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4 596

Cited 0 times in

미취학아동의 노작활동에 의한 프탈레이트 노출 평가

Authors
 손혜림 
Issue Date
2016
Description
보건대학원/석사
Abstract
프탈레이트류는 산업계에서 널리 그리고 가장 많은 양으로 사용되는 화학물질 중 하나이다. 프탈레이트류는 가소제로써 화장품, 생활용품, 바닥재, 페인트, 장난감 등에 첨가되어 있다(ATSDR, 2002). 프탈레이트류의 유해영향은 잠재적인 내분비장애물질로써 발암성이 규명되었고(NTP, 1989), 폐기능과의 관련성(Hoppin, Ulmer and London, 2004) 및 어린이에서의 호흡기 영향 및 기관지 협착에 대한 의견을 제기하고 있는 물질이다(Jaakkola, Verkasalo and Jaakkola, 2000). 어린이는 타 인구집단에 비해 민감한 집단으로, 동일한 유해화학물질의 오염수준에 노출되더라도 성인보다 더 큰 피해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프탈레이트에 노출될 수 있는 경로가 어른들보다 많으며, 실제 소변을 통해 DEHP 대사산물의 내적 노출량 평가에서 2차 대사산물의 농도가 어른들보다 어린이의 소변에서 상당히 높은 것이 발견되었다(Koch, Drexler and Angerer, 2004). 또한 미국 환경보호청의 권고용량(RfD)과 유럽 식품안전국의 1일 섭취허용량(TDI)을 초과한 사례도 있었다(Wittassek et al., 2007a).

지금처럼 플라스틱 제품의 사용이 필수적이고 도처에 프탈레이트가 노출될 수 있는 상황에서 노출원이나 경로를 더 많이 가지는 어린이의 프탈레이트 노출실태에 관한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 현재 어린이용품 내 프탈레이트 함량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제 노작활동 시 얼마나 노출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활동공간의 5~7세 미취학아동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노작활동에 이용되는 (어린이용품 등)제품 표면 및 활동 후 손 표면 프탈레이트류 농도를 살펴보았다. 또한 관찰조사를 통해 노출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품 표면과 손 표면 프탈레이트류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환경 중 노출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대상자들이 빈번히 접촉하는 제품군을 선정하여 표면 프탈레이트류를 살펴본 결과, DEHP가 가장 높게 검출되었고 DEHP, DnBP는 100% 검출율을 보인 반면, BBzP와 DEP는 모두 불검출되었다. DEHP의 경우, 제품군별로 평균값 살펴보았을 때 책상과 염색섬유(0.26 ug/cm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95th% 값 이상의 농도값을 보인 제품은 PVC소재의 놀이매트, 바니쉬로 마감된 책상과 학습교구로 조사되었다. DnBP는 염색섬유(0.14 ug/cm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95th% 값 이상의 농도값을 보인 제품은 인조가죽 소재의 쇼파, 플라스틱 교구 및 코팅된 종이로 조사되었다.

30분간의 자유 놀이 활동 후 손 표면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4종 프탈레이트 총 농도 평균값은 32.58 ug/hand으로 10.82~73.54 ug/hand 범위로 측정되어, 조사 대상자에 따라 넓은 농도 편차를 보였다. 총 농도의 95th% 값은 56.72 ug/hand이었다. 이 중 DEHP의 농도는 평균값은 18.45 ug/hand로 7.97~29.81 ug/hand 범위이고, 95th% 값은 26.82 ug/hand이었다. DEHP 다음으로 검출율이 큰 DnBP의 평균 농도는 14.10 (2.39~46.56) ug/hand었으며, DEP는 매우 낮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손 표면 프탈레이트 농도는 대체로 제품 표면과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다.

손 표면 프탈레이트류 농도와 노출 형태(손 빨기, 제품 빨기, 제품 잡기)간의 상관성를 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손 표면 프탈레이트 농도와 손 빨기 시간과의 약한 음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나 이는 거의 무시될 수준의 선형 관계이며, 제품 빨기 시간과도 약한 음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반면 손 표면의 프탈레이트 농도와 제품 잡기 시간에서는 약한 양의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손 표면 프탈레이트류 농도에 제품 잡기가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바, 손 표면 프탈레이트류 농도에서 책(코팅종이)을 잡는 빈도 및 노출시간의 회귀계수는 양의 값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반면 손 표면 DEHP 농도의 경우, 빈도와 노출시간 모두에서 교구2(플라스틱)의 회귀계수(B)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나 음의 값으로 나타났다. 이는 「품질경영 및 공산품안전 관리법」상 모든 어린이용품에 DEHP 사용을 금지하고 있음이 반영된 결과로 사료된다.

보다 대표성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추후 대규모 연구가 필요하며, 제품 표면의 경우, 교구의 종류가 나날이 다양해지므로 제품의 기능 뿐 아니라 성상까지 고려하여 평가되어야 한다. 또한 손 표면은 개인별 활동력 차이를 고려하여 단회가 아닌 연령별로 반복 측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Files in This Item:
T01384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889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