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2 517

Cited 0 times in

대기오염물질과 알레르기성 결막염으로 인한 외래 방문 환자수 관련성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Authors
 정인화 
Issue Date
2016
Description
보건대학원/석사
Abstract
이 논문은 겨울철 서울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기후 정보를 분석하여 대기오염물질의 농도에 따른 단기 건강영향으로서 알레르기성 결막염으로 인한 외래 방문 환자수에 대한 평가를 주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대기 환경 기준에 대해 살펴보고 인구의 밀집도가 높고 꽃가루 영향이 적은 겨울철 서울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4년 간(2011-2014년)대기 오염물질 현황에 대한 검토를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환경성 질환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가 높으며 순환기계 및 호흡기계와 동일한 점막 조직으로 이루어진 결막에서 외부 자극에 의하여 발생하는 알레르기성 결막염으로 인한 외래 방문 환자수를 대상으로 대기오염물질의 농도에 따른 영향 연구와 상관성을 보고자 하였다.

대기환경지수에서 선정하고 있는 6가지 대기오염물질 중 24시간 환경 기준치를 초과하고 있는 , , 의 3가지 항목에 대하여 급성 건강 영향으로서 알레르기성 결막염에 대한 상관성 및 GAM 모형을 통한 시계열 분석을 시행하였다. 혼란 변수로서 기후 인자인 기온과 습도, 풍속을 통제하고 요일을 더미 변수로 지정하여 GAM 모형을 만든 결과, 전날에 에 의하여 양의 연관성이 보였으며, 5일 전과 6일 전의 수치에서 양의 연관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에서도 동일한 날에서 양의 연관성이 나타났으며, 2일전 수치에 의해서도 역시 양의 상관성이 나타났다. 에 의해서도 2일전 수치에 의하여 양의 상관성이 나타났으며, 5일 전 수치에 의하여도 양의 상관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대기오염물질의 누적 지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single lag 및 cumulative lag을 수행하였으며 이에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낸 는 lag0-1에 대해 cumulative lag를 분석하였고 과 초미세먼지()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분석하였다. 세부 분석으로 연령과 성별로 층화 분석하여 대기오염물질의 농도 증가로 인한 위험도로 나타내었다. relative risk는 알레르기성 결막염에 대한 각 대기오염물질의 1 표준편차 당 상대적인 위험도와 95% 신뢰구간으로 표현된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으로 인한 외래 방문 환자수의 adjusted relative risk는 에 대해서 1 표준편차 당 약 2배의 위험도가 나타나 알레르기성 결막염 질환과의 영향을 확인하였고 과 초미세먼지()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미미했다. 의 영향으로 연령 분류에서 65세 이상인 군과 성별 분류에서 여성 군에서 유의한 상관성으로 높은 위험도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차후 병리학적 연구를 통해 와 알레르기성 결막염 간 인과관계의 연구가 필요하며 더욱 오랜 기간 동안 일별 자료를 축적하여 세부 병명에 따라 GAM에 의하여 영향관계를 찾을 필요가 있고 이에 대한 새로운 연관성을 보는 모형에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Files in This Item:
T01392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896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