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8 1108

Cited 0 times in

여성호르몬 노출 관련 유방암 발생 위험요인에 따른 유방암 검진 행태

Authors
 진혜란 
Issue Date
2016
Description
보건대학원/석사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호르몬 노출관련 유방암 발생 위험요인 보유 여부에 따른 유방암검진 수검 행태와 그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제 5기(2010-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한 단면연구이다. 유방암 위험요인으로 여성 호르몬 관련 요인이 잘 알려져 있으나, 기존 연구에서 이러한 위험요인 보유자들이 검진을 적극적으로 받고 있는지 보고된 바는 없는 실정이다.

여성호르몬 노출관련 유방암 발생 위험요인들이 이와 같이 명확하게 알려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에서는 일반적 사회경제적, 건강행동이 아닌 여성호르몬 노출관련 유방암 발생위험요인에 따른 고위험군 여성들의 검진 행동에 대한 분석을 찾기 어려웠다. 여성유방암의 생물학적 위험요인이 잘 알려져 있는 상황에서, 이렇듯 유방암 고위험군인 여성들이 조기검진을 잘 받고 있는지 여부는 사회적으로 암 관리 차원에서도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유방암 위험요인 중 여성 생식 관련 변수를 분석한 이미화(2014) 연구에서는 월경 여부, 여성호르몬제 복용 여부, 김영복(2000) 연구에서 초경연령, 자녀수, 모유수유경험과 조기검진 관련 분석이 이루어 졌으나, 본 연구는 국내 문헌고찰연구(장성미 등, 2012)에서 제시된 생식위험요인의 모든 변수를 포함하여 이미화(2014), 김영복(2000) 연구에 이른 초경, 늦은 폐경, 적은 출산횟수, 경구피임약 복용 변수를 추가하여 보다 포괄적으로 여성호르몬 노출 위험요인의 관련성을 추가 분석하여 여성 유방암의 위험요인 초경 연령, 폐경 연령, 첫 출산 연령, 임신횟수, 모유수유기간, 경구피임약 복용과 같은 유방암 위험요인 보유 여부와 보유 개수 에 따라 유방암 고위험군인 여성들이 실제로 검진을 잘 받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개인의 유방암 위험요인 보유여부에 따른 검진이라는 미국질병관리특별위원회(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USPSTF) 검진 권고안에 대한 주의를 촉구하며, 우리나라 여성, 특히 유방암 고위험군의 유방암 수검률을 향상시키고, 효율적으로 유방암 사망과 비용을 감소시키는 정책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 5기(2010-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산출된 여성유방암 위험요인 중 이른 초경, 늦은 폐경, 적은 출산횟수, 늦은 첫 출산, 모유수유 미경험, 경구피임약 복용요인여부에 따른 유방암검진 수검 행태와 유방암검진 수검 관련 요인을 분석한 결과, 유방암검진 수검자 3,918(79.6%)명, 미수검자 1,001(20.4%)명 이었으며 연령은 40세 이상 평균연령 65.0세였다.

여성 유방암 위험요인 보유 개수와 유방암검진 미수검 관련성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여성유방암 위험요인 2개 보유자(OR=1.50, 95%CI=1.01-2.23), 3개 보유자(OR=1.66, 95%CI=1.02-2.67)는 0개 보유자에 비해 미수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60-69세가 40-49세에 비해 유방암 검진 미수검이 적었고(OR=0.59, 95%CI=0.35-0.99), 교육수준에서는 초졸 이하가 대졸에 비해 유방암검진 미수검이 많으며(OR=1.56, 95%CI=1.05-2.31), 주관적 건강상태는 ‘보통’(OR=0.61, 95%CI=0.40-0.91)이 ‘매우 좋음’에 비해 유방암 미수검이 적고, 흡연여부는 ‘피움’이 ‘피우지 않음’에 비해 유방암 미수검이 많았으며(OR=1.96, 95%CI=1.13-2.75), 주관적 체형인식은 현재 본인의 체형이 어떻다고 생각하는지 판단한 물음에 대한 답변으로 ‘매우 마른편’이 ‘보통’에 비해 유방암 미수검이 많고(OR=1.31, 95%CI=1.01-1.71), 주관적 체형인식이‘약간 비만’이 ‘보통’에 비해 미수검이 적었다(OR=0.75, 95%CI=0.62-0.89).

여성 호르몬 관련 유방암 발생 위험요인 2~3개 보유자들은 유방암 발생 고위험군 임에도 불구하고 위험요인이 없는 군에 비해 유방암검진을 받지 않고 있다. 이들에게 유방암검진 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전략을 고려해 보고, 나아가 유방암고위험군 검진참여 개선이 유방암 사망감소 및 비용 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지 향후 연구로 알아보아야 할 것이다.

유방암 조기 발견을 위해 권고에 따른 정기적인 유방암검진 유도메시지 개발에 있어, 유방암 위험관련 여성건강변수가 유방암검진 실행에 긍정적 결정을 유도할 수 있도록 유방암에 대한 본인이 가지고 있는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예방행위를 실행하도록 수검에 장애 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는 중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Files in This Item:
T01393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897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