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 1186

Cited 0 times in

한 단위 수혈(single unit transfusion)에 관한 임상적 고찰

Authors
 박용준 
Issue Date
1983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한 단위 수혈 (single unit transfusion )이라함은 한번 입원하였을 시 1 unit의 혈액만을 수혈 받은 것을 말한다. 현재에 와서는 혈액의 원활한 공급으로 인하여 임상의사들이 수혈의 적응증이나 수혈후의 합병증의 문제를 심각히 생각하지 않고 혈액을 남용하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한 단위 수혈은 외국문헌에 의하면 약 2/3가 불필요한 수혈이었다는 보고가 있다.

이에 저자는 1981년 2월부터 1982년 1월까지 1년 동안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병원에 입원하여 수혈받은 전 환자를 대상으로 Morton (1960 )이 사용한 분류기준을 토대로한 단위 수혈의 당위성에 대하여 분류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관찰기간 중 세브란스병원에 입원하여 수혈을 받은 환자는 총4.877예 이었고 이 중 소아 1,122예, 성인 3,755예였다.

수혈을 받은 성인 3,755예 중 454예 (12.1%)에서 한 단위 수혈이 행해졌다.

한 단위 수혈을 받은 성인 454예 중 375예의 환자의 병상기록지를 후향성 연구방법 (retrospective study)으로 검토 분석해 본 결과, conservative (필요한 경우) 18예 (4.8%), reasonable (타당한 경우) 87예 (23.4%), queationable (의심스러운 경우) 115예 (30.3%), unnecessary (불필요한 경우) 152예 (40.9%)로 의심스러웠던 경우나 불필요하였던 경우가 7l.8%였다.

한 단위 수혈전후의 혈색소치와 hematocrit치는 conservative한 경우와 reasonable한 경우에서는 conservative의 Hct치를 제외하고는 통계학적 의의 있는 증가를 보였으며, queationable과 unnecessary의 경우는 통계학적 의의 있는 차이를 찾을 수 없었다.

한 단위 수혈을 임상과별로 분류하면 일반외과 109예 (29.3%), 산부인과 77예 (20.7%), 내과 56예 (15.1%), 정형외과 54예(14.5%), 신경외과 42예 (11.3%), 비뇨기과 15예 (4.0%), 이비인후과 13예 (3.5%), 암센타 6예 (1.6%)였으며, 전체의 83.3%는 외과영역에서 시행되어 졌다.

성인 372예의 한 단위 수혈 중, 합병증은 13예 (3.5%)로서 발열과 오한, 피부발진 및 두드러기등이 관찰되었다.

한 단위 수혈에 사용된 혈액의 성분은 전혈 289 unite (77.7%), 적혈구농축액 83 units (22.3%)로 전혈의 사용이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보아 세브란스병원에서 시행된 한 단위 수혈의 7l.8%는 의의가 불분명하거나 불필요했음을 알 수 있었고, 수혈이라 함은 광의의 장기의식이라고 할 수 있는 바 이에 따른 여러가지 합병증 문제와 제한된 혈액의 유용한 활용면을 생각한다면 한 단위 수혈은 정말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후향성 연구에 의한 것이어서 수혈요구 당시의 상황을 정확하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없었다는 점도 반드시 고려되어서 판단되어야만 한다는 것을 강조하는 바이다.

[영문]

A single unit transfusion (SUT) is defined as a single transfusion of whole blood or packed red cell during his entire hospital stay.

Reports from alien clinics indicated that the administration of SUT was not necessary in the most of the cases (Morton, 1960: Reece and Beckett, 1966).

Reviewed here retrospectively all the patients who were admitted and transfused at the Severance hospital from Feb, 1981 through Jan, 1982 by the Morton's criteria for the single unit transfusion,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In the period under study blood transfusion were administrated at the Severance Hospital to 4,877 patients, 1,122 children and 3,755 adults.

2. In the 3,755 adults transfused, 454 received a SUT (12.1%).

3. Reviewed the charts of 372 out of 454 adult patients, conservative 18 (4.8%), reasonable 87 (23.4%), questionable 115 (30.9%), and unnecessary 152 (40.9%), 71.8% of single unit transfusions were regarded as questionable or unnecessary.

4. Hgb and Hct levels were increased statistically after SUT in cases of consecrative and reasonable except Hct level in cases of conservative, and were not changed statistically in cases of questionable and unnecessary.

5. 83.3% of single unit transfusions were related to surgical situations.

6. Transfusion reactions were noted in 13 patients (3.5%).

7. 289 patients (77.7%) received whole blood and 83 patients (22.3%) received packed red cell.

In summary 71.8% of SUT were evaluated as questionable or unnecessary, the SUT might be reserved for the definite indications, considering the aspects of the transfusion retractions and the usefulness of limited blood amounts.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806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