑦ MSP 7 (Ba-Na-ANS) – Ba, Na, ANS 의 세 점을 지나는 평면
⑧ MSP 8 (Ba-Cg-ANS) – Ba, Cg, ANS 의 세 점을 지나는 평면
이를 기준으로 측정한 Menton, ANS 까지의 수직 거리 및 A-P line 이 이루는 각도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문가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평면은 FH plane에 수직하고 Na과 Ba 두 점을 지나는 평면으로, 총 180회 시행중 66회 선택되었다 (P < 0.05).
2. Menton 변위의 평가시 FH plane에 수직하는 정중시상 평면을 사용하는 것이 세 점으로 구성되는 정중시상 평면보다 더 오차가 적었다. FH plane에 수직하는 정중시상 평면은 전방부 Na를 지나는 평면이 Cg를 지나는 평면에 비하여 적은 오차를 보이나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으며, 후방부는 Ba 혹은 S 중 어느 점을 선택하여도 차이가 없었다 (P > 0.05).
3. ANS 변위의 평가시 두개저에 위치하는 세 점 (Ba와 S, 그리고 Na 또는 Cg)를 지나는 정중시상 평면을 사용하는 것이 FH plane에 수직하는 정중시상 평면이나 ANS를 포함한 세 점으로 구성되는 정중시상 평면보다 오차가 크게 나타났다 (P < 0.05).
4. A-P line 변위의 평가시 FH plane에 수직하고 Cg와 S를 지나는 정중 시상평면과 두개저에 위치하는 세 점을 지나는 정중시상 평면을 사용할 경우 더 큰 오차를 보였다 (P < 0.05).
5. 두개저에 위치하는 세 점을 지나는 정중시상 평면을 사용할 경우 Menton, ANS, A-P line의 비대칭을 과소평가 할 수 있다.
악안면 비대칭 평가시 FH plane에 수직하며, 전방부에서는 Nasion, 후방부에서는 Basion이나 Sella를 지나는 정중시상 평면을 사용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비대칭 평가에 대한 오차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iles in This Item:
T01407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930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