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9 1314

Cited 0 times in

임상연구모니터요원의 의사소통능력과 직무만족도

Authors
 양미진 
Issue Date
2015
Description
보건대학원/석사
Abstract
본 연구는 임상연구모니터요원의 일반적 특성, 의사소통능력,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고 관련성을 규명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의사소통능력 교육 자료를 개발하고 임상연구모니터요원의 직업적 전문성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조사대상은 서울에 있는 국내외 임상시험수탁기관, 제약회사 등에서 근무 중인 임상연구모니터요원 총 123명을 임의 표출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4년 12월 08일부터 2015년 03월 27일까지 자기보고 설문을 실시하였다.

의사소통능력은 Rubin(1990)이 개발한 ‘의사소통능력 도구(ICC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를 허경호(2003)가 수정하여 개발한 ‘포괄적 대인의사소통능력 도구(GICC,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를 다시 배주영(2008)이 수정한 도구로 측정하였고, 직무만족도는 Paula(1976)가 개발하고 배분희(2001)가 수정하여 사용한 것을 김지숙(2008)이 임상연구모니터요원의 업무 특성에 맞게 수정하여 총 23문항(연봉-3문항, 업무요구-3문항, 전문적 지위-5문항, 행정-3문항, 연구진과의 관계-2문항, 자율성-4문항, 상호작용-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도구로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AS 9.2 program을 이용하였고, 기술통계,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정은 Scheffe-test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상연구모니터요원의 의사소통능력 점수는 75점 만점에 평균 53.80±5.96점 이었다. 임상연구모니터요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능력은 복지 중 4대 보험이 있는 경우(p=0.032), 임상연구모니터요원 지원 동기가 ‘임상연구를 하고 싶어서’인 경우(p=0.006) 의사소통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임상연구모니터요원의 전체 직무만족도는 115점 만점에 평균 73.61±9.79점으로 직무만족도의 하부 영역별로 연봉 만족도 평균 8.97±2.47점(총점 15점), 업무요구 만족도 평균 9.45±1.29점(총점 15점), 전문적 지위 만족도 평균 17.19±3.16점(총점 25점), 행정 만족도 평균 8.79±2.13점(총점 15점), 연구진과의 관계만족도 평균 6.12±1.66점(총점 10점), 자율성 만족도 평균 12.97±2.25점(총점 20점), 상호작용 만족도 평균 10.33±2.15점(총점 15점)으로 나타났다.

3. 임상연구모니터요원의 의사소통능력과 전체 직무만족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고, 직무만족도의 7개 하부영역(연봉, 업무요구, 전문적 지위, 행정, 연구진과의 관계, 자율성, 상호작용) 중 연봉 만족도, 전문적 지위 만족도, 자율성 만족도, 상호작용 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임상연구모니터요원의 일반적 특성 중 소속은 행정 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직급은 자율성 만족도 및 상호작용 만족도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연봉은 연봉 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일일 평균 근무시간은 전체 직무만족도 및 자율성 만족도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진행 중인 연구 수는 행정 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직 의도는 상호작용 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연구모니터요원의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될 때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므로 향후 임상연구모니터요원을 위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의사소통능력 교육 자료를 개발하고 훈련 받도록 하며 교육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까지 시행함으로써 임상연구모니터요원의 직업적 전문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시켜 국내 임상연구의 수준을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기여해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01365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869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