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2 1423

Cited 0 times in

생산직 중년 남성 근로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관리 임파워먼트, 건강증진행위의 관계

Authors
 조미미 
Issue Date
2015
Description
간호대학/석사
Abstract
본 연구는 생산직 중년 남성 근로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관리 임파워먼트, 건강증진행위의 수준을 파악하고, 세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강원도 영동지방 소재의 제조업 산업체에서 근무하는 생산직 근로자 16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2015년 4월 7일부터 4월 18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강수진(2011)이 성인을 대상으로 개발한 한국 건강정보이해능력 측정 도구(KHLS), ?nver & Atzori (2013)의 Questionnaire for Patient Empowerment measurement Version 1.0을 번역 후 대상자에 맞게 수정 ? 보완한 건강관리 임파워먼트 도구와 Walker, Sechrist & Pender(1988)가 개발한 HPLP를 1995년에 수정, 보완하여 Health Promotion Lifesyle Profile-II(HPLP-II)를 서현미(2001)가 한국판으로 수정,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1.연구 대상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은 평균이 18점 만점 중 평균 11.67±3.48점이었으며, 건강관리 임파워먼트 평균은 10점 척도 중 7.27±2.00점이었으며, 건강증진행위는 총 4점 중 평균 2.40±0.44점이었다.



2.건강정보이해능력과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육 수준이 전문대학 졸업 이상이고 (p= .001), 소득수준이 월 300만원 이상인 경우(p= .037), 총 근무경력이 21년 이상 ~ 25년 이하인 경우(p= .005), 현 근무지 경력이 21년 이상인 경우(p= .009)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높았다. 건강관련 특성에 따라 건강정보이해능력과 비교한 결과 최근 2년 이내에 일반검진을 받았으며(p= .038), 건강정보 접촉빈도가 많을수록(p= .041)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3. 건강관리 임파워먼트와 연구 대상자의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인 건강관심도가 높고(p= .003), 의료기관 방문빈도가 많을수록(p= .018) 건강관리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았다.



4. 건강증진행위와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소득 수준이 월 300만원이상이고(p= .020), 현 근무지 경력이 21년 이상인 경우(p= .006) 건강증진행위가 높았다. 건강증진행위와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이 ‘좋다’라고 응답한 경우(p= .022), 건강정보 접촉빈도(p= .003), 주관적인 건강관심도(p= .001), 의료기관 방문빈도(p= .001)가 높은 경우 건강증진행위 수준이 높았다.



5.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관리 임파워먼트, 건강증진행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건강증진행위와 건강관리 임파워먼트는 양의 상관관계(r=.427, p= .001)를 보여 건강관리 임파워먼트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수준이 높았다.



본 연구는 생산직 중년 남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관리 임파워먼트, 건강증진행위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연구로써 근로자의 건강관리 능력 향상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관련 정책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사업장 내에서 건강관리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근로자들이 스스로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노력과 지속적인 건강프로그램 및 직접적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을 제안한다.
Files in This Item:
TA0184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903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