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439

Cited 0 times in

신장이식환자가 인지하는 가족지지와 질적인 삶(Quality of life)과의 관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regarding the quality of life of kidney transplant and their perceived family support 
Authors
 조현숙 
Issue Date
1988
Description
간호학교육전공/석사
Abstract
[한글]

최근 의학의 첨단분야로써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있는 신장이식은 만성신부전환자에 대한 치료와 재활면에서 혈액투석보다 우수한 방법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에서도 1969년에 신장이식이 시작되어 신장이식환자수가 해가 갈수록 증가 추세에 있다.

이들 대부분의 신장이식환자들이 수술후에도 계속적인 추후관리를 받는 과정에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가족지지와 일상생활에서 얻는 만족이라고 할 수 있는 질적인 삶(Quality of Life)정도에 대하여 분석하고 관계 규명을 해 봄으로써 생의 의미와 만족스러운 삶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그들의 지지자원을 활용할 수 있게 도와주며, 현실적인 간호목표와 방법을 모색해 나가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1987년 10월 2일부터 1987련 10월 20일까지 공휴일을 제외한 12일 동안 서울시 소재의 3개대학교 부속병원 외과에서 신장이식수술을 받은 후 외래에서 계속적인 추후관리를 받고 있는 환자를 모집단으로 하여 선정기준에 의해 유의표출한 9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질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인지된 가족지지측정도구와 질적인 삶 측정도구(Quality of Life Scale: Q.L.S)를 사용하였다. 인지된 가족지지측정도구는 최가 결핵환자를 대상으로 사용한 도구에 신장이식환자의 상황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문장을 구성하여 15문항으로 개발하여 내용타당도와 신뢰도 검정 ( α = .86829)을 하였으며, 질적인 삶 측정도구는 미국 National Conference on Cancer Nursing에서 제정한 Q.L.S를 연구자가 번역하여 신장이식환자 상황으로 문항을 재구성하여 내용타당도와 신뢰도 검정 ( α = .91588)을 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대상자의 가족지지와 질적인 삶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피어슨 적률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가족지지 및 질적인 삶과의 관계는 t-test, 분산분석, 피어슨 적률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인지된 가족지지정도는 최소값이 23점이고, 최대값이 75점이며 평균이 64.85, 평균평점이 4.32였다.

2. 대상자의 질적인 삶정도는 최소값이 50점, 최대값이 196점, 평균이 133.69점이고, 평균평점이 6.68이었다. 각 영역별로 평균 평점을 비교해보면 신체적 안녕영역은 6.96, 진단 및 치료에 대한 반응영역은 5.71, 정신적 안녕영역은 7.42, 사회적 관심영역은 7.19, 신체상에 대한 관심영역은 6.30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낸 것은 정신적 안녕영역이었고,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낸 것은 진단 및 치료에 대한 반응영역이었다.

3. 대상자가 인지하는 가족지지정도와 질적인 삶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r = .3560, p < .05). 즉 가족지지정도가 높을수록 질적인 삶정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신장공여자가 누구였는지에 따른 가족지지정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타인이 제공한 신장을 이식받은 환자가 가족에게 신장을 제공받은 환자보다 가족지지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 : -3.24, p < .0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이식수술전의 치료방법이 무엇이었는지에 따른 가족지지정도와의 관계에서도 이식받기 전에 복막투석을 받은 사람이 혈액투석을 받은 사람보다 가족지지정도가 높게 나타났다(r=-2.47, p< .05).

대상자의 교육수준과 가족지지영역 중에서는 정서적지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F= 4.211, P < .05). 즉 교육수준이 대졸이상인 사람이 정서적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적인 삶과의 관계률 분석한 결과 교육수준과 질적인 삶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 3.138, p < .05). 특히 신체적 안녕영역과 정신적 안녕영역 및 신체상에 대한 관심영역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F = 3.447, F = 4.394, F = 5.435, P < .05).

즉 교육수준이 낮은 사람에서 질적인 삶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직업과 질적인 삶과의 관계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4.706, p < .05), 특히 진단 및 치료에 대한 반응영역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전문직을 가진 사람과 주부 및 학생이 질적인 삶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이식을 받게 된 동기가 무엇이었는지에 따른 질적인 삶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본인이 스스로 결정해서 수술을 받은 대상자가 의사나 가족의 권유로 수술을 받은 대상자보다 질적인 삶영역중에서 신체상에 대한 관심영역이 높게 나타났다(F=3.391, p< .05).

대상자의 거부반응 경혐유무와 질적인 삶과의 관계분석에서는 거부반응을 경험하지 않은 사람이 거부반응을 경험한 사람보다 질적인 삶영역중에서 신체상에 대한 관심영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r=-2.20, p < .05).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중 연령, 가족수, 발병후부터 이식전까지의 유병기간과 이식후 경과기간과 가족지지정도 및 질적인 삶과의 상관관계에서 이식후 경과기간만이 가족지지정도, 질적인삶정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r = -.3044, p < .05).

결론적으로 신장이식환자의 가족지지와 질적인 삶과의 관계에서 가족지지정도가 높을수록 질적 삶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식후 경과기간이 길수록 가족의 지지정도가 낮았으며, 질적인삶정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Nowadays, nurses are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kidney transplant method of treatment for patients with kidney failure. In Korea, the number of kidney transplant patients have been increasing since 196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data to be used to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and family support of kidney transplant patients.

The 97 subjects in this study were patients who were being followed ups, following kidney transplant in the out patient departments of 3 general hospitals during the period of Oct. 2, 1987 to Oct. 20, 1987.

The research tool used to measure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was a tool made by Choi and modified by the research. Choi's tool was developed for patients who had tuberculosis.

The items in the research tool prepared for kidney transplant patients were 15, and the reliability was =.86829.

The tool used to measure the quality of life was based on a tool made by the U.S.A. National Conference on Cancer Nursing and modified by the research.

The reliability of the quality of life tool was =.91588.

The data were aralyzed by percentile, pearson correlation, t-test, ANOVA, pearson, product-moment and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of the was 64.85, and the range was from 23 to 75.

2. The mean score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subjects was 133.69, and the range was from 50 to 196. The item showing the highest score was mental well being (7.42), and the item with the lowest score was diagnosis & treatment (5.71).

3.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showed a postive correlation. (r=.3560, p< .05).

4. The score of perceived family support of patients who received a kidney from those who were not relatives was higher than the score of patients who received a kidney from the patient's relatives. (t=3.24, p <.05). The score of perceived

family support of the patients who were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was higher than the score of patients who were receiving hemodialysis. (r=-2.47, p< .05).

5. Patients with a low level of education showed 3 significantly high difference in their quality of life. (F=4.706, p< .05). The group of housewives and the group of professional workers showed a high quality of life score. In regard to motives, the group who decided by themselves to have a kidney transplant showed a higher score of body image than the others. (F=3.391, P< .05). The group who had not experienced a rejection reaction showed a higher score in regard to concern about body than these who had experienced a rejection reaction. (r=-2.20, p< .05).

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uration after the transplant and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the quality of lif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r=-.2901, p<.05) (r=-.3044, p<.05).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aw that the higher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of kidney transplant patients, the higher their quality of life, and the longer the duration after the transplant, the lower the family support the quality of lif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134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815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