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2 1338

Cited 0 times in

소아암 생존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회복탄력성 및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

Authors
 박미나 
Issue Date
2016
Description
간호대학/석사
Abstract
본 연구는 소아암 생존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회복탄력성, 건강관련 삶의 질의 정도와 관련성을 파악하고, 자아정체감이 회복탄력성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궁극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소아암 생존청소년 환자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탐색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5년 6월 13일부터 2015년 9월 30일까지 소아암 진단을 받고 암 치료 종료 2년후 외래에서 추적 관찰중인 13∼18세의 소아암 생존청소년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자가 직접 대상자에게 설문지를 배부하고 그 자리에서 전수 회수하였다. 연구도구중 자아정체감은 박아청(1996)이 개발한 ‘한국형 자아정체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회복탄력성은 김동희(2010)가 개발한 ‘만성질환아의 극복력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건강관련 삶의 질은 Varni 등(1999)의 PedsQL 4.0 Generic Core Scale 중 청소년 자가 보고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Windows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관계, 다중회귀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아정체감 점수는 최대 5점 중에서 평점 3.92점 이었고, 자기수용 영역과 친밀성 영역이 평점 4점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2. 회복탄력성 점수는 최대 4점 중에서 평점 3.18점으로 3가지 하위영역 모두에서 3점이상의 점수를 보였다.

3. 건강관련 삶의 질은 최대 100점 중에서 평점 83.6점으로 4가지 하위영역 모두에서 80점 이상의 점수를 보였다.

4. 건강관련 삶의 질은 자아정체감(r=.648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성이 있고, 회복탄력성(r=.603 p<.001) 과도 유의한 정적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자아정체감과 회복탄력성(r=.778 p<.001) 또한 유의한 정적 상관성이 있었다.

5. 소아암 생존청소년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정체감, 회복탄력성으로 분석되었으며, 회귀모형은 각각 39.4%, 36.1% (Adjusted R²=.394, .361) 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소아암 생존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회복탄력성, 건강관련 삶의 질은 서로 유의한 상관성이 있으며 최종적으로 자아정체감, 회복탄력성이 소아암 생존 청소년의 건강관련 삶의질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아암 생존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도록 돕는 간호중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Files in This Item:
T01382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886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