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7 1063

Cited 0 times in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약물복용 이행과 관련 요인

Authors
 정송희 
Issue Date
2016
Description
간호대학/석사
Abstract
본 연구는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를 대상으로 경구용 표적치료제인 TKI 복용 이행정도를 조사하고, 약물복용 이행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만성골수성백혈병으로 진단받고 TKI를 복용한지 한 달 이상 된 환자 76명이며, 서울 시내에 소재한 Y대학병원 암병원 혈액암센터 외래에서 2015년 8월 3일부터 12월 1일까지 이루어졌다.

대상자의 약물복용 이행정도, 일반적 특성, 질병 및 약물 관련 특성, 사회적 지지, 약물에 대한 지식, 우울을 포함한 설문과 의무기록을 분석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version을 이용하여 통계분석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대상자의 약물복용 이행정도(Medication adherence)는 ASRQ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약물복용 이행군을 정해진 시간에 처방된 용량을 복용하는 경우로 정의하였을 때 48.7%로 나타났다. 약물을 복용하지 못한 이유로 “복용시간 잊어버림”(45.2%), “외출”(38.7%), “부작용”(9.7%)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2.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인 연령, 성별, 결혼상태, 가족동거 여부, 교육수준, 가족의 월수입에 따른 약물복용 이행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질병 및 약물 관련 특성인 질병단계, 동반질환 유무, 치료 실패 유무, 치료 변경 유무, TKI 종류, 복용하는 TKI 개수 및 복용빈도에 따른 약물복용 이행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약물복용 불이행군에서 만성골수성백혈병의 진단 기간이 2년 이상일수록(χ²=4.94, p=0.026), TKI 복용기간이 2년 이상일수록(χ²=6.34, p=0.012), TKI를 하루에 한 번 복용하는 경우(χ²=5.76, p=0.016)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약물복용 이행군에서 TKI 외 복용 중인 처방약이 있는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χ²=5.38, p=0.020).

4.약물복용 이행군과 불이행군 두 그룹간의 가족지지(t=-1.81, p=0.78)와 의료인 지지(t=-1.40, p=0.166)는 차이가 없었다.

5.약물복용 이행군과 불이행군 두 그룹간의 약물지식은 차이가 없었다(t=-1.26, p=0.210).

6.약물복용 이행군과 불이행군 두 그룹간의 우울점수는 차이가 없었다(t=0.47, p=0.602).

7.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약물복용 이행에 유의한 관련 요인은 TKI 복용기간(OR=0.07, CI=0.01-0.50)이었다. 즉, TKI 복용기간이 2년 미만인 경우가 TKI 복용기간이 2년 이상인 경우에 비해 약물복용 이행을 잘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TKI를 한 번 복용하거나 다른 처방약 없이 TKI 만 복용하는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들에게 간호사는 TKI 복용으로 인한 부작용 및 TKI에 대한 지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현재의 질병상태에 대한 교육 및 카운셀링을 통하여 약물복용 이행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TKI 복용기간이 2년이 이상 된 환자를 중심으로 약물복용 이행정도를 주기적으로 사정하고 그에 따른 중재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Files in This Item:
T01391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896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