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71 1514

Cited 0 times in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불확실성 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두리-
dc.date.accessioned2017-07-11T16:10:35Z-
dc.date.available2017-07-11T16:10:35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9251-
dc.description간호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불확실성 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본 연구는 Mishel(1988)의 불확실성이론을 기반으로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불확실성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불확실성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요구도 조사를 위한 일대일 면담과 국내·국외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연구의 통합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불확실성 관리 프로그램은 Mishel(1988)의 불확실성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IMP(Intervention Mapping Protocol)의 총 6단계를 통해 체계적으로 개발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실험군 21명, 대조군 22명으로 실험군에게는 불확실성 관리 프로그램을 주 2회 6주 동안 총 12회기 수행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모두 중재 전·후에 불확실성, 불확실성을 통한 성장,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 인지기능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불확실성 관리 프로그램 개발 본 연구는 Mishel(1988)의 불확실성이론의 주요개념 중 구조적 제공자인 믿을 수 있는 권위자, 교육, 사회적 지지를 불확실성 관리 프로그램의 중재방법 및 수행전략으로 선정하였으며, 내용구성을 위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요구도 조사를 위한 일대일 면담,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국내·국외의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불확실성 관리 프로그램 개발과정은 IMP의 총 6단계를 통해 체계적으로 개발되었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한 불확실성 관리 프로그램 초안은 10명의 전문가 타당도를 거쳐 최종 프로그램(주 2회, 6주, 총 12회, 40분/회)으로 개발되었다. 2) 불확실성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가설 1. “불확실성 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보다 불확실성이 감소할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 중재 후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불확실성 중 복잡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t=2.52, p=.016). 가설 2. “불확실성 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보다 불확실성을 통한 성장이 증가할 것이다.”는 지지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은 불확실성을 통한 성장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1.65, p=.107). 가설 3. “불확실성 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보다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가 감소할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 본 연구에서 중재 후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가 유의하게 감소 하였다(t=2.10, p=.042). 가설 4. “불확실성 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보다 인지기능(MoCA-K)이 증가할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 본 연구에서 중재 후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지연회상력과 지남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2.30, p=.027), (t=-2.53, p=.015).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불확실성 관리 프로그램은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불확실성과 주관적 기억 문제 호소를 감소시켰으며, 인지기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하지만 불확실성을 통한 성장은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추후 이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중재기간 확대 및 반복측정을 반영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본 프로그램 효과의 일반화된 검증을 위하여 대상자 범위를 확대하고, 표본 수를 증가시킨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불확실성 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c.title.alternative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uncertainty management program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elderly people-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Doo Ree-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