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5 595

Cited 0 times in

미니스크류 보강형 급속 구개확장 치료의 안정성 및 치주적 영향 평가

Authors
 임현묵 
Issue Date
2015
Description
치과대학/석사
Abstract
본 연구는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를 이용하여 미니스크류 보강형 급속 구개확장 치료(miniscrew 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MARPE)에 대한 치료의 안정성 및 치주적 영향에 대해 평가해보고자 시행하였다.

횡적 부조화로 인해 MARPE로 구개 확장 치료를 한 18명의 환자(남자5명, 여자 13명; 평균나이 21.5 ± 3.1세; 범위 17.9 ~ 26.8세)에서 확장 전(T0), 후(T1) 그리고 확장 1년 이후(T2)에 촬영된 CBCT 영상을 이용하였다. 중절치(I1), 견치(C), 제 1소구치(PM1), 제 2소구치(PM2), 제 1대구치(M1)의 확장과 골격적 확장, 제 1대구치의 기울기 변화, 그리고 협측 치조골 두께(BBPT), 구개측 치조골 두께(PBPT), 협측 치조골 높이(BACL), 중절치 사이 치조골 높이(IACL) 변화를 분석하였고,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에 대해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확장 1년 후 중절치를 제외하고 모든 치아와 골격성 계측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확장이 관찰되었다(P < .001). M1에서 치관 높이에서 비강으로 올라갈수록 확장량이 작아지는 삼각형 모양의 이개 양상을 보였다.

2.M1에서 확장 1년 후 44.4%의 골격적 확장과 20.5%의 치조적 확장, 그리고 35.1%의 치아확장 및 경사를 보였다.

3.M1에서 진정한 치아 경사(치아경사와 치조골 경사의 차)는 T1에 평균 3.33°협측 경사를 보였으나(P < .001), T2에는 T0보다 평균 2.31°설측 경사되었다(P > .05).

4.BBPT는 T1에서 T0에 비해 PM1, M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T2에는 T0에 비해 PM1과 PM2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5.PPBT는 T1에서 T0에 비해 모든 구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1). T2에는 일정 부분 감소되었으나 T0에 비해 모든 구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 < .01).

6.BACL은 T1에 모든 치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다. 특히 PM1는 양이 컸으며, T2에 일정부분 회복 되었으나 T0에 비해 유의하게 낮아졌다.

7.IACL은 T0에 비해 T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8.회귀 분석 결과 M1에서 확장 1년 후 BBPT 변화는 초기 협측 치조골이 두꺼울수록 적었고, BACL의 변화는 초기 협측 치조골 높이가 낮을수록 적었다.

횡적 부조화를 갖는 젊은 성인에서 MARPE 치료 1년 후에도 반대교합의 재발 없이 성공적인 치료 결과를 보여주었다. MARPE 치료 1년 후 제 1소구치 부위에서 협측 치조골 두께 및 높이의 감소가 관찰되었지만, 임상적으로 받아들일만한 수준이었다. 치료의 안정성 및 치주적 영향을 고려해 볼 때 횡적 부조화를 갖는 젊은 성인에서 MARPE가 구개확장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01370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874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