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4 518

Cited 0 times in

대기오염물질과 알레르기성 결막염으로 인한 외래 방문 환자수 관련성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인화-
dc.date.accessioned2017-07-07T16:10:57Z-
dc.date.available2017-07-07T16:10:57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8965-
dc.description보건대학원/석사-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겨울철 서울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기후 정보를 분석하여 대기오염물질의 농도에 따른 단기 건강영향으로서 알레르기성 결막염으로 인한 외래 방문 환자수에 대한 평가를 주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대기 환경 기준에 대해 살펴보고 인구의 밀집도가 높고 꽃가루 영향이 적은 겨울철 서울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4년 간(2011-2014년)대기 오염물질 현황에 대한 검토를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환경성 질환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가 높으며 순환기계 및 호흡기계와 동일한 점막 조직으로 이루어진 결막에서 외부 자극에 의하여 발생하는 알레르기성 결막염으로 인한 외래 방문 환자수를 대상으로 대기오염물질의 농도에 따른 영향 연구와 상관성을 보고자 하였다. 대기환경지수에서 선정하고 있는 6가지 대기오염물질 중 24시간 환경 기준치를 초과하고 있는 , , 의 3가지 항목에 대하여 급성 건강 영향으로서 알레르기성 결막염에 대한 상관성 및 GAM 모형을 통한 시계열 분석을 시행하였다. 혼란 변수로서 기후 인자인 기온과 습도, 풍속을 통제하고 요일을 더미 변수로 지정하여 GAM 모형을 만든 결과, 전날에 에 의하여 양의 연관성이 보였으며, 5일 전과 6일 전의 수치에서 양의 연관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에서도 동일한 날에서 양의 연관성이 나타났으며, 2일전 수치에 의해서도 역시 양의 상관성이 나타났다. 에 의해서도 2일전 수치에 의하여 양의 상관성이 나타났으며, 5일 전 수치에 의하여도 양의 상관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대기오염물질의 누적 지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single lag 및 cumulative lag을 수행하였으며 이에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낸 는 lag0-1에 대해 cumulative lag를 분석하였고 과 초미세먼지()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분석하였다. 세부 분석으로 연령과 성별로 층화 분석하여 대기오염물질의 농도 증가로 인한 위험도로 나타내었다. relative risk는 알레르기성 결막염에 대한 각 대기오염물질의 1 표준편차 당 상대적인 위험도와 95% 신뢰구간으로 표현된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으로 인한 외래 방문 환자수의 adjusted relative risk는 에 대해서 1 표준편차 당 약 2배의 위험도가 나타나 알레르기성 결막염 질환과의 영향을 확인하였고 과 초미세먼지()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미미했다. 의 영향으로 연령 분류에서 65세 이상인 군과 성별 분류에서 여성 군에서 유의한 상관성으로 높은 위험도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차후 병리학적 연구를 통해 와 알레르기성 결막염 간 인과관계의 연구가 필요하며 더욱 오랜 기간 동안 일별 자료를 축적하여 세부 병명에 따라 GAM에 의하여 영향관계를 찾을 필요가 있고 이에 대한 새로운 연관성을 보는 모형에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대기오염물질과 알레르기성 결막염으로 인한 외래 방문 환자수 관련성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ung, In-Wha-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