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759

Cited 0 times in

의료기관 종류별 진료내역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ison of medical care services content to patient care by type of medical care facility 
Authors
 이영두 
Issue Date
1984
Description
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의료기관 종류에 따라 환자 진료행태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진료내역을 분석한 조사이다.

의료기관 종류별 진료환경의 차이와 관리 운영상의 차이가 진료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비교성이 높은 정상분만, 급성충수염 2개상 병을 선정하였으며, 1984년 상반기 중 의료보험관리공단에 청구된 청구명세서 가운데 각각 473건, 408건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표본 추출과정에서 환자속성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복합 상병코드로 청구된 진료비 청구명세서는 모집단에서 제외시켰으며 표본추출의 범위를 의료기관 종별 총진료비 분포상 40퍼센타일에서 60퍼센타일까지로 제한하였다. 또한 의료기관 종류에 대한 대표성을 높이기 위해 가능한 많은 수의 의료기관으로부터 표본추출을 하였으며 그 결과, 정산분만의 경우 231개 기관, 급성충수염의 경우 227개 기관이 조사대상에 해당되었다.

표본추출 자료의 분석결과에서 나타난 의료기관 종류별 진료행태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1. 가산금액을 제외한 총진료비 금액은 대학병원, 종합병원, 병원, 의원의 순서이다.

2. 평균재원기간은 정상분만의 경우 대학병원 2.9일, 종합병원 2.7일, 병원 2.2일, 의원 2.0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총진료비 금액과 일치되는 순서를 보인다. 반면 급성충수염의 경우는 전체 7.1일로서 의료기관종류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다.

3. 진료행태에 따라 차이가 생기는 대부분의 진료항목 금액 역시 의료기관 종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어 단위수가로 고정되어 있지않은 항목에서 의료기관 종류별로 진료행태에 각기 다른 규범이 있음을 시사해 준다.

4. 의료기관 종류별 총진료비의 차이는 행위료보다 재료대에 더 크게 영향을 받는다.

5. 모든 의료기관 종류에 있어 총진료비 결정에 가장 중요한 진료항목 금액은 약재비이며, 대학병원, 종합병원의 높은 약재비 금액은 상대적으로 고가의 약재를 사용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6. 약재 투여방법에 있어 병원, 의원의 경우는 주사투여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병원에서는 수액사용 및 처치 회수가 타의료기관에 비해 유의하게 높음을 보여준다.

7. 2개 상병에 있어 실시율이 높은 보편적 검사항목은 정상분만의 경우 요일반검사, 혈색소, 헤마토크리트, 백혈구수 계산, 요침사 현미경검사 순이며, 급성충수염에서는 백혈구수 계산, 요일반검사, 혈색소, 요침사 현미경검사, 백혈구수 분리계산의 순서이다.

8. 검사, 방사선 촬영 실시에 있어서는 각 의료기관의 진료환경의 차이에 따라 큰 차이를 보여 준다. 특히 의원에서의 검사 실시율은 필수검사항목에서도 현저히 낮으며 의원, 병원, 종합병원, 대학병원의 순서로 서어비스의 종류와 양이 증가한다.

위의 분석 내용은 의료기관 종류별로 진료행태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어 이에 대한 원인적 분석 및 적정진료 유도를 위한 개선책 제시가 요구된다.





[영문]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medical practic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patient care and managerial situation of the medical care institutions,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and acute appendicitis were selected, which is suitable for comparison because of their high comparability.

A total of 473 cases of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and 408 cases of acute appendicitis was sampled from the claims to Korea Medical Insurance Cooperations during January to June 1984. Complicated cases were excluded from population and sampling was restricted to 40 to 60 percentile for total charges by the type of medical care facility in order to rule out the influence originating from case mix.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University hospital shows the highest in charges per case and decrease in order of general hospital, hospital, and clinic.

2. In cases of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average length of stay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type of facility.

3. Amounts of charges for each service item affected by practice pattern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mostly by type of facility. It is suggested that medical practice pattern is different by type of facility for medical services.

4. Difference in total medical expenditure by type of facility is affected more with charges for materials, consumables and drugs, than with fee for service activity.

5.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of total expenditure is charges for drugs in all type of institution. University and general hospital have a tendency to prescribe high cost drug.

6. In administering drugs to patients, hospital and clinic show higher injection rate than university and general hospital.

7. Clinical Laboratory tests were common in order of uninalysis, hemoglobin, hematocrit, white blood cell count, urine microscopic examination in cases of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white blood cell count, urinalysis, hemoglobin, hematocrit, urine microscopic examination, white blood cell

differential count, in cases of acute appendicitis.

8. The result for Laboratory test and Radiologic study shows extreme difference by type of facility. Test rate is lowest in clinic and increase hospital, general hospital, and university hospital in order, both in type and frequency.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806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